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Ⅲ 결론
-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으로 경감되었다고 말한다..
1.통증에 대하여 사정했다
: 오른쪽 수술부위는 쑤시는 듯한 통증과 어깨는 뻐근한 느낌이 들며, 절개부위는 따끔하다.
2. 환자에게 통증의 원인을 설명했다.
: 유방과 겨드랑이에있는 신경절을 제거해냈기 때문에 쑤시는듯한 통증이 옵니다.
3. PCA에 대한 교육을 했다.
: 통증이 느껴지실 때 여기 동그란 버튼을 눌러주세요. 한번 약이 들어가면 30분간 지속되며, 그 사이에 여러번 눌러도 약이 들어가지 않아요.
4. 심호흡, 기침하게 될 시 수술 부위를 지지하도록 교육했다
: 수술부위가 벌어지지않도록, 심호흡이나 기침 시 지지하면서 조심히 해주세요.
5. 조기이상과, 가벼운 팔 돌리기 운동을 권장했다.
: 수술 후 가벼운 운동과 움직임으로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어요.
6. dressing 부위의 삼출액을 사정했다.
: 수술 후 첫날에
10/7
14:00
오른쪽 유방 및 어깨
upper
초기
평가
쑤시다
지속적
NRS
7
10/8
14:00
재평가
쑤시다
지속적
NRS
4
<단기목표>
달성
⇒17.10.8 대상자의 통증사정척도가 24시간 이내 7점 →4점으로 경감되었다.
계획
이론적 근거
1. 통증 감각장애, 통증부위, 기간 및 강도 등을 사정한다.
가슴, 어깨 및 수술한 쪽 팔의 경직, 부종, 저린 느김 및 따끔거림 등을 확인한다.
2. 환자에게 통증의 원인을 설명한다.
3. PCA에 대한 교육을 통해 통증이 느껴질 시에 누를 것을 교육한다.
4.심호흡과 기침 시 가슴을 지지한다.
5. 조기 이상을 격려하고, 이완요법 및 치료적 접촉 등을 활용한다.
6. dressing 부위에 부종, 통증, 삼출액양상에 대해 정확히 사정한다.
1. 통증은 수술 범위, 배액관의 유무,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환자의 능력에 따라 다르므로 진통제의 필요성과 효과를 확인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2. 감각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겨드랑이 부위의 신경이 손상되면 상박과 견갑골 부위에 저린 감각이나, 쑤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3. 두려움이 감소되고 대처능력과 기동력이 증가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4. 통증이 감소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5. 이완되고 편안하면 대처능력이 증가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간호진단: 수술로 인한 신체구조와 관련된 상황적 자존감 저하
간호사정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 “ 오른쪽 가슴이 푹 꺼졌어 요,, 이제 어떡하죠?”
- “ 밖에 다닐 때 창피해요..”
- “ 우울해요,...”
- 방문객이 찾아왔을 시 담요로 가슴을 가리는 행동을 관찰함
- 유방 재건술에 대해 딸에게 물어보는 것을 관찰함.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 자신의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수용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일주일 이후부터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
1. 대상자가 “ 암 수술했으니, 이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해야지~”라고 직접적으로 표현한 것을 관찰했다.
2. 슬픔, 우울 및 비효율적 대처 등 자존감 손상정도를 사정했다.
: 지금 어떤 기분? - 우울해요
지금 얼마나 슬픈? - 말로 이룰 수 없어요.
지금 자신을 비참하게 하는 것은? - 수술한 한쪽 가슴이 예전같지 않아서 제 자신이 여자가 아닌 것 같아요.
3. 대상자가 직접 현재 상황에 대해 말로 표현하고, 유방 재건술에 대해 관심을 갖고 알아보고계신 것을 관찰했다.
4. 유방외과 병동에서 제공하는 [유방암수술환자 운동 매뉴얼]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관찰했다.
5. 배우자, 환자와 함께하는 대화에 간호사도 같이 참여하여 관련된 이야기를했다.
