목차
1. 대상
2. (-) 방출 에너지 = 기초대사량 + 활동대사량 + 특이동적 대사량
3. (+) 영양소 섭취 에너지
4. Balance 평가
5. 나의 식생활 문제점 및 개선 방향
6. 참고 자료
2. (-) 방출 에너지 = 기초대사량 + 활동대사량 + 특이동적 대사량
3. (+) 영양소 섭취 에너지
4. Balance 평가
5. 나의 식생활 문제점 및 개선 방향
6. 참고 자료
본문내용
바람직하다.)
INQ < 1 : 질이 떨어짐. => 이에 따라 나의 INQ를 계산해보면,
- 칼슘의 INQ = [527.4 × (1000/1467.4)] ÷ [700 × (1000/2100)] = 1.078....
약 1.08로 1에 가까우므로 질이 우수한 편이라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절대량의 비율로 보았을 때는 100% 수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결과가 나와, 절대량에 부족으로 판정이 되면 INQ 또한 똑같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했는데 INQ를 계산한 결과 1이 약간 넘어서 의아했다. 왜 그런가 생각해보았는데 그 원인은 나의 1일 에너지 섭취량이 1467.4kcal로 권장 에너지 섭취량인 2100kcal 보다 훨씬 낮아서 그런 것이 아닐까 싶다.
- 철분의 INQ = [6.8 × (1000/1467.4)] ÷ [14 × (1000/2100)] = 0.694...
약 0.7 로 1보다는 작으므로 질이 약간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5) 다양성, 균형도 평가(점수매기기)
① 식사 균형도 평가
영양소
식품류
식 품
점수
기본점수
식품점수
단백질
고기류,
생선류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소시지, 햄 등
훈제품, 민물고기, 굴, 조개, 어묵 등
10
5
알류
달걀, 오리알, 메추리알 등
0
콩류 및 콩제품
콩, 두부, 비지, 두류, 된장, 청국장 등
4
칼슘
우유류
우유, 양우유, 분유, 치즈, 요구르트 등
10
5
소어류
멸치, 뱅어포, 잔새우, 미꾸라지, 양미리, 사골 등
0
비타민
및
무기질
녹황색 채소류, 해조류
시금치, 당근, 깻잎, 고추, 상추, 쑥갓 등
미역, 김, 다시마, 파래
10
5
담색 채소류,
버섯류
무, 배추, 오이, 호박, 파, 양파 등
콩나물, 버섯
2
과일류
사과, 감, 배, 복숭아, 귤, 포도, 살구, 자두,
토마토, 참외, 수박, 딸기, 대추 등
0
당질
쌀
쌀, 찹쌀 등
10
3
잡곡류
보리쌀, 밀가루, 옥수수, 국수, 빵, 떡, 라면 등
3
감자류
감자, 고구마, 당면, 토란, 도토리 등
0
지방
기름류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쇼트닝,
마요네즈, 마가린, 버터 등
10
4
종실류
참깨, 들깨, 호두, 잣, 땅콩 등
0
합 계
31
☞ 평가를 통한 개선 방향
: 평가결과 균형도 평가는 50점 만점을 기준으로 31점이 나왔다.
