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적
정의
정책
절차
1. 낙상 위험도 평가도구
2. 낙상위험도 평가
3. 낙상 고위험 분류기준
낙상예방 활동
1. 일반적인 낙상예방 활동
2. 고위험군 낙상예방 활동
2-1 성인 낙상고위험 환자에 대한 낙상예방 활동
2-2 소아 낙상고위험 환자에 대한 낙상예방 활동
2-3 외래 낙상고위험 환자에 대한 낙상예방 활동
3. 환경 및 시설관리
낙상 시 처치와 보고절차
성인 낙상위험 사정도구 (Morse Fall Scale)
소아 낙상위험 사정도구(Humpty Dumpty Fall Scale)
정의
정책
절차
1. 낙상 위험도 평가도구
2. 낙상위험도 평가
3. 낙상 고위험 분류기준
낙상예방 활동
1. 일반적인 낙상예방 활동
2. 고위험군 낙상예방 활동
2-1 성인 낙상고위험 환자에 대한 낙상예방 활동
2-2 소아 낙상고위험 환자에 대한 낙상예방 활동
2-3 외래 낙상고위험 환자에 대한 낙상예방 활동
3. 환경 및 시설관리
낙상 시 처치와 보고절차
성인 낙상위험 사정도구 (Morse Fall Scale)
소아 낙상위험 사정도구(Humpty Dumpty Fall Scale)
본문내용
하지 않는 장비, 비품, 위험요소는 제거하고 주변 환경을 정리한다.
병실을 자주 순회하여 환자상태를 확인한다.
2-3 외래 낙상고위험 환자에 대한 낙상예방 활동
환자가 처치대, 시술대를 오르내릴 때 환자가 직원의 시야에서 움직이도록 한다.
필요시 직원이 돕는다.
환자 주변 환경과 물품을 정리하여 환자의 보행 및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 다.
3. 환경 및 시설관리
⑴ 침상, 휠체어, 워커, 이동식 폴대, 이동식 침대 -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
⑵ 화장실, 샤워실 - 낙상주의, 미끄럼주의 표지판 부착
⑶ 침대 및 휠체어 등의 바퀴를 수시로 점검
⑷ 계단에는 미끄럼방지 테이프, 복도에는 안전 바를 설치한다.
낙상 시 처치와 보고절차
1.낙상발생시 환자의 의식상태, 활력징후, 통증여부 등 의학적 상태를 확인 후 부서 장에게 보고한다.
2.주치의나 당직의에게 보고 후 적절한 조치를 한다.
3.환자 가족에게 환자상태에 대해 알리고 낙상 위험요인 재사정 후 예방활동을 강 화한다.
4.환자안전보고체계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하여 환자안전전담실에 제출한다.
등록번호
이름
성별/나이
병실
성인 낙상위험 사정도구 (Morse Fall Scale)
구분
척도
점수
날짜
/
/
/
/
/
1.낙상 경험
(3개월 이내)
있음
25
없음
0
2.이차 진단 (부진단)
있음
15
없음
0
3.보행 보조
기구를 잡고 보행함
30
목발/ 지팡이/ 워커 사용함
15
보조기 사용하지 않음/ 침상안정/ 휠체어/
간호사가 도와줌
0
4.정맥수액요법/헤파린락/카테타
모니터링 라인
있음
20
없음
0
5.걸음걸이
장애(일어서기 어려움, 휠체어사용)
20
허약함(종종걸음, 다리를 끌며 걸음)
10
정상/ 침상안정/ 부동
0
6.의식장애
자신의 기능수준을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
15
자신의 기능수준에 대해 잘 알고 있음
0
총점
작성자
결과 해석
0~24 : 낙상 위험이 거의 없음 (무위험군)
25~50 : 낙상 위험이 낮음 (저위험군)
51점 이상 : 낙상위험이 높음 (고위험군)
소아 낙상위험 사정도구
등록번호
이름
성별/나이
병실
(Humpty Dumpty Fall Scale)
구분
척도
점수
날짜
/
/
/
/
/
1.나이
3세 미만
4
3세~7세 미만
3
7세~13세 미만
2
13세 이상
1
2.성별
남
2
여
1
3.진단
신경학적 진단
4
산소흡입을 요하는 진단
(호흡기계 질환, 탈수, 빈혈, 식욕부진, 기절, 어지럼증)
3
정신/ 행동 장애 관련 진단
2
그 밖의 다른 진단
1
4.지남력
인지 없음
3
제한적 기억상실
2
지남력 있음
1
5.환경적 요인
낙상 경험이 있거나 영유아가 일반침대 사용
3
보조기(휠체어,목발)를 사용 또는
영유아의 소아침대 사용
2
침상안정
1
6.수술/
진정/
마취 후
24시간 이내
3
48시간 이내
2
48시간 이상/ 해당 사항 없음
1
7.약물
사용
진정제,수면제,최면제,
정신안정제,항우울제,하제,
이뇨제,마취제
2가지 이상
3
1가지
2
다른 약물/해당없음
1
총점
작성자
결과 해석
저위험 : 11점 이하
고위험 : 12점 이상
병실을 자주 순회하여 환자상태를 확인한다.
