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개
2. 일본과 중국사이의 영토분쟁
(1) 센카쿠 열도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중국 측 주장
(2) 오키노토리시마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중국 측 주장
3. 일본과 러시아와의 영토분쟁
(1) 쿠릴열도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러시아 측 주장
4. 일본과 한국사이의 영토분쟁
(1) 대마도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한국의 주장
(2) 독도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한국의 주장
5. 해결 방안 및 정리
6. 참고문헌
2. 일본과 중국사이의 영토분쟁
(1) 센카쿠 열도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중국 측 주장
(2) 오키노토리시마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중국 측 주장
3. 일본과 러시아와의 영토분쟁
(1) 쿠릴열도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러시아 측 주장
4. 일본과 한국사이의 영토분쟁
(1) 대마도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한국의 주장
(2) 독도
① 역사적 경위
② 일본 측 주장
③ 한국의 주장
5. 해결 방안 및 정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이 살고 있고 울릉도 주민뿐 만 아니라 많은 국민들이 독도를 방문하여 보고 감상하며 한국의 영토의 아름다음을 만끽하고 있다. 이렇게 오랫동안 한국 국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사랑했던 독도의 영토를 넘본다는 것은 한국의 입장에서는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가 아닐 수가 없다.
또한 풍부한 해양자원과 천연가스의 매장지로서 한국이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해양을 얻기 위해 독도를 단순한 섬 또는 영토로만 보고 자신들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일본은 정말 안타깝기만 할 뿐이다.
일본의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일본은 독도를 포기하지 않았고 미국이 한국내의 관할권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그것 또한 대일강화조약 직후 독도가 일본의 관할구역에서 제외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국인으로서 아니 국제적인 입장에서 보아도 독도가 한국 땅이라는 증거는 수도 없이 많고 일본의 주장에 반박할 수 있는 자료와 역사문헌은 셀 수 없이 많다. 울릉도에서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한 독도는 우리나라 조상들이 예전부터 독도를 인식했다는 역사문헌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당연한 한국의 영토이다.
5. 해결 방안 및 정리
위 글에서 보았듯이 일본은 아주 많은 나라와 영토분쟁을 하고 있고 그 결과 국제적으로 영토분쟁 면에서 많은 미움을 사기도 한다. 중국과는 센카쿠 열도와 오키노토리시마, 러시아와는 쿠릴열도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과는 대마도와 독도로 분쟁을 하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그러한 이유는 오래전 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국주의적 성향이 강했던 일본은 러일 전쟁, 청일 전쟁, 제2차 세계대전 등을 통하여 자신의 영토가 아니었던 영토를 강압적으로 지배하고 소유하였기 때문이다. 특히나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과 같이 서로간의 교류와 전쟁이 많았던 나라들은 서로간의 영토를 지배하고 지배당하고 빼앗고 넘겨주고를 반복하였기 때문에 서로간의 영토분쟁에 있어서 갈등이 더욱 심화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러한 영토분쟁을 하면서 국가 간의 사이가 틀어지거나 민족주의의 사상으로 다른 나라를 혐오하기 시작하면 분쟁을 오히려 해결되기보다는 심화될 것이다. 그러므로 일본과 러시아의 쿠릴열도처럼 국가 간의 상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외교적인 만남과 접촉을 시도하여 서로 간에 이득이 될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의 300년 이상 지속된 영토분쟁의 해결법처럼 한쪽이 크게 양보를 함으로서 부정적 호혜주의가 긍정적 호혜주의로 바뀌게 될 것이고 그 결과로서 정치적인 합의가 이루어져 영토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발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한국인으로서 대마도는 어느 정도 이해를 할 수 있지만 독도를 기점으로 한 일본의 행동은 전혀 이해할 수가 없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무조건 일본의 입장을 무시하고 일본에게 강압적으로 나서는 것보다는 가는 말이 고아야 오는 말이 곱듯 일본에게 역사적 증거와 사실을 보여주고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게 하여 국가 서로가 이해할 수 있도록 영토분쟁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영토분쟁의 해결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위키백과, “센카쿠 열도”, 2013. 6. 11.
Gregory Clark, \"Flexibility key to resolving Japan’s territorial disputes\", The Japan Times, 2013. 6. 11.
온누리, “일본의 영토 분쟁지역”, 다음 지식, 2013. 6. 12.
예영준, “센카쿠열도 영토분쟁 왜 … 풍부한 석유 매장 알려지며 대립 격화”, 중앙일보, 2013. 6. 12.
위키백과, “류큐 제도”, 2013. 6. 12.
임소라, “중일, 홍길동 \'율도국 류큐 공정\' 놓고 영토 분쟁”, MBN 뉴스, 2013. 6. 12.
위키백과, “러일 전쟁”, 2013. 6. 12.
위키백과, “쿠릴열도 분쟁”, 2013. 6. 12.
배진수, “독도 영유권분쟁의 현실과 대책”, 자유경제원, 2013. 6. 13.
위키백과, “쓰시마 섬”, 2013. 6. 13.
