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내용분석법] 내용분석의 절차(과정, 단계)
I. 문제형성
II. 모집단 선정
III. 표본추출
IV. 내용의 범주화
V. 자료의 분석
1) 시간-공간체계
2) 출현체계
3) 빈도체계
4) 강도체계
* 참고문헌
I. 문제형성
II. 모집단 선정
III. 표본추출
IV. 내용의 범주화
V. 자료의 분석
1) 시간-공간체계
2) 출현체계
3) 빈도체계
4) 강도체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업을 하게 된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분석단위가 출현하는 회수나 강도를 계산하는 것을 집계(enumeration or counting)체계라 하며, 이는 분석단위의 특성에 따라 출현 유무, 빈도, 시간 및 공간, 강도체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태성 외, 2006 : 287). 이렇게 하나의 형태 또는 다른 형태로 계량화(quantitative) 되는 과정을 자료분석과정이라고 한다. 수량화(quantification)는 다음 네 가지의 수량체계(systems of enumeration)중 하나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1) 시간-공간체계(time-space system)
다양한 공간(예를 들면 신문기사의 단수)의 크기나 시간단위(예를 들면, 라디오 뉴스에 편성된 시간)와 같이 다양한 범주들의 상대적 크기를 기술한다.
(2) 출현체계(appearance system)
분석의 단위 속에 연구자가 찾고자 하는 어떤 특정 속성이 나타나 있는지 아닌지를 이분법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3) 빈도체계(frequency system)
빈도체계는 주어진 속성의 발생이 모두 기록되는 것을 말한다. 특정 속성들이 몇 번 나타나는지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다.
(4) 강도체계(intensity system)
일반적으로 태도나 가치를 다루는 연구에서 사용된다. 어떤 진술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다문항으로 구성된 척도(scale)나 지수(index)로 측정하거나 단일항목의 척도로 측정한다.
강도는 척도나 지수에 있어서 전체문항의 평균점수나 또는 문항 전체의 총점으로 계산된다. 써스톤의 등간척도는 그 예가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1) 시간-공간체계(time-space system)
다양한 공간(예를 들면 신문기사의 단수)의 크기나 시간단위(예를 들면, 라디오 뉴스에 편성된 시간)와 같이 다양한 범주들의 상대적 크기를 기술한다.
(2) 출현체계(appearance system)
분석의 단위 속에 연구자가 찾고자 하는 어떤 특정 속성이 나타나 있는지 아닌지를 이분법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3) 빈도체계(frequency system)
빈도체계는 주어진 속성의 발생이 모두 기록되는 것을 말한다. 특정 속성들이 몇 번 나타나는지에 대한 기록을 나타낸다.
(4) 강도체계(intensity system)
일반적으로 태도나 가치를 다루는 연구에서 사용된다. 어떤 진술의 강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다문항으로 구성된 척도(scale)나 지수(index)로 측정하거나 단일항목의 척도로 측정한다.
강도는 척도나 지수에 있어서 전체문항의 평균점수나 또는 문항 전체의 총점으로 계산된다. 써스톤의 등간척도는 그 예가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사의 개념 및 과정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최소조건,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특성,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내용...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전제, 목적,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단계별 적용절차, 준비, 수업관찰...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기본방향,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중요성, 수업관찰과 수업분석의 절...
[특별활동교육과정]특별활동의 개념, 특별활동의 목표, 특별활동의 기본방향, 특별활동의 내...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단계와 절차
국가자격시험 사회복지사 1급 사회복지조사론 특강 자료
[사회복지조사론] 프로그램평가조사 이론정리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중요성, 사전 고려사항...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의 개념과 특징 및 형태, 사회복지조사 과정(단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