2-3 외래 낙상고위험 환자에 대한 낙상예방 활동
환자가 처치대, 시술대를 오르내릴 때 환자가 직원의 시야에서 움직이도록 한다.
필요시 직원이 돕는다.
환자 주변 환경과 물품을 정리하여 환자의 보행 및 이동에 지장이 없도록 한 다.
3. 환경 및 시설관리
⑴ 침상, 휠체어, 워커, 이동식 폴대, 이동식 침대 -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
⑵ 화장실, 샤워실 - 낙상주의, 미끄럼주의 표지판 부착
⑶ 침대 및 휠체어 등의 바퀴를 수시로 점검
⑷ 계단에는 미끄럼방지 테이프, 복도에는 안전 바를 설치한다.
낙상 시 처치와 보고절차
1.낙상발생시 환자의 의식상태, 활력징후, 통증여부 등 의학적 상태를 확인 후 부서 장에게 보고한다.
2.주치의나 당직의에게 보고 후 적절한 조치를 한다.
3.환자 가족에게 환자상태에 대해 알리고 낙상 위험요인 재사정 후 예방활동을 강 화한다.
4.환자안전보고체계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하여 환자안전전담실에 제출한다.
등록번호
이름
성별/나이
병실
성인 낙상위험 사정도구 (Morse Fall Scale)
구분
척도
점수
날짜
/
/
/
/
/
1.낙상 경험
(3개월 이내)
있음
25
없음
0
2.이차 진단 (부진단)
있음
15
없음
0
3.보행 보조
기구를 잡고 보행함
30
목발/ 지팡이/ 워커 사용함
15
보조기 사용하지 않음/ 침상안정/ 휠체어/
간호사가 도와줌
0
4.정맥수액요법/헤파린락/카테타
모니터링 라인
있음
20
없음
0
5.걸음걸이
장애(일어서기 어려움, 휠체어사용)
20
허약함(종종걸음, 다리를 끌며 걸음)
10
정상/ 침상안정/ 부동
0
6.의식장애
자신의 기능수준을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
15
자신의 기능수준에 대해 잘 알고 있음
0
총점
작성자
결과 해석
0~24 : 낙상 위험이 거의 없음 (무위험군)
25~50 : 낙상 위험이 낮음 (저위험군)
51점 이상 : 낙상위험이 높음 (고위험군)
소아 낙상위험 사정도구
등록번호
이름
성별/나이
병실
(Humpty Dumpty Fall Scale)
구분
척도
점수
날짜
/
/
/
/
/
1.나이
3세 미만
4
3세~7세 미만
3
7세~13세 미만
2
13세 이상
1
2.성별
남
2
여
1
3.진단
신경학적 진단
4
산소흡입을 요하는 진단
(호흡기계 질환, 탈수, 빈혈, 식욕부진, 기절, 어지럼증)
3
정신/ 행동 장애 관련 진단
2
그 밖의 다른 진단
1
4.지남력
인지 없음
3
제한적 기억상실
2
지남력 있음
1
5.환경적 요인
낙상 경험이 있거나 영유아가 일반침대 사용
3
보조기(휠체어,목발)를 사용 또는
영유아의 소아침대 사용
2
침상안정
1
6.수술/
진정/
마취 후
24시간 이내
3
48시간 이내
2
48시간 이상/ 해당 사항 없음
1
7.약물
사용
진정제,수면제,최면제,
정신안정제,항우울제,하제,
이뇨제,마취제
2가지 이상
3
1가지
2
다른 약물/해당없음
1
총점
작성자
결과 해석
저위험 : 11점 이하
고위험 : 12점 이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