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의 기능과 역할(욕구의 해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의 기능과 역할(욕구의 해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욕구 충족의 개별성(배타성)

2. 욕구의 직접적 해결

3. 욕구의 비시장적 해결

4. 욕구 해결의 공식성

5. 욕구의 비영리적 해결

*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할 때 공식적인 사회복지지출만을 사용했는데, 최근에는 국가들의 조세지출의 규모도 비교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은 비공식적인 사회복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5. 욕구의 비영리적 해결
전통적인 사회복지의 정의에서는 또한 비영리성을 강조한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회복지는 정부를 비롯한 비영리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비영리 사회복지 조직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복지다원주의(welfare pluralism)의 추세 하에 점차로 영리추구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민간부문의 조직들에 의해서도 사회복지 활동이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기업복지(occupational welfare)이다. 오늘날 많은 국가들에서 기업들은 피고용자들의 은퇴 후의 소득보장을 위한 기업연금, 질병에 걸렀을 때의 질병수당이나 의료보험. 피고용자들의 자녀들을 위한 탁아, 교육비 지원 등의 다양한 사회복지 활동을 하고 있다(사실 이러한 기업에 의한 사회복지는 상당 부분 정부에 의해 세제상의 혜택을 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한다면 이러한 기업복지도 부분적으로는 국가의 사회복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민간부문에서는 비영리 사회복지조직들이 주된 사회복지 활동을 했는데, 최근에는 점차로 영리를 추구하는 사회복지 조직들이 많이 생겼고, 많은 수의 사회복지사들이 이러한 조직에서 일한다(대표적인 예가, 민간 병원에서 일하는 의료사회복지사).
또한 사회복지사들도 의사나 변호사들처럼 영리를 목적으로 개인 사무소를 개업하는 추세이다.
이렇게 영리적인 조직에서의 사회복지활동이 늘어나다보니, 사회복지의 개념에서 영리적이냐 비영리적이냐의 기준은 점차 그 의미가 축소되고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8.25
  • 저작시기202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5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