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Ⅲ.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및 방법
3.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 간호수행 - 간호평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염으로 인한 증상에는 발열, 맥박과 호흡수 증가가 있다. (기본간호학Ⅱ-14p)
2-1.마스크는 비말감염과 공기감염의 전파 위험을 감소시킨다.
2-2. 손 씻기는 감염통제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이다.(기본간호학Ⅱ-19p)
3.병원감염은 환경 통제를 함으로써 예방 할 수 있다.
(기본간호학Ⅱ-16p)
4.외과적 무균술은 신체의 무균영역에 대한 모든 절차에 이용해야 한다.
(기본간호학Ⅱ-5p)
5.미생물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기본간호학Ⅱ-3p)
간호진단 : 질병(외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사정자료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자료
1.“아파, 수술 부위가 아파.”
객관적자료
1.통증평가-양상: 쑤심
2.강도: 2~4(VAS)로 측정
3.마약 및 진통제
1).트라마돌염산염 37.5mg
2).저니스타서방정2mg
3).fentamax patch mg/h
4).마리트롤주
7.decortication
(흉막박피술시행)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통증이 없어질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 감소를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행할 수 있다.
1.통증을 8시간마다 위치, 강도, 양상을 사정하였다.
날짜
강도
양상
10.30
3
쑤심
10.31
4
쑤심
11/1
2
쑤심
2.대상자와 보호자에게 PCA의 목적, 사용법, 부작용, 효과를 설명하였다.
3.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 또는 마약제제인 이하의 약물투여
트라마돌염산염 37.5mg
저니스타서방정2mg
fentamax patch mg/h
마리트롤주
4.전환요법인 TV, 책읽기를 격려하였고, 그 중에서 TV를 많이 시행하셨다.
5.대상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TV소리를 5로 낮추고 커튼을 쳐 주었다.
date
time
BP
T
P
R
10.30
14시
100/60
6.4
62
28
10.31
14시
120/80
6.5
64
20
11.1
14시
100/60
6.7
68
24
6.v/s을 체크하였다.
장기목표 평가(달성)
대상자는 퇴원시 웃는 모습으로 통증 없이 퇴원하셨다
단기목표 평가(달성)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하고 있음을 v/s체크시 말씀해 주셨고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티비를 많이 보시는 전환요법을 시행 하셨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1.통증이 심할 시 말로 표현 하도록 한다.
2.대상자가 PCA를 사용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3.통증이 심할 시 의사의 처방에 의해 약물을 투여한다.
4.이완요법을 사용하도록 교육하고 격려한다.
5.대상자가 안정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절 해 준다.
6. V/S을 14시에 체크 하도록 한다.
1.통증의 양상, 정도, 부위를 사정한다. (성인간호학 상권 p226)
2.PCA는 환자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하여 자신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기본간호학 p.503)
3.통증관리를 위한 약물에는 아편약물, 비아편유사 약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보조진통제를 쓴다.(기본간호학 p.495)
4.기타 통증 관리 방법으로는 이완요법, 마사지, 냉 요법, 음악듣기, 티비보기 등의 전환요법이 있다. (성인간호학 상권p233)
5. 통증이 있는 대상자는 대개 주위환경이 조용할 때 더욱 편안하게 느낀다. (기본간호학2, 481)
간호진단 :잦은 호흡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사정자료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자료
1.“심리적으로 그런지 가슴이 답답해”
2.“네뷸라이져는 하루에 몇 번씩해?”
객관적자료
1.아세브로필린 100mg
(기도폐쇄 장애 및 점액분비 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질환)에사용
2.흉곽이 오르 내림이 눈에 띄게 보임
3.네뷸라이져
4.Room O2 inhalation
3L/min유지
5.respiration check
Date
Time
respiration
10/30
14:00
28
10/31
14:00
20
11/1
14:00
24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호흡곤란을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숨쉬는 것이 좀 더 수월해져 흉곽의 오르내림이 눈에 띄지 않는다.