<단기목표>
달성
⇒17.10.09에 자신에게 일어난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수용하였다
: 병동 내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장기목표>
달성
⇒ 대상자는 일주일 이후부터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정했다.
: 유방암관리방법에 관해 일주일마다 Plan을 작성하기시작했다.
계획
이론적 근거
1. 수술부위 드레싱이 제거된 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고 경청한다.
2. 슬픔, 우울 및 비효율적 대처 등 자존감 손상정도를 사정한다.
3. 현재의 상황과 미래에 대한 기대헤 관해 말하도록 격려한다.
4. 자가간호 및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5. 배우자와 걱정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1.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2. 인조유방을 착용하거나, 유방재건술이 지연될 경우 슬픔이 다시 커질 수 있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3. 유방 상실은 상처를 보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보기 싫은 외모 등 여러 가지 감정의 원인이 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4. 건강한 행동을 지속하도록 격려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5. 남편의 반응에 대한 두려움, 성적 요구 감소, 상실감 등이 감소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Ⅲ 결론
대상자 유OO님은 2017. 10.07일에 BCT(Breast conservation treatment)국소절제술, 액와 절제술을 시행하신 상태로 호흡기능부전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절개 및 배액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로 인한 신체구조와 관련된 상황적 자존감 저하의 간호진단을 내세워 그에 맞는 간호수행, 과정을 도입하여 관찰한 결과 유OO님의 신체 상태와 컨디션이 좋은 결과를 보이게 되었다. 간호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질병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방법을 해결해 줌으로써 대상자뿐만아니라 치료자입장에서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 참고 문헌 -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외 (2015).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금자 외 (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현문사
송경애 외 (2014). 「최신 기본간호학 개정판(하)」. 수문사
임난영 외 (2011). 「건강사정」. 수문사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1.통증에 대하여 사정했다
: 오른쪽 수술부위는 쑤시는 듯한 통증과 어깨는 뻐근한 느낌이 들며, 절개부위는 따끔하다.
2. 환자에게 통증의 원인을 설명했다.
: 유방과 겨드랑이에있는 신경절을 제거해냈기 때문에 쑤시는듯한 통증이 옵니다.
3. PCA에 대한 교육을 했다.
: 통증이 느껴지실 때 여기 동그란 버튼을 눌러주세요. 한번 약이 들어가면 30분간 지속되며, 그 사이에 여러번 눌러도 약이 들어가지 않아요.
4. 심호흡, 기침하게 될 시 수술 부위를 지지하도록 교육했다
: 수술부위가 벌어지지않도록, 심호흡이나 기침 시 지지하면서 조심히 해주세요.
5. 조기이상과, 가벼운 팔 돌리기 운동을 권장했다.
: 수술 후 가벼운 운동과 움직임으로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어요.
6. dressing 부위의 삼출액을 사정했다.
: 수술 후 첫날에
10/7
14:00
오른쪽 유방 및 어깨
upper
초기
평가
쑤시다
지속적
NRS
7
10/8
14:00
재평가
쑤시다
지속적
NRS
4
<단기목표>
달성
⇒17.10.8 대상자의 통증사정척도가 24시간 이내 7점 →4점으로 경감되었다.
계획
이론적 근거
1. 통증 감각장애, 통증부위, 기간 및 강도 등을 사정한다.
가슴, 어깨 및 수술한 쪽 팔의 경직, 부종, 저린 느김 및 따끔거림 등을 확인한다.
2. 환자에게 통증의 원인을 설명한다.
3. PCA에 대한 교육을 통해 통증이 느껴질 시에 누를 것을 교육한다.
4.심호흡과 기침 시 가슴을 지지한다.
5. 조기 이상을 격려하고, 이완요법 및 치료적 접촉 등을 활용한다.
6. dressing 부위에 부종, 통증, 삼출액양상에 대해 정확히 사정한다.
