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 프로세서의 명령어 형식(x86)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용 프로세서의 명령어 형식(x86)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x86 프로세서

x86 명령어 형식

x86 명령어 예시

x86 CPU

본문내용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프로세서
고급 언어 명령어 하나에 각기 하나씩의 기계 명령어를 대응시킴으로써 명령어 수가 많고, 가변 길이의 다양한 명령어를 갖는 CPU구조
◎특성
1. 명령어의 포맷이나 길이에 관한 無규칙
-각각의 명령어는 사양을 충족시키기 가장 적합한 포맷과 크기를 갖도록 설계
-명령어의 길이가 고정될 필요가 없다는 것은 각각의 명령어가 프로세싱 성능의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을 의미

2. 다양한 주소지정 방식
ex. 즉시 방식, 레지스터 방식, 변위 방식, 베이스 방식, 상대 방식

3. 하나 이상의 클럭 주기로 하나의 명령어 실행
-명령어가 여러 클럭 주기를 요구하더라도, 복합한 프로세스 결과를 전반적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

[예] PDP 계열 프로세서, Intel Pentium 계열 프로세서

8개의 범용 레지스터
EAX ( Accumulator Register ) : 산술, 논리 연산을 할때 사용되며 함수의 리턴 값을 저장.
EBX ( Base Register ) : 메모리 주소를 저장.
ECX ( Count Register  ) : 우리가 흔히 아는 반복문에서 카운트로 사용.
EDX ( Data register ) : 보통 EAX와 함께 연동해서 사용하며, 큰수의 복잡한 연산 과 부호 확장 명령에 사용.
EBP ( Base Pointer Register ) : Stack의 시작 주소 저장.
ESP ( Stack Pointer Register ) : Stack의 끝지점 주소가 저장. push pop 에 따라 4byte씩 값이 변한다.
ESI ( Source Index Register ) :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복사할 때 데이터의 주소 저장.
EDI ( Destination Index Register ) : 데이터를 복사할 때 목적지의 주소 저장.
  • 가격2,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20.09.23
  • 저작시기2020.5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1136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