1.date
time
BP
T
P
R
10.30
14시
100/60
6.4
62
28
10.31
14시
120/80
6.5
64
20
11.1
14시
100/60
6.7
68
24
v/s을 체크하였다.
2. 환자의 EKG monitor로 SaO₂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매일 90~98%유지함)
3. 복위 또는 머리를 약간 상승 시킨 앙와위를 취해주었다.
4. 목에 굴곡 및 과 신전 되었을 때 복위나 앙와위를 취해주었다.
5. 4시와 8시에 네뷸라이져요법을 시행 할 수 있게 도와드리고 끝나고 입을 행구어야 함을 교육했다.
장기목표 평가(달성)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호흡곤란을 보이지 않았고 기도개방이 유지 되었다.
단기목표 평가(미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흉곽의 오르내림이 줄어들지 않았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1. V/S을 14시에 규칙적으로 측정 하도록 한다.
2. EKG monitor로 SaO₂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3. 가스교환에 적절한 체위를 취해준다.
4. 목의 굴곡 및 과신전을 방지한다.
5. 네뷸라이져를 4시와 8시에 시행하도록 한다.
1. V/S는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호흡력을 사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본간호학Ⅰp.138)
2. 환자 감시 장시로서 환자의 상태(심전도,심박/맥박,산소포화도,체온등)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기본간호학Ⅱp.508)
3.복위 또는 머리를 약간 상승 시킨 앙와위는 가스교환과 폐확장을 돕는다. (기본간호학Ⅱ, p644)
4. 목의 굴곡 및 과신전은 원활한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방해한다. (기본간호학Ⅱp503)
5. 고농도의 많은 용량의 약물을 폐에나 기관 기관지에 직접투여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Ⅲ. 참고문헌
1.간호과정 (현문사)
2.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3.네이버 건강 - 의약품, 의학정보, 뉴스, 지식사전
4.건강사정 (현문사)
5.성인간호학(상)-현문사
6.약리학(엘비스코리아)
2-1.마스크는 비말감염과 공기감염의 전파 위험을 감소시킨다.
2-2. 손 씻기는 감염통제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이다.(기본간호학Ⅱ-19p)
3.병원감염은 환경 통제를 함으로써 예방 할 수 있다.
(기본간호학Ⅱ-16p)
4.외과적 무균술은 신체의 무균영역에 대한 모든 절차에 이용해야 한다.
(기본간호학Ⅱ-5p)
5.미생물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기본간호학Ⅱ-3p)
간호진단 : 질병(외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사정자료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자료
1.“아파, 수술 부위가 아파.”
객관적자료
1.통증평가-양상: 쑤심
2.강도: 2~4(VAS)로 측정
3.마약 및 진통제
1).트라마돌염산염 37.5mg
2).저니스타서방정2mg
3).fentamax patch mg/h
4).마리트롤주
7.decortication
(흉막박피술시행)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통증이 없어질 것이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 감소를 말로 표현할 수 있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을 1가지 이상 행할 수 있다.
1.통증을 8시간마다 위치, 강도, 양상을 사정하였다.
날짜
강도
양상
10.30
3
쑤심
10.31
4
쑤심
11/1
2
쑤심
2.대상자와 보호자에게 PCA의 목적, 사용법, 부작용, 효과를 설명하였다.
3.의사의 처방에 따라 진통제 또는 마약제제인 이하의 약물투여
트라마돌염산염 37.5mg
저니스타서방정2mg
fentamax patch mg/h
마리트롤주
4.전환요법인 TV, 책읽기를 격려하였고, 그 중에서 TV를 많이 시행하셨다.
5.대상자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TV소리를 5로 낮추고 커튼을 쳐 주었다.
date
time
BP
T
P
R
10.30
14시
100/60
6.4
62
28
10.31
14시
120/80
6.5
64
20
11.1
14시
100/60
6.7
68
24
6.v/s을 체크하였다.
