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초기단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과업
II. 동기의 강화
1. 거절과 적개심의 해결
2. 직면의 활용
3. 성취 가능한 계약의 협상
4. 양가감정의 해결
5. 유인을 갖게 함
6. 희망을 줌
III. 초기 단계에서 치료활동
* 참고문헌
II. 동기의 강화
1. 거절과 적개심의 해결
2. 직면의 활용
3. 성취 가능한 계약의 협상
4. 양가감정의 해결
5. 유인을 갖게 함
6. 희망을 줌
III. 초기 단계에서 치료활동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을 통하여 제거되거나 완화될 생활상의 불안 영역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6) 희망을 줌
비록 많은 클라이언트들이 그들의 문제를 인식하고 변화에 대한 유인을 표명하더라도 그들의 동기는 변화를 위한 그들의 능력에 대한 회의로 인해 약화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특히 실패의 경험이 있으며 자긍심이 낮다.
희망은 필수 불가결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이 중요한 구성요소를 갖도록 해야 한다.
우선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건설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하고 클라이언트의 대처능력을 강화하고 잠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과거의 대처 노력의 성공적인 결과를 강조하는 것이 희망에 대한 현실적 기초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회복지사는 면접상황에서 클라이언트의 강점이 발견되면 이를 강조해야 한다.
희망을 갖게 하는 다른 하나의 방법은 클라이언트 자신이 그 상황을 개선할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믿도록 돕는 것이다.
III. 초기 단계에서 치료활동
첫 면접에서도 치료를 시작한다는 것이 심리사회적 접근법을 강조해 오던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주장되어 왔다.
1950년대 초기에는 진단이 끝날 때까지 치료를 할 수 없다고 몇몇 학자들 간에 상당한 논쟁이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들은 구체적이 아닌 치료는 첫 면접에서도 실시된다고 본다(Hollis, 1972 : 45). 치료는 처음부터 실시되며 보다 큰 이해를 위한 탐구는 치료를 통하여 계속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6) 희망을 줌
비록 많은 클라이언트들이 그들의 문제를 인식하고 변화에 대한 유인을 표명하더라도 그들의 동기는 변화를 위한 그들의 능력에 대한 회의로 인해 약화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특히 실패의 경험이 있으며 자긍심이 낮다.
희망은 필수 불가결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이 중요한 구성요소를 갖도록 해야 한다.
우선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건설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하고 클라이언트의 대처능력을 강화하고 잠재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과거의 대처 노력의 성공적인 결과를 강조하는 것이 희망에 대한 현실적 기초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회복지사는 면접상황에서 클라이언트의 강점이 발견되면 이를 강조해야 한다.
희망을 갖게 하는 다른 하나의 방법은 클라이언트 자신이 그 상황을 개선할 힘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믿도록 돕는 것이다.
III. 초기 단계에서 치료활동
첫 면접에서도 치료를 시작한다는 것이 심리사회적 접근법을 강조해 오던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주장되어 왔다.
1950년대 초기에는 진단이 끝날 때까지 치료를 할 수 없다고 몇몇 학자들 간에 상당한 논쟁이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들은 구체적이 아닌 치료는 첫 면접에서도 실시된다고 본다(Hollis, 1972 : 45). 치료는 처음부터 실시되며 보다 큰 이해를 위한 탐구는 치료를 통하여 계속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