② 식품 섭취 다양성 평가
식단
영양소
식품류
식품
배점
득점
균형식
식품
아
침
점
심
저
녁
아침
단백질
고기류
생선류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토끼고기, 오리고기, 염소고기, 소시지, 햄, 생선, 민물고기, 굴, 조개, 어묵
10
5
○
알류
계란, 오리알, 메추리알
5
콩류
콩, 두부, 비지, 두류, 된장, 청국장
4
○
칼슘
우유류
우유, 양유, 분유, 치즈, 요구르트
10
5
○
뼈째 먹는 생선
멸치, 뱅어포, 잔새우, 미꾸라지, 양미리, 사골
4
점심
비타민
무기질
녹황색
채소류,해조류
시금치, 당근, 깻잎, 고추, 상추, 쑥갓 등
미역, 김, 다시마, 파래
10
5
○
담색 채소류,
버섯류
무, 배추, 오이, 호박, 파, 양파 등
콩나물, 버섯
2
○
○
과일류
사과, 감, 배, 복숭아, 귤, 포도, 살구, 자두,
토마토, 참외, 수박, 딸기, 대추 등
4
저녁
당질
쌀
쌀, 찹쌀 등
10
3
○
잡곡류
보리쌀, 밀가루, 옥수수, 국수, 빵, 떡, 라면 등
3
○
감자류
감자, 고구마, 당면, 토란, 도토리 등
3
지방
기름류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쇼트닝,
마요네즈, 마가린, 버터 등
10
4
○
○
종실류
참깨, 들깨, 호두, 잣, 땅콩 등
3
합 계
50
50
18
5
14
100
37
☞ 평가를 통한 개선 방향
: 평가 결과 균형도는 31점, 다양성 평가는 37점 이 나와서 총 68점이 나왔다.
5. 나의 식생활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나의 에너지 균형 상태는 음의 에너지 평형 상태로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서 섭취량이 부족하였으나, 이는 월요일을 선정한 기준으로, 매일 같이 이와같은 식사패턴을 가진 것은 아니므로 다소의 차이는 있겠으나, 점심식사를 밥으로 제대로 때우지 않는 경우가 많고 군것질이나 빵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잦아서 월요일을 선정하였다.
균형도와 다양성 평가를 각각 5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겨 100점으로 환산한 결과 68점이 나왔는데 이는 점수의 반인 50점은 넘는 것으로 보아 아주 부족한 편은 아니었으나 그렇다 해서 아주 양호한 편도 아니 었다.
균형도 면에서는 멸치 등의 칼슘 섭취량이 부족하였고 과일류의 섭취량도 늘릴 필요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칼슘은 앞에서도 칼슘의 절대량과 INQ 질 평가를 통해 확인했듯이 약간의 모순이 있는데 이는 아직도 풀리지 않는 의문점 중의 하나다. 절대량은 100%에 미치지 못하였는데 INQ는 1이 약간 넘어서서 칼슘의 섭취량이 적정한지 아닌지 의문이나, 짐작하건대 나의 월요일 식사 구성도를 보니 칼슘의 급원인 우유를 비롯한 섭취한 식품에 함유된 칼슘의 양이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기에 절대량의 기준으로 바라보는 것이 맞겠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따라서 칼슘은 절대량을 기준으로 평가 결론을 내린 바 늘릴 필요가 있겠다.
이에 따라 식생활 개선을 위한 나의 식생활 방향은 가장 먼저, 규칙적으로 아침, 점심, 저녁 3끼를 먹되 되도록 한식 위주로 잡곡밥을 섭취하고 밥을 빵으로 대체 하면서 빨리 식사를 거르는 것은 피하는 게 좋을 것 같다. 또한, 식사의 다양성과 균형성을 높이기 위해 각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도록 식사 평가서를 작성하여 식사 일기 등을 써보고 매일은 힘들더라도 1주일에 한 번씩은 나의 식생활에 대해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필요할 것 같고 과잉 섭취가 우려되는 유지류 등의 지방은 줄이고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를 늘리고 폭식 등으로 위장장애가 자주 일어나는 나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과일 등 수분 함유량이 많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 위주로 섭취하는 것이 좋겠다.
6. 참고 자료
- 식생활과 건강, 노완섭전은자, 훈민사, 2001
- 21세기 식생활 관리, 최혜미 박영숙, 교문사, 2009
- 21세기 영양학 원리, 최혜미 외, 교문사, 2009
INQ < 1 : 질이 떨어짐. => 이에 따라 나의 INQ를 계산해보면,
- 칼슘의 INQ = [527.4 × (1000/1467.4)] ÷ [700 × (1000/2100)] = 1.078....
