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룹증후군 간호과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크룹증후군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 p.1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진단검사
5. 증상
6. 치료 및 예후


Ⅱ. 간호과정 ········································· p.5
1. 사례
2. 간호력
3.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및 출처 ··························· p.13

본문내용

관적
“집에 가고 싶어요.”
객관적
- 1일 전 입원함.
- 입원 이후 불안한 듯 주위를 계속 살피는 모습이 관찰됨.
- 소아상태불안척도(SAIC): 48점(상태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음)
- 맥박 122회/min 측정됨.
간호진단
낯선 환경과 관련된 불안
간호
목표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병원에 적응하였다고 말로 표현할 것이다.
단기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입원에 대한 설명을 1개 이상 말로 표현할 것이다.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소아상태불안척도 (SAIC) 점수가 41점미만(정상)이 될 것이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3일 이내에 치료와 처치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말로 표현할 것이다.
간호계획
① 대상자의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한다.
② 소아상태불안척도(SAIC)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③ 대상자의 감정변화에 따른 행동양상 변화를 사정한다.
④ 대상자와 신뢰적 관계를 형성한다.
⑤ 대상자가 공포, 불안 등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적극적으로 경청한다.
⑥ 대상자에게 조용하고 차분한 환경, 밝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
⑦ 대상자가 위협감을 느끼지 않도록 따뜻하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대상자의 수준에 맞추어 대화한다.
⑧ 대상자가 좋아하는 장난감, 놀이, 책, TV시청 등을 격려한다.
⑨ 필요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불안제를 투여한다.
⑩ 불안은 정상적인 감정임을 알리고 명상 등 불안완화법을 교육한다.
⑪ 대상자와 가족에게 입원 안내문을 제공하고 교육한다.
⑫ 대상자와 가족에게 크룹증후군에 대한 정보와 간호 절차에 대해 설명
한다.
⑬ 보호자에게 대상자와 가능한 함께 있도록 교육하고 대화를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① 불안, 초조 등의 감정은 교감신경계의 흥분 증가로 호흡, 맥박, 혈압의 상승을 동반 할 수 있다.
②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하여 그에 따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41-44점
상태불안 수준이 약간 높음
45-48점
상태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음
49점 이상
상태불안 수준이 매우 높음
소아상태불안척도(State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 SAIC)
③ 대상자의 감정변화에 따른 행동양상 변화를 사정하여 대상자의 불안수준과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기 위함이다. 또한 불안 시에 나타나는 특정 행동을 보일 수 있다.(가만히 있지 못함, 잦은 배뇨작용 등)
④ 대상자와 신뢰적 관계를 형성하여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⑤ 불안에 대한 표현은 대상자의 불안요인에 대한 정확한 사정과 치료적인 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고, 대상자는 불안을 직접 표현함으로써 불안의 정도가 경감될 수 있다.
⑥ 대상자에게 물리적으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여 낯선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게 돕기 위함이다.
⑦ 대상자와 대화할 때 4살 대상자의 수준에 맞추어 단순하고 쉬운 단어로 말하여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또한 따뜻하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대화하여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⑧ 대상자가 좋아하는 장난감, 놀이, 책, TV시청 등을 격려하여 낯선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일상생활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함이다.
⑨ 대상자의 불안이 완화되지 않고 치료에 악영향을 끼칠 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항불안제를 투여하여 크룹증후군 치료를 돕기 위함이다.
⑩ 불안은 정상적인 감정이므로 이를 알려 가족의 걱정을 줄이고, 명상 등 불안완화법을 교육하여 치료를 돕기 위함이다.
⑪ 대상자와 가족에게 입원 안내문을 제공하여 입원생활의 적응을 돕고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함이다.
⑫ 대상자와 가족에게 크룹증후군에 대한 정보와 간호 절차를 알려 질병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가족의 지지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⑬ 가족은 가장 좋은 지지체계이고, 대상자의 분리불안을 완화시켜 안정감을 도모한다.
간호수행
① 대상자의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하였다.
② 소아상태불안척도(SAIC)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하였다.
- 입원 당시(1일 전) 측정한 결과 48점으로 상태불안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③ 대상자의 감정변화에 따른 행동양상 변화를 사정하였다.
④ 대상자와 신뢰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⑤ 대상자가 공포, 불안 등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하였고 적극적 경청하였다.
⑥ 대상자에게 조용하고 차분한 환경, 밝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 주었다.
⑦ 대상자가 위협감을 느끼지 않도록 따뜻하고 부드러운 목소리로 대상자의 수준에 맞추어 대화하였다.
⑧ 대상자가 좋아하는 장난감, 놀이, 책, TV시청 등을 격려하였다.
⑨ 대상자의 불안이 완화되어 항불안제를 투여하지 않았다.
⑩ 불안은 정상적인 감정임을 알렸고 명상 등 불안완화법을 교육하였다.
⑪ 대상자와 가족에게 입원 안내문을 제공하였고 교육하였다.
⑫ 대상자와 가족에게 크룹증후군에 대한 정보와 간호 절차에 대해 설명하였다.
⑬ 보호자에게 대상자와 가능한 함께 있도록 교육하였고 대화를 격려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입원에 대한 설명을 1개 이상 말로 표현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소아상태불안척도 (SAIC) 점수가 41점미만(정상)이 되었다. (달성)
대상자와 보호자는 3일 이내에 치료와 처치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말로 표현하였다. (달성)
Ⅲ. 참고문헌 및 출처
- 질병관리본부 KCDC
- 아동건강회복간호, 김미예 외 18명, 수문사, 2018.09.10., P2-15.
- 최신 기본간호학Ⅱ, 송경애 외 공저, 수문사, 2017.03.03., P229-232.
-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Ⅱ, 김영혜 외 15명, 수문사, 2019.02.28., P43-45.
9/17 (화)
< 간호과정 >
사례 만들기
간호진단 내리기
직무 분담
김민지 : 문헌고찰, 간호과정 #2
김소정 : 문헌고찰, 간호과정 #1
김예봄 : 문헌고찰, 간호과정 #3
김예지 : 문헌고찰, 간호과정 #3
김지나 : 문헌고찰, 간호과정 #1
김지원 : 문헌고찰, 간호과정 #2
9/19 (목)
< 중간 점검 >
간호 목표 피드백
간호 계획 피드백
간호 평가 피드백
9/20 (금)
< 최종 점검 >
간호 수행 피드백
대상자 간호 정보 조사지 작성
일지 작성
맞춤법 점검
팀 작업 과정
  • 가격1,2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21.04.05
  • 저작시기201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7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