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변검사
2. 연속적 요 검사
3. 소변 배양
4. 제거율 검사
5. 농축도와 희석도
6. 혈액 화학적 검사
7. 방사선 검사
2. 연속적 요 검사
3. 소변 배양
4. 제거율 검사
5. 농축도와 희석도
6. 혈액 화학적 검사
7. 방사선 검사
본문내용
다.
6. 혈액 화학적 검사
① 혈청요소질소 검사
<정상>
기준
수치
증가
감소
성인
5 ~ 25mg/dl
탈수, 고단백,
혈액공급의 감소,
신부전, 신장애,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급성신염, 위장관출혈,
패혈증, 급성심근경색증, 당뇨, 감초
혈액량 과다증,
심한 간손상,
저단백식이,
영양실조(질소불균형), IV 포도당수액,
임신
유아
5 ~ 15mg/dl
어린이
5 ~ 20mg/dl
노인
성인보다 약간 높다.
② 일반 혈액 검사 (CBC)
<정상>
기준
남자
여자
백혈구(WBC)
3.8 - 10.58x10³/mm ³
3.150 - 8.63x10³/mm³
적혈구(RBC)
423만 - 559만/mm³
368만 - 483만/mm³
혈소판(PLT)
141 - 316x10³/uL
138 - 347 x10³/uL
혈색소(Hb)
13.6 - 17.4 g/dL
11.2 - 14.8 g/dL
Hct
40.4 - 51.3 %
31.8 - 43.8 %
MCV
86.5 - 101.5 fL
77.1 - 99.5 fL
MCH
29 - 34.4 g/dL
24 - 33.6 g/dL
MCHC
32.3 - 35.4 g/dL
30.8 - 34.9g/dL
RDW
11.9 - 14.1 %
11.7 -16.3 %
PDW
9.7 - 16. 3 %
9.5 - 16.2 %
7. 방사선 검사
①신장, 요관 방광의 X-선 검사
⇒ 조영제를 쓰지 않고, 하복부를 단순 촬영하는 방법.
신장의 윤곽, 즉 크기, 형태, 위치를 파악하고 요도결석이나 이물질을 증명할 수 있으 며 골격의 변화도 판별
-검사방법: 환자의 양팔을 머리 위로 올리게 한 채 와위를 취하게 한다.
하복부의 X-선 사진을 촬영한다.
-금기사항 : 태아에게 방사선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임신부에게는 실시하지 않는다.
-
②요로조영검사
⇒ 요오드 화합물을 함유한 조영제를 정맥 내로 주사하여 요오드가 신장에서 여과되어 요 로로 배설되는 상을 찍는 것.
-신장, 요관과 방광의 위치, 크기, 구성을 확인하고 신배와 신우에 색소가 차는 것을
-정상 : 신장, 신우, 요관, 방광의 크기, 모양, 위치가 정상이다.
신장을 통한 조영제의 통과시간으로 평가된 신장의 배설기능지 정상적이다.
③역행성 신우촬영 검사
⇒ 방광경을 통해 구경이 작은 카테터를 신우내로 삽입.
-검사방법 : 소량의 조영제를 신우에 천천히 주입.
X-선 촬영을 한다.
조영제를 더 주입한 후 카테터를 제거하고 요관의 윤곽을 촬영, 기록.
④방광요도 조영술
⇒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를 투입한 후 요도와 방광을 X-선 촬영으로 관찰하는 것.
방광과 요도를 따로 검사할 수 있다.
-방광 조영술 :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나 공기를 주입하여 방광을 충만 시켜 방광의 형 태와 크기를 촬영. 방광의 역류원인을 찾아내고 잔뇨량을 측정.
-요도 조영술 : 요도의 안쪽 형태와 크기의 윤곽을 볼 수 있는 방법. 요도 출혈, 요도 협착, 요도 내 종양 등을 발견.
⑤신혈관 촬영술
⇒ 신 혈관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신장동맥 협착, 신장정맥혈전증, 신장혈관의고혈압, 외상 후 신장 혈관의 손상, 급성신부전 의 원인조사, 혈관종양, 혈관낭종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된다.
-신장동맥 촬영: 조영제를 신장혈관 가지에 주사한 후 신장혈관의 윤곽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방법.
⑥ 컴퓨터 단층촬영술
⇒신장의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 비침투적 절차이면서 비정상적인 조직 형성 뿐 아니라 신낭하와 신주의 출혈과 기능하지 않는 신장을 평가하며, 낭종, 폐색, 결석, 선천성 기형 등 신장의 상태를 진단.