장기목표 평가(달성)
대상자는 퇴원시 웃는 모습으로 통증 없이 퇴원하셨다
단기목표 평가(달성)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하고 있음을 v/s체크시 말씀해 주셨고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티비를 많이 보시는 전환요법을 시행 하셨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1.통증이 심할 시 말로 표현 하도록 한다.
2.대상자가 PCA를 사용하여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3.통증이 심할 시 의사의 처방에 의해 약물을 투여한다.
4.이완요법을 사용하도록 교육하고 격려한다.
5.대상자가 안정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절 해 준다.
6. V/S을 14시에 체크 하도록 한다.
1.통증의 양상, 정도, 부위를 사정한다. (성인간호학 상권 p226)
2.PCA는 환자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하여 자신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기본간호학 p.503)
3.통증관리를 위한 약물에는 아편약물, 비아편유사 약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보조진통제를 쓴다.(기본간호학 p.495)
4.기타 통증 관리 방법으로는 이완요법, 마사지, 냉 요법, 음악듣기, 티비보기 등의 전환요법이 있다. (성인간호학 상권p233)
5. 통증이 있는 대상자는 대개 주위환경이 조용할 때 더욱 편안하게 느낀다. (기본간호학2, 481)
간호진단 :잦은 호흡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
사정자료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주관적자료
1.“심리적으로 그런지 가슴이 답답해”
2.“네뷸라이져는 하루에 몇 번씩해?”
객관적자료
1.아세브로필린 100mg
(기도폐쇄 장애 및 점액분비 장애로 인한 급·만성 호흡기질환)에사용
2.흉곽이 오르 내림이 눈에 띄게 보임
3.네뷸라이져
4.Room O2 inhalation
3L/min유지
5.respiration check
Date
Time
respiration
10/30
14:00
28
10/31
14:00
20
11/1
14:00
24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호흡곤란을 보이지 않는다.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 단기목표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숨쉬는 것이 좀 더 수월해져 흉곽의 오르내림이 눈에 띄지 않는다.
1.date
time
BP
T
P
R
10.30
14시
100/60
6.4
62
28
10.31
14시
120/80
6.5
64
20
11.1
14시
100/60
6.7
68
24
v/s을 체크하였다.
2. 환자의 EKG monitor로 SaO₂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매일 90~98%유지함)
3. 복위 또는 머리를 약간 상승 시킨 앙와위를 취해주었다.
4. 목에 굴곡 및 과 신전 되었을 때 복위나 앙와위를 취해주었다.
5. 4시와 8시에 네뷸라이져요법을 시행 할 수 있게 도와드리고 끝나고 입을 행구어야 함을 교육했다.
장기목표 평가(달성)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호흡곤란을 보이지 않았고 기도개방이 유지 되었다.
단기목표 평가(미달성)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흉곽의 오르내림이 줄어들지 않았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근거문헌 기록)
1. V/S을 14시에 규칙적으로 측정 하도록 한다.
2. EKG monitor로 SaO₂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3. 가스교환에 적절한 체위를 취해준다.
4. 목의 굴곡 및 과신전을 방지한다.
5. 네뷸라이져를 4시와 8시에 시행하도록 한다.
1. V/S는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호흡력을 사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본간호학Ⅰp.138)
2. 환자 감시 장시로서 환자의 상태(심전도,심박/맥박,산소포화도,체온등)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이다. (기본간호학Ⅱp.508)
3.복위 또는 머리를 약간 상승 시킨 앙와위는 가스교환과 폐확장을 돕는다. (기본간호학Ⅱ, p644)
4. 목의 굴곡 및 과신전은 원활한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방해한다. (기본간호학Ⅱp503)
5. 고농도의 많은 용량의 약물을 폐에나 기관 기관지에 직접투여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Ⅲ. 참고문헌
1.간호과정 (현문사)
2.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3.네이버 건강 - 의약품, 의학정보, 뉴스, 지식사전
4.건강사정 (현문사)
5.성인간호학(상)-현문사
6.약리학(엘비스코리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