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타임아웃을 사용으로 26개월 영아의 부적응 문제를 소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타임아웃에 대한 찬성, 반대의견을 토론
2. 타임아웃 적용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타임아웃을 사용으로 26개월 영아의 부적응 문제를 소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타임아웃에 대한 찬성, 반대의견을 토론
2. 타임아웃 적용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 나타날 때, 부모는 아이의 눈을 마주보며, 목소리를 높여 계속 잘못된 행동을 한다면 부모가 아이에 대하여 그에 합당한 대우를 할 것이라는 경고를 해야 한다.
셋째. 타임아웃
경고하기 후에도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 지속된다면 부모는 타임아웃을 진행하게 되며, 이때 타임아웃은 짧게는 30초, 길게는 5분으로 진행해야 한다. 여기서 타임아웃이란 잘못된 행동에 대한 체벌이 아니라 생각하는 장소나, 생각하는 의자 등 아이가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대하여 생각할 수 있는 장소나 사물 등을 의미한다.
넷째. 타임아웃 후
타임아웃 후 부모는 타임아웃 전 아동이 하던 일을 지속하도록 하며, 잘못된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이에 대하여 아동을 격려하고 지지해 주어야 한다.
Ⅲ. 결론
타임아웃은 득보다 실이 많다고 생각한다. 영아의 행동수정을 위해 더 많은 관찰학습 기회를 제공하거나 아이에게 더 많은 관심과 사랑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타임아웃은 아동학대 논란에서도 자유롭지 못한 바, 주양육자는 타임아웃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바른 부모교육 프로그램 문미옥(교수) 저 | 양서원 | 2013.11.25
셋째. 타임아웃
경고하기 후에도 아이의 잘못된 행동이 지속된다면 부모는 타임아웃을 진행하게 되며, 이때 타임아웃은 짧게는 30초, 길게는 5분으로 진행해야 한다. 여기서 타임아웃이란 잘못된 행동에 대한 체벌이 아니라 생각하는 장소나, 생각하는 의자 등 아이가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대하여 생각할 수 있는 장소나 사물 등을 의미한다.
넷째. 타임아웃 후
타임아웃 후 부모는 타임아웃 전 아동이 하던 일을 지속하도록 하며, 잘못된 행동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이에 대하여 아동을 격려하고 지지해 주어야 한다.
Ⅲ. 결론
타임아웃은 득보다 실이 많다고 생각한다. 영아의 행동수정을 위해 더 많은 관찰학습 기회를 제공하거나 아이에게 더 많은 관심과 사랑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타임아웃은 아동학대 논란에서도 자유롭지 못한 바, 주양육자는 타임아웃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바른 부모교육 프로그램 문미옥(교수) 저 | 양서원 | 2013.11.25
키워드
추천자료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자폐성 장애(자폐증)]자폐성 장애(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의 성격, 언어발달, 자폐성 장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행동치료 모델 - 행동주의의 기본가정, 행동치료의 원칙과 특징, 행동...
[아동상담] 행동주의 접근
[생활지도와 상담] ADHD 아동의 관리 - ADHD 아동의 특징, ADHD의 원인, ADHD 평가와 진단, A...
행동주의-파블로프 스키너 반두라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심적 ...
아동생활지도 1. 아동의 행동 수정 기법 중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과 바람직하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