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원 폐지 반대 [동물원 유지해야]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물원 폐지 반대 [동물원 유지해야]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Main Opinion. 동물원의 존재는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이득이 된다.
#2. Main Opinion. 동물원은 아이들의 동물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키워준다.
#3. Main Opinion. 동물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배움으로써, 야생의 동물들을 더욱 쉽게 도울 수 있다.
#4. Main Opinion. 멸종위기 동물을 동물원에서 기르면, 동물들이 멸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5. Main Opinion. 동물원은 자연상태에서 밀려난 동물들을 보호하고, 사람과의 교류도 할 수 있게 하는 순기능이 있다.
#6. (찬성측) 동물원을 유치하는 것보다, 동물들의 서식지를 보호하는 것이 더 우선시 되어야 한다.
#7. (찬성측) 동물원에서 자연으로 돌아가는 동물들은 쉽게 죽는다.
#8. (찬성측) 동물원의 목적을 오로지 인간의 오락으로 취급할 시
#9. (찬성측) 동물에 대한 관찰과 연구는 야생에서 해야 한다.
#10. (찬성측) 동물원의 동물들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11. (찬성측) 동물원의 동물들은 동물원을 감옥처럼 느낄 것이다.
#12. Main Opinion. 인간도 동물이다. 따라서 인간이 하는 행동도 어떻게 보면 자연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본문내용

.
----------------------------------------------------------------
동물에 대한 관찰과 연구는 야생에서 해야 한다는 주장은 반만 맞습니다. 우리는 야생과 동물원 모두에서 관찰하고 연구해야 합니다.
물론 야생에서 관찰해서 배울 수 있는 점도 분명히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동물을 좀 더 자세하게 관찰하고 엄격하게, 오랜 기간 관찰하기 위해선, 동물원에서 관찰하고 연구할 수밖엔 없습니다.
야생과 동물원, 두 종류의 연구는 모두 다 가치가 있습니다. 그리고 동물원에서 이러한 관찰과 연구가 수행되어선 안되는 어떠한 이유도 없습니다.
#10. (찬성측) 동물원의 동물들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
동물원의 동물들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주장하셨는데, 근거가 있으십니까?
동물의 행복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습니까? 야생에서 사는 것이 더 행복하다는 말씀이신데, 그렇다면 인간도 야생에서 사는 것이 더 행복하나요? 야생에는 밀렵꾼도 있고, 사냥꾼도 있고, 상위 포식 동물도 있고, 동물들끼리의 싸움도 있습니다.
우리 인간은 야생을 선호할까요? 동물들도 마찬가지일까요? 말씀하신 동물원의 동물들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주장은 왜곡된 생각에 근거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주장에 대한 사실적인 근거는 전혀 없습니다.
우리는 동물의 행복감을 측정할 수 없습니다. 우리 인간은 동물들이 야생에서 사는 것이 최선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우리가 동물들을 위해서 해줄 수 있는 것들을 살펴보고 찾아보는 것입니다.
길들여진 동물들, 잘 치료받고 건강하게 키울 수 있다면, 그들이 자연에서 못 생활해서 불행하다고 말할 수 있으십니까?
동물원을 금지하는 대신에, 이러한 동물들을 최대한 잘 돌보고 동물 관련해서 최대한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입니다.
#11. (찬성측) 동물원의 동물들은 동물원을 감옥처럼 느낄 것이다.
----------------------------------------------------------------
동물원의 동물들이 정말로 동물원을 감옥처럼 느낄까요? 우리가 집에 특정 시간에 반복해서 귀가한다고 해서 집을 감옥이라고 부르거나 감옥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동물원도 폐장되면 집에 귀가해서 편하게 먹이를 먹고 쉴 공간이 있습니다. 그리고 취미를 즐길 공간도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까? 동물에게는 이러한 행동이 자유보다는 자율적으로 행동하는 것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세워진 규율에 따라서 바르게 절제하는 삶을 영위하고 있는 것이죠. 서로 간에 큰 피해를 주지 않으며 상생한다고 저는 생각하는데, 갇혀서 살고 있다는 한 부분만을 보고서 인간의 즐거움을 위해 존재한다고 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12. Main Opinion. 인간도 동물이다. 따라서 인간이 하는 행동도 어떻게 보면 자연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
인간이 간섭했다고 해서, 무조건 동물이 멸종하거나 위협에 처하는 것은 아닙니다. 생물학적 종은 시기에 따라서 왔다 갔다 합니다. 단적인 예를 들자면, 공룡은 인간의 간섭 없이도 멸종했습니다. 그리고 인간도 동물의 일부로, 음식을 다른 동물에게 제공하고 이들을 치료하고 데려다 키우는 것도 어떻게 보면 자연의 일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동물원의 금지가 아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을 해야 합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07.13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7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