-경우에 따라 조영제를 정맥주사하여 신장의 영상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6. 혈액 화학적 검사
① 혈청요소질소 검사
<정상>
기준
수치
증가
감소
성인
5 ~ 25mg/dl
탈수, 고단백,
혈액공급의 감소,
신부전, 신장애,
사구체신염, 신우신염,
급성신염, 위장관출혈,
패혈증, 급성심근경색증, 당뇨, 감초
혈액량 과다증,
심한 간손상,
저단백식이,
영양실조(질소불균형), IV 포도당수액,
임신
유아
5 ~ 15mg/dl
어린이
5 ~ 20mg/dl
노인
성인보다 약간 높다.
② 일반 혈액 검사 (CBC)
<정상>
기준
남자
여자
백혈구(WBC)
3.8 - 10.58x10³/mm ³
3.150 - 8.63x10³/mm³
적혈구(RBC)
423만 - 559만/mm³
368만 - 483만/mm³
혈소판(PLT)
141 - 316x10³/uL
138 - 347 x10³/uL
혈색소(Hb)
13.6 - 17.4 g/dL
11.2 - 14.8 g/dL
Hct
40.4 - 51.3 %
31.8 - 43.8 %
MCV
86.5 - 101.5 fL
77.1 - 99.5 fL
MCH
29 - 34.4 g/dL
24 - 33.6 g/dL
MCHC
32.3 - 35.4 g/dL
30.8 - 34.9g/dL
RDW
11.9 - 14.1 %
11.7 -16.3 %
PDW
9.7 - 16. 3 %
9.5 - 16.2 %
7. 방사선 검사
①신장, 요관 방광의 X-선 검사
⇒ 조영제를 쓰지 않고, 하복부를 단순 촬영하는 방법.
신장의 윤곽, 즉 크기, 형태, 위치를 파악하고 요도결석이나 이물질을 증명할 수 있으 며 골격의 변화도 판별
-검사방법: 환자의 양팔을 머리 위로 올리게 한 채 와위를 취하게 한다.
하복부의 X-선 사진을 촬영한다.
-금기사항 : 태아에게 방사선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임신부에게는 실시하지 않는다.
-
②요로조영검사
⇒ 요오드 화합물을 함유한 조영제를 정맥 내로 주사하여 요오드가 신장에서 여과되어 요 로로 배설되는 상을 찍는 것.
-신장, 요관과 방광의 위치, 크기, 구성을 확인하고 신배와 신우에 색소가 차는 것을
-정상 : 신장, 신우, 요관, 방광의 크기, 모양, 위치가 정상이다.
신장을 통한 조영제의 통과시간으로 평가된 신장의 배설기능지 정상적이다.
③역행성 신우촬영 검사
⇒ 방광경을 통해 구경이 작은 카테터를 신우내로 삽입.
-검사방법 : 소량의 조영제를 신우에 천천히 주입.
X-선 촬영을 한다.
조영제를 더 주입한 후 카테터를 제거하고 요관의 윤곽을 촬영, 기록.
④방광요도 조영술
⇒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를 투입한 후 요도와 방광을 X-선 촬영으로 관찰하는 것.
방광과 요도를 따로 검사할 수 있다.
-방광 조영술 : 카테터를 통해 조영제나 공기를 주입하여 방광을 충만 시켜 방광의 형 태와 크기를 촬영. 방광의 역류원인을 찾아내고 잔뇨량을 측정.
-요도 조영술 : 요도의 안쪽 형태와 크기의 윤곽을 볼 수 있는 방법. 요도 출혈, 요도 협착, 요도 내 종양 등을 발견.
⑤신혈관 촬영술
⇒ 신 혈관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신장동맥 협착, 신장정맥혈전증, 신장혈관의고혈압, 외상 후 신장 혈관의 손상, 급성신부전 의 원인조사, 혈관종양, 혈관낭종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된다.
-신장동맥 촬영: 조영제를 신장혈관 가지에 주사한 후 신장혈관의 윤곽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방법.
⑥ 컴퓨터 단층촬영술
⇒신장의 병변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 비침투적 절차이면서 비정상적인 조직 형성 뿐 아니라 신낭하와 신주의 출혈과 기능하지 않는 신장을 평가하며, 낭종, 폐색, 결석, 선천성 기형 등 신장의 상태를 진단.
-경우에 따라 조영제를 정맥주사하여 신장의 영상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추천자료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레포트-신장,남성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비뇨기계와 남성생식기계 구조와 기능
신장결석 케이스 (Renal stone)
비뇨기계와 남성생식기계의 구조와 기능 및 용어정리
[비뇨기][비뇨기관][신장][배뇨][세뇨][장애][질환]비뇨기(비뇨기관)의 개요, 비뇨기(비뇨기...
[성인간호학실습] 비뇨기계 체크리스트 Check List 문헌고찰 (기구 및 물품, 소변검사, 혈액...
안과 비뇨기계 실습 과제, 녹내장, 백내장, 망막박리, 당뇨병성망막증, 신장암, 방광암, 전립...
비뇨기계염증성질환과간호, 비뇨기계간호, 방광염, 요관염, 신우신염, 신농양, 신결핵, 요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