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제곱 뿐이므로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선형적인 정비례 관계를 보일 것이다. 실험값 또한 이론값과 비슷한 기울기의 선형직선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험3)에서는 유도기전력의 값은 반경의 제곱의 함수로 표현되어 있는 것을 유의하여, 그래프의 x축 값을 반경 r 로 두고 그래프를 구하였다. (오차 = 0.27[%])
실험4)은 1차 코일의 인가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2차 코일의 유도기전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①식에서 1차 코일의 인가 주파수(f) 는 2차 코일의 유도기전력의 크기와 정비례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건식에서 변화요소는 1차 코일의 인가 주파수(f) 뿐 이므로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선형적인 정비례 관계를 보일 것이다. 실험값 또한 이론값과 비슷한 기울기의 선형직선을 보여주었다. (오차 = 4.76[%])
[오차분석]
-주변기기들의 자기장에 의해 측정값에 변화가 생긴다.
-1차코일 속에 2차코일을 정중앙에 위치하지 못했다.
-1차코일에 전류를 흘려줄 때 정확한양의 전류를 흘려주지 못했고, 주파수의 정확한 조절도 어려웠다.
-코일에 기록된 수치들이 실제 코일의 정보와 정확히 맞지 않았다.
[결론]
-교류전류를 인가하여 1차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2차코일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을 측정하고 이러한 유도기전력과 다른 변화 요소들과의 비례관계을 살펴보았다. ①에서 유도기전력은 1차코일의 감은수, 2차코일의 감은수, 2차코일 반경의 제곱에 비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식 유도 과정에서 이차코일의 단면적을 나타내는 에 의해 유도기전력은 반경이 아닌 반경의 제곱에 비례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실험의 각각의 측정값들은 10% 미만의 비교적 적은 오차를 보이며, 이론값의 정비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를 통해 알수 있듯이 높은 유도기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2차코일의 반경을 크게 하거나 1,2차코일의 감은수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한편, 유도기전력은 반경의 제곱에 비례하지만 크기는 코일의 감은수에 더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유도기전력을 높이는 실용적인 방법은 감은수를 늘리는 것이 되겠다.
-실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끄고 다른 실험조와의 물리적 거리를 적당히 두고 실험을 해야한다. 또한 함수발생기와 멀티미터의 조작방법을 숙지하고 전류나 전압에 변화를 줄때에는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한번,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 한번 하여 이를 통합함으로서 실험의 오차를 줄일 수 있겠다.
실험4)은 1차 코일의 인가 주파수를 변화시키면서 2차 코일의 유도기전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①식에서 1차 코일의 인가 주파수(f) 는 2차 코일의 유도기전력의 크기와 정비례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건식에서 변화요소는 1차 코일의 인가 주파수(f) 뿐 이므로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선형적인 정비례 관계를 보일 것이다. 실험값 또한 이론값과 비슷한 기울기의 선형직선을 보여주었다. (오차 = 4.76[%])
[오차분석]
-주변기기들의 자기장에 의해 측정값에 변화가 생긴다.
-1차코일 속에 2차코일을 정중앙에 위치하지 못했다.
-1차코일에 전류를 흘려줄 때 정확한양의 전류를 흘려주지 못했고, 주파수의 정확한 조절도 어려웠다.
-코일에 기록된 수치들이 실제 코일의 정보와 정확히 맞지 않았다.
[결론]
-교류전류를 인가하여 1차의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2차코일에 유도되는 유도기전력을 측정하고 이러한 유도기전력과 다른 변화 요소들과의 비례관계을 살펴보았다. ①에서 유도기전력은 1차코일의 감은수, 2차코일의 감은수, 2차코일 반경의 제곱에 비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식 유도 과정에서 이차코일의 단면적을 나타내는 에 의해 유도기전력은 반경이 아닌 반경의 제곱에 비례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실험의 각각의 측정값들은 10% 미만의 비교적 적은 오차를 보이며, 이론값의 정비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결과를 통해 알수 있듯이 높은 유도기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2차코일의 반경을 크게 하거나 1,2차코일의 감은수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한편, 유도기전력은 반경의 제곱에 비례하지만 크기는 코일의 감은수에 더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유도기전력을 높이는 실용적인 방법은 감은수를 늘리는 것이 되겠다.
-실험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주변기기의 전원을 끄고 다른 실험조와의 물리적 거리를 적당히 두고 실험을 해야한다. 또한 함수발생기와 멀티미터의 조작방법을 숙지하고 전류나 전압에 변화를 줄때에는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한번, 작은 쪽에서 큰 쪽으로 한번 하여 이를 통합함으로서 실험의 오차를 줄일 수 있겠다.
키워드
추천자료
[물리학 및 실험] 페러데이(Faraday)의 법칙 :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의 변화와 자기선속의 ...
[A+, 그래프 및 오차결과 상세] 1차원 충돌 결과레포트
[A+, 그래프 및 오차결과 상세] RC 충방전회로 실험_결과레포트
[A+, 그래프 및 오차결과 상세] wheatstone bridge를 이용한 미지저항 측정 결과보고서
[A+, 그래프 및 오차결과 상세] 구심력실험 결과레포트
[A+, 그래프 및 오차결과 상세] 선팽창계수 결과레포트 A+받음 그래프상세
[A+, 그래프 및 오차결과 상세] 인장시험 결과레포트
[A+, 그래프 및 오차결과 상세] 기초 자기장 전자기 유도 실험
[A+, 그래프 및 오차결과 상세] 쿨롱의 법칙 결과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