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적안정
2. 동적안정
3. 평형과 조종
4. 항공기 기준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정적안정
2. 동적안정
3. 평형과 조종
4. 항공기 기준축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위에 놓여진 공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정적 중립인 경우에는 그림 처럼 공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평형 상태에서 이동되고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즉 비행기를 조종할 때 한번 움직인 비행기가 다시 평형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초기 경향이 없고, 그 곳에서 바로 평형 상태가 이루어지므로 조종이 원활해진다. 그리고 안정성이 작아서 움직인 곳에서 바로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데 조종사의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안정성이 아주 작은 비행기는 무리한 조종 계통의 작동이 뒤따르고 조종사의 주의와 능력 및 경험을 필요로 한다.
조종ㅇ성에 대한 정적 불안정의 효과는 그림 (d)에 나타낸 것처럼, 언덕 위에 놓여진 공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공이 언덕 꼭대기의 평형 상태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면 운동하는 쪽으로 힘을 받아서 움직인다. 이때 임의의 수평 거리만큼만 이동하도록 공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어야 한다.
4. 항공기 기준축
비행기에서는 안정과 조종, 그리고 운동에 나타나는 힘과 모멘트의 작용을 가시화 하기 위해서 무게 중심을 원점에 둔 좌표축으로서 기준 축을 사용하며 이를 기체축이라 한다.
기체축은 안정성을 다루는데 편리하며 세로 축, 가로 축, 수직 축으로 나누어진다. 각 축에 관해 회전하는 경향인 모멘트가 존재한다.
세로축은 비행기의 전후 축을 발하며, X축 이라고도 하는데, 이 축에 관한 모멘트를 옆놀이 모멘트라고 한다.
가로 축은 비행기의 좌우 축을 가리키며 Y축이라고도 하는데, 이 축에 관한 모멘트를 키놀이 모멘트라 한다.
수직 축은 비행기의 상하 축을 말하고 Z축이라고도 하는데, 이 축에 관한 모멘트를 빗놀이 모멘트라 한다.
비행기의 조종도 역시 3개의 기준 축에 대해 비행기를 운동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승강키, 도움날개 및 방향키로 구성된 주 조종면을 조작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세로 조종면은 승강키로써 키놀이 운동을 발생시키는 조종면이며, 비행기 기수를 높이거나 낮추는 데 사용된다. 승강키는 수직꼬리날개에 발생하는 양력을 변화시킨다.
가로 조종면은 도움날개로서 옆놀이 운동을 발생시키는 조종면이며, 비행기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선회시키는데 사용된다. 도움날개는 양쪽 날개에 발생하는 양력을 변화시킨다.
방향 조종면은 방향키로써 빗놀이 운동을 발생시키는 조종면이며, 비행기 기수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는 데 사용된다. 방향타는 수직꼬리날개에 발생하는 측분력을 변화시킨다.
또한 3축에 대한 미세한 조종은 각각의 조종면에 달린 탭을 이용한다. 따라서 각각의 조종면에 장착된 탭은 부 조종면 이라고 일컫는다.
안정성과 조종성은 서로 상반되는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조종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는 없다. 실제로 비행기를 안정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하면 비행기의 조종성은 나빠진다. 즉 안정성이 좋아지면 조종성이 나빠지고, 조종성이 좋아지면 안정성이 나빠진다.
비행기의 안정성은 3가지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첫째로 세로 안정성은 가로 축에 대한 키놀이 효과의 안정성을 다루는 키놀이 안정성을 의
정적 중립인 경우에는 그림 처럼 공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평형 상태에서 이동되고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다. 즉 비행기를 조종할 때 한번 움직인 비행기가 다시 평형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초기 경향이 없고, 그 곳에서 바로 평형 상태가 이루어지므로 조종이 원활해진다. 그리고 안정성이 작아서 움직인 곳에서 바로 평형 상태를 유지하는 데 조종사의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안정성이 아주 작은 비행기는 무리한 조종 계통의 작동이 뒤따르고 조종사의 주의와 능력 및 경험을 필요로 한다.
조종ㅇ성에 대한 정적 불안정의 효과는 그림 (d)에 나타낸 것처럼, 언덕 위에 놓여진 공으로 나타낼 수 있다.
공이 언덕 꼭대기의 평형 상태로부터 아래로 내려가면 운동하는 쪽으로 힘을 받아서 움직인다. 이때 임의의 수평 거리만큼만 이동하도록 공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어야 한다.
4. 항공기 기준축
비행기에서는 안정과 조종, 그리고 운동에 나타나는 힘과 모멘트의 작용을 가시화 하기 위해서 무게 중심을 원점에 둔 좌표축으로서 기준 축을 사용하며 이를 기체축이라 한다.
기체축은 안정성을 다루는데 편리하며 세로 축, 가로 축, 수직 축으로 나누어진다. 각 축에 관해 회전하는 경향인 모멘트가 존재한다.
세로축은 비행기의 전후 축을 발하며, X축 이라고도 하는데, 이 축에 관한 모멘트를 옆놀이 모멘트라고 한다.
가로 축은 비행기의 좌우 축을 가리키며 Y축이라고도 하는데, 이 축에 관한 모멘트를 키놀이 모멘트라 한다.
수직 축은 비행기의 상하 축을 말하고 Z축이라고도 하는데, 이 축에 관한 모멘트를 빗놀이 모멘트라 한다.
비행기의 조종도 역시 3개의 기준 축에 대해 비행기를 운동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승강키, 도움날개 및 방향키로 구성된 주 조종면을 조작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세로 조종면은 승강키로써 키놀이 운동을 발생시키는 조종면이며, 비행기 기수를 높이거나 낮추는 데 사용된다. 승강키는 수직꼬리날개에 발생하는 양력을 변화시킨다.
가로 조종면은 도움날개로서 옆놀이 운동을 발생시키는 조종면이며, 비행기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선회시키는데 사용된다. 도움날개는 양쪽 날개에 발생하는 양력을 변화시킨다.
방향 조종면은 방향키로써 빗놀이 운동을 발생시키는 조종면이며, 비행기 기수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돌리는 데 사용된다. 방향타는 수직꼬리날개에 발생하는 측분력을 변화시킨다.
또한 3축에 대한 미세한 조종은 각각의 조종면에 달린 탭을 이용한다. 따라서 각각의 조종면에 장착된 탭은 부 조종면 이라고 일컫는다.
안정성과 조종성은 서로 상반되는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조종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는 없다. 실제로 비행기를 안정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하면 비행기의 조종성은 나빠진다. 즉 안정성이 좋아지면 조종성이 나빠지고, 조종성이 좋아지면 안정성이 나빠진다.
비행기의 안정성은 3가지로 정의될 수 있는데, 첫째로 세로 안정성은 가로 축에 대한 키놀이 효과의 안정성을 다루는 키놀이 안정성을 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