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공학개론 교량 신기술 & 사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목공학개론 교량 신기술 & 사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량 신기술

1) 걸침턱 구조를 가진 상하판 분리식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설치공법

2) Re-Ascon (아스팔트 표면처리 공법) 기술

3) [신기술 827호] 현장제조 교량 콘크리트 포장공법

4) 힌지형 링크와 이물질 차단판으로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 공법

2. 사회적 이슈 & 해결조치

1) 성수대교 붕괴 사건

2) 타코마 교 붕괴 사건

3. 최근 기술

4. 출처

본문내용

신축 이음 장치란?
교량을 건설 할 때 하나로 건설하지 않고, 중간중간에 끊는 경우나, 처음과 끝 지점에 도로나 바닥에서 교량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이음장치를 설치한다.
이 신축 이음 장치는 늘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날씨와 온도 차이에 따라 기차 이음새 처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여유 공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거동이 가능한 공간적 여유가 있는 신축 이음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일원테크에서 건설신기술 지정을 받은 이 신축 이음 장치의 핵심 기술은 사진에 표시된 “걸침턱”이다.


이 걸침턱은 상-하판과 맞물리게 설치함으로써 볼트부의 응력을 걸침턱으로 분산시켜 볼트 풀림 및 파단현상을 저감한다. 즉, 걸침턱에 의해 상판이 고정되어 볼트 이탈을 방지하기 때문에 안정성 차원에서 뛰어난 기술이다.

LFJ 신축 이음 장치의 장점
LFJ 신축 이음 장치의 장점에는 안정성, 유지관리성, 경제성, 편의성이 있다.

안정성
-기존의 제품과는 달리 걸침 턱이 있어 볼트부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볼트의 파단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
-상판을 분리할 때 후타콘크리트와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후타콘크리
  • 가격1,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0.07.09
  • 저작시기2020.7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11334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