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a) 인장강도
b) 연성을 나타내는 척도
c) 항복을 나타내는 척도
d) 탄성계수와 프와송비
[3] 실험방법 및 기구
[4] 실험 시 유의사항
[5] 참고문헌
[2] 실험이론
a) 인장강도
b) 연성을 나타내는 척도
c) 항복을 나타내는 척도
d) 탄성계수와 프와송비
[3] 실험방법 및 기구
[4] 실험 시 유의사항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탄성 계수는 응력과 변형도의 비율로 정의된다. 재료의 시험편에 대한 인장 또는 전단 시험으로 얻은 응력-변형도 선도의 탄성 구간 기울기로부터 탄성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탄성한계 내에 있어서의 훅의 법칙의 정수E. (영 계수)
2. 훅의 법칙 (Hookie’s law)
고체에 힘을 가하여 변형시키는 경우, 힘이 어떤 크기를 넘지 않는 한 변형의 양은 힘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법칙을 말하고, 이 법칙이 적용되는 힘의 한계를 비례한계라 한다.
탄성한계 내에서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 F와 이것에 의하여 생기는 변형 x는 비례함을 의미한다.
(=힘의 상수)
3. 프와송비 (Poisson’s ratio)
균일한 굵기의 탄성 막대기 양쪽 끝에 힘을 가하여 잡아당기면 그 방향으로는 늘어남과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는 오그라든다. 이때 이 막대기의 단위 길이 당의 오그라듦과 단위 길이 당의 늘어남과의 비를 말한다.
이 실험에서는 재료의 탄성한도 이내에서 세로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 세로변형 ε와 가로변형 ε′의 비.
(=프와송비, 역수= 프와송수)
[3] 실험방법 및 기구
a) 실험 방법
1. 표준시편을 준비하여 실제 신장부의 직경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표점 거리를 표시한다.
2. 시험기의 유압작동상태, 감도등을 점검하고 상·하부 cross head에서 시험편에 적합한 척 (chuck)으로 교체한다.
3. 인장 시험기에 시료를 설치하고 정확한 표점 거리 내의 변형을 측정하기 위해 신장계를 설치한다.
4. 인장시험기의 하중과 변위, 신장계의 변위를 0점 조정한다.
5. 제어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시험을 실행시켜 하중을 가한다.
6. 신장계의 최대측정량(2.5mm)에 다다르면 신장계를 제거하고 시편이 파단 될때까지 계속 하중을 가한다.
7. 파단 후, 시편의 파단 부 최소직경을 측정하여 data sheet에 기록한다.
8. 파단 된 시편을 맞대어 늘어난 후의 표점거리를 측정하여 data sheet에 기록한다.
9. Data를 이용하여 Stress-Strain Diagram을 그린다.
10. Diagram을 이용하여 재료의 물성치를 계산한다.
b) 실험 기구
1. 인장 시험편
2. 인장 시험기
[4] 실험 시 유의사항
1. 시험기기 작동요령을 숙지하고 시동한다.
2. 시험편의 모양에 적합한 손잡이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 중 시험편에는 축방향의 하중만이 가해지도록 한다. 시험편의 단면에서 응력분포가 불균일하게 되면, 시험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시험편을 정확히 가운데 위치하도록 한다.
3.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균일하도록 한다.
4. 시험 온도는 10~35의 범위 내로 하고 필요하다면 시험 온도를 기록한다. 필요시 온도는 235로 한다.
[5] 참고문헌
- 인장시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강도평가그룹 이해무
- 재료역학 제7판 James M. Gere, Barry Goodno저 CENGAGE learning
- 공학나라
- 다음 대백과사전
-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사전연구사. 기계공학대사전
- 자동차산업신문사 편집부. 자동차용어큰사전
2. 훅의 법칙 (Hookie’s law)
고체에 힘을 가하여 변형시키는 경우, 힘이 어떤 크기를 넘지 않는 한 변형의 양은 힘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법칙을 말하고, 이 법칙이 적용되는 힘의 한계를 비례한계라 한다.
탄성한계 내에서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 F와 이것에 의하여 생기는 변형 x는 비례함을 의미한다.
(=힘의 상수)
3. 프와송비 (Poisson’s ratio)
균일한 굵기의 탄성 막대기 양쪽 끝에 힘을 가하여 잡아당기면 그 방향으로는 늘어남과 동시에 수직 방향으로는 오그라든다. 이때 이 막대기의 단위 길이 당의 오그라듦과 단위 길이 당의 늘어남과의 비를 말한다.
이 실험에서는 재료의 탄성한도 이내에서 세로방향으로 하중을 가했을 때 세로변형 ε와 가로변형 ε′의 비.
(=프와송비, 역수= 프와송수)
[3] 실험방법 및 기구
a) 실험 방법
1. 표준시편을 준비하여 실제 신장부의 직경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표점 거리를 표시한다.
2. 시험기의 유압작동상태, 감도등을 점검하고 상·하부 cross head에서 시험편에 적합한 척 (chuck)으로 교체한다.
3. 인장 시험기에 시료를 설치하고 정확한 표점 거리 내의 변형을 측정하기 위해 신장계를 설치한다.
4. 인장시험기의 하중과 변위, 신장계의 변위를 0점 조정한다.
5. 제어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시험을 실행시켜 하중을 가한다.
6. 신장계의 최대측정량(2.5mm)에 다다르면 신장계를 제거하고 시편이 파단 될때까지 계속 하중을 가한다.
7. 파단 후, 시편의 파단 부 최소직경을 측정하여 data sheet에 기록한다.
8. 파단 된 시편을 맞대어 늘어난 후의 표점거리를 측정하여 data sheet에 기록한다.
9. Data를 이용하여 Stress-Strain Diagram을 그린다.
10. Diagram을 이용하여 재료의 물성치를 계산한다.
b) 실험 기구
1. 인장 시험편
2. 인장 시험기
[4] 실험 시 유의사항
1. 시험기기 작동요령을 숙지하고 시동한다.
2. 시험편의 모양에 적합한 손잡이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 중 시험편에는 축방향의 하중만이 가해지도록 한다. 시험편의 단면에서 응력분포가 불균일하게 되면, 시험의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시험편을 정확히 가운데 위치하도록 한다.
3.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균일하도록 한다.
4. 시험 온도는 10~35의 범위 내로 하고 필요하다면 시험 온도를 기록한다. 필요시 온도는 235로 한다.
[5] 참고문헌
- 인장시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강도평가그룹 이해무
- 재료역학 제7판 James M. Gere, Barry Goodno저 CENGAGE learning
- 공학나라
- 다음 대백과사전
- 네이버 지식백과
- 한국사전연구사. 기계공학대사전
- 자동차산업신문사 편집부. 자동차용어큰사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