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창 간호사정 및 욕창 원인 증상연구와 욕창 예방 및 치료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욕창 간호사정 및 욕창 원인 증상연구와 욕창 예방 및 치료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욕창의 정의

2. 욕창 발생원인
(1) 신체 내부적원인
(2) 외부적원인

3. 욕창 증상

4. 욕창이 자주 발생하는 부위

5. 욕창 발생단계

6. 욕창 예방법

7. 욕창 치료법

8. 욕창 간호사정

본문내용

발하여 상처가 회복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1) 투명 접착식 붕대(Transparent Adhesive Dressing)
-투명 접착식 붕대는 건조한 괴사성 조직을 제거하는 데 좋다. 부착된 필름은 절연, 보호 및 상처의 습도를 유지해 주어 재생에 도움을 준다.
2) Hydrocolloid Dressing
-절연, 보호 기능과 함께 상처 표면의 습도를 유지하고 삼출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며 산소가 투과되지 않는 밀폐식 방법이다. 이러한 밀폐 방법은 성장 인자의 증식으로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지만 상처가 감염되어 있거나 많은 양의 삼출물이 있는 경우에는 금기다. 대표적으로 Comfeel,Duoderm이 여기에 속한다.
3) 수화 젤(Hydrogel)
-포나 과립 형태로 되어 있어 상처에 빈 공간이 있을 때 적당하다. Vigilon이 해당된다.
4) Foam
-상처에 부착되지 않으며 흡수력이 강하고 표면이 혐수성이어서 오염 위험이 높은 상처에 도움이 된다. PolyMem이 여기에 속한다.
5) 기타
-이외에도 삼출액 흡수 분말이나 과립, Calcium Alginate, 윤활 분무액 같은 물질들을 사용할 수 있다.
(3) 상처세척
세척과 소독은 분리된 요소가 되어야 하며, 세척액에 소독제가 포함되어서는 안 된다. 소독이 필요하다면 적절한 항균제를 사용한다. “눈에 넣을 수 없는 것을 상처에 사용하지 말라”
ㆍ괴사물질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부드럽게, 철저히)이며 정상 삼출물은 상처를 보호하는 항균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상처 세척과 치유에 도움되는 습윤 치유 환경을 조성한다.
ㆍ다량의 삼출물은 상처 주위 피부 연화, 세균증식의 배지로 작용한다. 상처주위 피부는 깨끗이 유지 보호되어야 한다.
ㆍ모든 개방상처는 균으로 이미 오염되어 있다고 보아야 한다.
ㆍ상처치유를 저해하지는 않고 육아 조직이 차오르는 단계는 감염에 대한 저항성이 있다고 여긴다.
ㆍ상처 내의 세균의 존재는 자가분해를 돕고 신체 스스로 방어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균락의 수 : 10만 개 이상 시 감염으로 판다, 대부분의 의료인들은 부종, 홍반, 화농성 삼출물들의 임상증상에 의존하여 감염이라 결정 그러나 면역저하환자는 전형적인 염증반응이 발현되지 않으므로 임상병리검사 결과가 지표가 되어야 한다).
ㆍ감염 시 이상적 소독제 : 광범위한 살균력 + 백혈구에 독성이 없는 것
ㆍ상처 분류에 따른 세척지침
- 괴사조직이 없고 깨끗한 상처 : 증식되고 있는 피부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
세포 독성이 없는 용액(생리식염수 권장) 이용하여 바늘을 빼고 낮은 압력으로 부드럽게 세척
- 괴사조직이 있거나 오염된 상처 : 상처 표면으로부터 괴사조직과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
- 세척액 : 상처치유에 유해하지 않아(멸균 증류수 또는 등장성 식염수)하며 온도는 체온 정도
(37정도)가 이상적임(찬 용액은 상처온도를 낮추어 정상으로 회복하는데 3~4시간 걸림)
8. 욕창 간호사정
(1) Type of wound
①acute: 합병증 없이 상처가 치유되는 것
②chronic: 상처가 해부학적, 기능적 통합을 하기 위한 시간적 순서적인 과정에서 치유과정으로 나아가는 것이 실패한 경우
(2) Color / clinical appearance
① Pink: 상피세포
② Red: 육아세포
③ Yellow: 가피
④ Black: 괴사
⑤ Green: 감염
(3) 욕창 형성 단계
욕창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를 위해서는 욕창 발생 각 단계에 대한 조기 발견이 중요.
미국 NPUAP(National Pressure Ulcer Advisory Panel ; 국립욕창 자문위원회)에서는 4단계 분류체계를 채택하였고, 욕창 단계를 소개하고 각 단계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1) 제 1단계
① 상피 층에 국한된 급성의 염증반응
② 불규칙한 모양의 홍반, 경화, 또는 표재성 궤양으로 나타난다.
압력이 제거되어도 없어지지 않는 홍반, 피부가 아직 손상되지않은 상태.
압력에 의해 그 부위에 혈액순환 장애가 있는 경우에 반동성 충혈은
정상적으로 1/2~3/4 정도에서 생길 수 있다.
☞반동성 충혈은 1단계 욕창과 구별되어야 한다.
이에 따른 치료 및 간호 방법(압력 완화 방법)
⇒자주 돌아눕기, 압력완화 도구 사용법, 체위 변경법 등을 사용.
2) 제 2단계
① 급성 염증반응이 진피층을 지나 피하 지방과의 경계 부위까지 확산된 피부상태
② 수포, 박리 또는 명확한 경계를 가진 찰과상, 포진(blister)과 같은 앝게 파진 궤양의 형태
③ 초기 섬유화와 변색이 생긴다.
3) 제 3단계
① 피하 조직층에 괴사가 침범한 두꺼운 피부의 상실이나 아직 근막층 까지는 침범하지 않았다.
② 임상적으로 주변조직까지는 침해하지 않았거나 침범한 깊은 구멍을 가리킨다. 궤양의 기저부에 감염이 되고, 악취가 나는 괴사 조직이 있다
4) 제 4단계
① 근육, 뼈, 지지조직(건, 관절 등)의 광범위한 손상과 조직괴사를 포함한 완전 피부상실이 있다.
② 피부 공동은 4단계의 욕창과 관련이 있다.
③ 골수염과 패혈성 관절염이 생길 수 있다
(4) 크기측정
① 자 이용법: 가로 × 세로 × 깊이
② 본뜨기(tegarderm 이용)
③ clock측정법: Underming 와 sinus tract 측정시
(5) 삼출액
① 형태/색
장액혈액성: 옅은 핑크색 watery는 염증기나 증식기 동안에 정상.
혈액성: blood, watery는 혈관의 파열이나 신생혈관이 성장하는 것임.
장액농성: cloudy, yellow to tan, watery는 상처 감염.
화농성: yellow, tan to green 비투과적인 것은 상처감염.
② 양: 과당한 양은 체액과 전해진 불균형을 초래함.
③ 냄새
④ 점도
(6) 주위조직(Surrounding skin)
① 변색
② 침윤
③ 부종
④ 경결
(7) Wound edge
① Underming: 근막상으로부터 분리된 근육 다발.
② Sinus tract and dead space: 눈에 보이는 상처보다 더 큰 공간이 있는 cavity or channel
  • 가격3,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1.01.07
  • 저작시기2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3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