1. 통증은 수술 범위, 배액관의 유무,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환자의 능력에 따라 다르므로 진통제의 필요성과 효과를 확인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2. 감각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겨드랑이 부위의 신경이 손상되면 상박과 견갑골 부위에 저린 감각이나, 쑤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3. 두려움이 감소되고 대처능력과 기동력이 증가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4. 통증이 감소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5. 이완되고 편안하면 대처능력이 증가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간호진단: 수술로 인한 신체구조와 관련된 상황적 자존감 저하
간호사정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 “ 오른쪽 가슴이 푹 꺼졌어 요,, 이제 어떡하죠?”
- “ 밖에 다닐 때 창피해요..”
- “ 우울해요,...”
- 방문객이 찾아왔을 시 담요로 가슴을 가리는 행동을 관찰함
- 유방 재건술에 대해 딸에게 물어보는 것을 관찰함.
<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 자신의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수용할 수 있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일주일 이후부터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정할 수 있다.
1. 대상자가 “ 암 수술했으니, 이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해야지~”라고 직접적으로 표현한 것을 관찰했다.
2. 슬픔, 우울 및 비효율적 대처 등 자존감 손상정도를 사정했다.
: 지금 어떤 기분? - 우울해요
지금 얼마나 슬픈? - 말로 이룰 수 없어요.
지금 자신을 비참하게 하는 것은? - 수술한 한쪽 가슴이 예전같지 않아서 제 자신이 여자가 아닌 것 같아요.
3. 대상자가 직접 현재 상황에 대해 말로 표현하고, 유방 재건술에 대해 관심을 갖고 알아보고계신 것을 관찰했다.
4. 유방외과 병동에서 제공하는 [유방암수술환자 운동 매뉴얼]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관찰했다.
5. 배우자, 환자와 함께하는 대화에 간호사도 같이 참여하여 관련된 이야기를했다.
<단기목표>
달성
⇒17.10.09에 자신에게 일어난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수용하였다
: 병동 내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
<장기목표>
달성
⇒ 대상자는 일주일 이후부터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정했다.
: 유방암관리방법에 관해 일주일마다 Plan을 작성하기시작했다.
계획
이론적 근거
1. 수술부위 드레싱이 제거된 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고 경청한다.
2. 슬픔, 우울 및 비효율적 대처 등 자존감 손상정도를 사정한다.
3. 현재의 상황과 미래에 대한 기대헤 관해 말하도록 격려한다.
4. 자가간호 및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5. 배우자와 걱정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1.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2. 인조유방을 착용하거나, 유방재건술이 지연될 경우 슬픔이 다시 커질 수 있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3. 유방 상실은 상처를 보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보기 싫은 외모 등 여러 가지 감정의 원인이 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4. 건강한 행동을 지속하도록 격려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5. 남편의 반응에 대한 두려움, 성적 요구 감소, 상실감 등이 감소된다.
[수문사, 성인간호학 II 1654p]
Ⅲ 결론
대상자 유OO님은 2017. 10.07일에 BCT(Breast conservation treatment)국소절제술, 액와 절제술을 시행하신 상태로 호흡기능부전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절개 및 배액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수술로 인한 신체구조와 관련된 상황적 자존감 저하의 간호진단을 내세워 그에 맞는 간호수행, 과정을 도입하여 관찰한 결과 유OO님의 신체 상태와 컨디션이 좋은 결과를 보이게 되었다. 간호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질병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방법을 해결해 줌으로써 대상자뿐만아니라 치료자입장에서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 참고 문헌 -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김금순 외 (2015).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김금자 외 (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서울:현문사
송경애 외 (2014). 「최신 기본간호학 개정판(하)」. 수문사
임난영 외 (2011). 「건강사정」. 수문사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유방암 case study
유방암-Breast cancer
cervical cancer(자궁경부암)case study
유방암 케이스
유방암 간호진단중재 case study (Breast cancer)
[모성간호학][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실습] 위암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pptx
유방암 case study [여성병동 실습 컨퍼런스] - 여성간호학 실습 유방암 컨퍼런스
유방암 케이스 (유방암 유방암 케이스 스터디 유방암 CASE STUDY 유방암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