약 1.08로 1에 가까우므로 질이 우수한 편이라고 볼 수 있겠다. 하지만 절대량의 비율로 보았을 때는 100% 수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결과가 나와, 절대량에 부족으로 판정이 되면 INQ 또한 똑같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했는데 INQ를 계산한 결과 1이 약간 넘어서 의아했다. 왜 그런가 생각해보았는데 그 원인은 나의 1일 에너지 섭취량이 1467.4kcal로 권장 에너지 섭취량인 2100kcal 보다 훨씬 낮아서 그런 것이 아닐까 싶다.
- 철분의 INQ = [6.8 × (1000/1467.4)] ÷ [14 × (1000/2100)] = 0.694...
약 0.7 로 1보다는 작으므로 질이 약간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5) 다양성, 균형도 평가(점수매기기)
① 식사 균형도 평가
영양소
식품류
식 품
점수
기본점수
식품점수
단백질
고기류,
생선류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소시지, 햄 등
훈제품, 민물고기, 굴, 조개, 어묵 등
10
5
알류
달걀, 오리알, 메추리알 등
0
콩류 및 콩제품
콩, 두부, 비지, 두류, 된장, 청국장 등
4
칼슘
우유류
우유, 양우유, 분유, 치즈, 요구르트 등
10
5
소어류
멸치, 뱅어포, 잔새우, 미꾸라지, 양미리, 사골 등
0
비타민
및
무기질
녹황색 채소류, 해조류
시금치, 당근, 깻잎, 고추, 상추, 쑥갓 등
미역, 김, 다시마, 파래
10
5
담색 채소류,
버섯류
무, 배추, 오이, 호박, 파, 양파 등
콩나물, 버섯
2
과일류
사과, 감, 배, 복숭아, 귤, 포도, 살구, 자두,
토마토, 참외, 수박, 딸기, 대추 등
0
당질
쌀
쌀, 찹쌀 등
10
3
잡곡류
보리쌀, 밀가루, 옥수수, 국수, 빵, 떡, 라면 등
3
감자류
감자, 고구마, 당면, 토란, 도토리 등
0
지방
기름류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쇼트닝,
마요네즈, 마가린, 버터 등
10
4
종실류
참깨, 들깨, 호두, 잣, 땅콩 등
0
합 계
31
☞ 평가를 통한 개선 방향
: 평가결과 균형도 평가는 50점 만점을 기준으로 31점이 나왔다.
② 식품 섭취 다양성 평가
식단
영양소
식품류
식품
배점
득점
균형식
식품
아
침
점
심
저
녁
아침
단백질
고기류
생선류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토끼고기, 오리고기, 염소고기, 소시지, 햄, 생선, 민물고기, 굴, 조개, 어묵
10
5
○
알류
계란, 오리알, 메추리알
5
콩류
콩, 두부, 비지, 두류, 된장, 청국장
4
○
칼슘
우유류
우유, 양유, 분유, 치즈, 요구르트
10
5
○
뼈째 먹는 생선
멸치, 뱅어포, 잔새우, 미꾸라지, 양미리, 사골
4
점심
비타민
무기질
녹황색
채소류,해조류
시금치, 당근, 깻잎, 고추, 상추, 쑥갓 등
미역, 김, 다시마, 파래
10
5
○
담색 채소류,
버섯류
무, 배추, 오이, 호박, 파, 양파 등
콩나물, 버섯
2
○
○
과일류
사과, 감, 배, 복숭아, 귤, 포도, 살구, 자두,
토마토, 참외, 수박, 딸기, 대추 등
4
저녁
당질
쌀
쌀, 찹쌀 등
10
3
○
잡곡류
보리쌀, 밀가루, 옥수수, 국수, 빵, 떡, 라면 등
3
○
감자류
감자, 고구마, 당면, 토란, 도토리 등
3
지방
기름류
참기름, 들기름, 콩기름, 옥수수기름, 쇼트닝,
마요네즈, 마가린, 버터 등
10
4
○
○
종실류
참깨, 들깨, 호두, 잣, 땅콩 등
3
합 계
50
50
18
5
14
100
37
☞ 평가를 통한 개선 방향
: 평가 결과 균형도는 31점, 다양성 평가는 37점 이 나와서 총 68점이 나왔다.