느티나무, “독도영유권 분쟁의 원인과 한국/일본 측의 주장요지”, 나라 살리기 국민운동부 경기 동부, 북부 연합, 2013. 6. 13.
김종두, “오키노토리시마 분쟁”, 경향신문, 2013. 6. 13.
김영구, “한일간 독도영유권분쟁에 관한 기본적 문제의 고찰”, 개인 논문, 2013. 6. 13.
주강현. (2008). 『울릉도에서 시마네현까지: 풍경을 넘어 독도를 넘어』.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또한 풍부한 해양자원과 천연가스의 매장지로서 한국이 지금까지 사용해왔던 해양을 얻기 위해 독도를 단순한 섬 또는 영토로만 보고 자신들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일본은 정말 안타깝기만 할 뿐이다.
일본의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일본은 독도를 포기하지 않았고 미국이 한국내의 관할권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그것 또한 대일강화조약 직후 독도가 일본의 관할구역에서 제외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국인으로서 아니 국제적인 입장에서 보아도 독도가 한국 땅이라는 증거는 수도 없이 많고 일본의 주장에 반박할 수 있는 자료와 역사문헌은 셀 수 없이 많다. 울릉도에서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한 독도는 우리나라 조상들이 예전부터 독도를 인식했다는 역사문헌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당연한 한국의 영토이다.
5. 해결 방안 및 정리
위 글에서 보았듯이 일본은 아주 많은 나라와 영토분쟁을 하고 있고 그 결과 국제적으로 영토분쟁 면에서 많은 미움을 사기도 한다. 중국과는 센카쿠 열도와 오키노토리시마, 러시아와는 쿠릴열도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과는 대마도와 독도로 분쟁을 하며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그러한 이유는 오래전 역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국주의적 성향이 강했던 일본은 러일 전쟁, 청일 전쟁, 제2차 세계대전 등을 통하여 자신의 영토가 아니었던 영토를 강압적으로 지배하고 소유하였기 때문이다. 특히나 중국, 한국, 그리고 일본과 같이 서로간의 교류와 전쟁이 많았던 나라들은 서로간의 영토를 지배하고 지배당하고 빼앗고 넘겨주고를 반복하였기 때문에 서로간의 영토분쟁에 있어서 갈등이 더욱 심화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이러한 영토분쟁을 하면서 국가 간의 사이가 틀어지거나 민족주의의 사상으로 다른 나라를 혐오하기 시작하면 분쟁을 오히려 해결되기보다는 심화될 것이다. 그러므로 일본과 러시아의 쿠릴열도처럼 국가 간의 상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외교적인 만남과 접촉을 시도하여 서로 간에 이득이 될 수 있도록 해야 될 것이다. 또한 중국과 러시아의 300년 이상 지속된 영토분쟁의 해결법처럼 한쪽이 크게 양보를 함으로서 부정적 호혜주의가 긍정적 호혜주의로 바뀌게 될 것이고 그 결과로서 정치적인 합의가 이루어져 영토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발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한국인으로서 대마도는 어느 정도 이해를 할 수 있지만 독도를 기점으로 한 일본의 행동은 전혀 이해할 수가 없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지만 무조건 일본의 입장을 무시하고 일본에게 강압적으로 나서는 것보다는 가는 말이 고아야 오는 말이 곱듯 일본에게 역사적 증거와 사실을 보여주고 국제적으로 관심을 받게 하여 국가 서로가 이해할 수 있도록 영토분쟁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영토분쟁의 해결방안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위키백과, “센카쿠 열도”, 2013. 6. 11.
Gregory Clark, \"Flexibility key to resolving Japan’s territorial disputes\", The Japan Times, 2013. 6. 11.
온누리, “일본의 영토 분쟁지역”, 다음 지식, 2013. 6. 12.
예영준, “센카쿠열도 영토분쟁 왜 … 풍부한 석유 매장 알려지며 대립 격화”, 중앙일보, 2013. 6. 12.
위키백과, “류큐 제도”, 2013. 6. 12.
임소라, “중일, 홍길동 \'율도국 류큐 공정\' 놓고 영토 분쟁”, MBN 뉴스, 2013. 6. 12.
위키백과, “러일 전쟁”, 2013. 6. 12.
위키백과, “쿠릴열도 분쟁”, 2013. 6. 12.
배진수, “독도 영유권분쟁의 현실과 대책”, 자유경제원, 2013. 6. 13.
위키백과, “쓰시마 섬”, 2013. 6. 13.
느티나무, “독도영유권 분쟁의 원인과 한국/일본 측의 주장요지”, 나라 살리기 국민운동부 경기 동부, 북부 연합, 2013. 6. 13.
김종두, “오키노토리시마 분쟁”, 경향신문, 2013. 6. 13.
김영구, “한일간 독도영유권분쟁에 관한 기본적 문제의 고찰”, 개인 논문, 2013. 6. 13.
주강현. (2008). 『울릉도에서 시마네현까지: 풍경을 넘어 독도를 넘어』.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