5. 나의 식생활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나의 에너지 균형 상태는 음의 에너지 평형 상태로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서 섭취량이 부족하였으나, 이는 월요일을 선정한 기준으로, 매일 같이 이와같은 식사패턴을 가진 것은 아니므로 다소의 차이는 있겠으나, 점심식사를 밥으로 제대로 때우지 않는 경우가 많고 군것질이나 빵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잦아서 월요일을 선정하였다.
균형도와 다양성 평가를 각각 5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겨 100점으로 환산한 결과 68점이 나왔는데 이는 점수의 반인 50점은 넘는 것으로 보아 아주 부족한 편은 아니었으나 그렇다 해서 아주 양호한 편도 아니 었다.
균형도 면에서는 멸치 등의 칼슘 섭취량이 부족하였고 과일류의 섭취량도 늘릴 필요가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칼슘은 앞에서도 칼슘의 절대량과 INQ 질 평가를 통해 확인했듯이 약간의 모순이 있는데 이는 아직도 풀리지 않는 의문점 중의 하나다. 절대량은 100%에 미치지 못하였는데 INQ는 1이 약간 넘어서서 칼슘의 섭취량이 적정한지 아닌지 의문이나, 짐작하건대 나의 월요일 식사 구성도를 보니 칼슘의 급원인 우유를 비롯한 섭취한 식품에 함유된 칼슘의 양이 그다지 높은 편은 아니기에 절대량의 기준으로 바라보는 것이 맞겠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따라서 칼슘은 절대량을 기준으로 평가 결론을 내린 바 늘릴 필요가 있겠다.
이에 따라 식생활 개선을 위한 나의 식생활 방향은 가장 먼저, 규칙적으로 아침, 점심, 저녁 3끼를 먹되 되도록 한식 위주로 잡곡밥을 섭취하고 밥을 빵으로 대체 하면서 빨리 식사를 거르는 것은 피하는 게 좋을 것 같다. 또한, 식사의 다양성과 균형성을 높이기 위해 각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도록 식사 평가서를 작성하여 식사 일기 등을 써보고 매일은 힘들더라도 1주일에 한 번씩은 나의 식생활에 대해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필요할 것 같고 과잉 섭취가 우려되는 유지류 등의 지방은 줄이고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를 늘리고 폭식 등으로 위장장애가 자주 일어나는 나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과일 등 수분 함유량이 많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 위주로 섭취하는 것이 좋겠다.
6. 참고 자료
- 식생활과 건강, 노완섭전은자, 훈민사, 2001
- 21세기 식생활 관리, 최혜미 박영숙, 교문사, 2009
- 21세기 영양학 원리, 최혜미 외, 교문사, 2009
키워드
추천자료
LG화학의 인사관리제도(인적자원 관리활동)
[생활과건강4공통] 파거스트롬 설문지 이용 니코틴의존도평가/프로체스카와 디클레멘테 금연...
보육학개론3판 3장 요약
[원불교 송정산 건국론][원불교][송정산][건국론][통일]원불교 송정산 건국론의 정치, 원불교...
유아기 바람직한 식생활 지도에 대해 서술.
(레크리에이션활동지도 공통) 일과 여가생활의 균형
[2019 생활과건강][비만음주][출처표기] 1) 현재 자신이 갖고 있는 건강문제(질병 혹은 증상)...
가족건강간호학 기말 2020-아동학대가족, 미혼부모가족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가족건강간...
생활속의경제] 수요-공급 시장모형, 균형가격에 도달하는 과정과 균형에서 사회적 잉여가 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