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백질 분리 및 정제란
2. 단백질 분리 및 정제 방법 종류
1) 염석(Salting out)
2)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on-exchange chromatography)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친화 크로마토그래피(Affinity chromatography)
3) 겔 전기영동(Gel- electrophoresis)
3. 단백질 분리 및 정제 이용
4. 참고자료
2. 단백질 분리 및 정제 방법 종류
1) 염석(Salting out)
2)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Ion-exchange chromatography)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친화 크로마토그래피(Affinity chromatography)
3) 겔 전기영동(Gel- electrophoresis)
3. 단백질 분리 및 정제 이용
4. 참고자료
본문내용
용액을 공기에 노출시키게 되면 산소에 의해 반응에 방해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겔 전기영동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먼저 이동계면 전기영동법이다. 분리하고자 하는 분자들이 용액 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전류를 통하여 용매와 용액, 또는 용액과 용액 사이에 계면을 이루게 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이론 상 매우 복잡하며 결과를 분석하고 도출하는 데 어려운 점이 많다. 또 분리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는 미량으로 존재하는 단백질의 전 단계의 분리와 같은 극히 제한된 부분에 이용된다. 다음은 띠 전기영동법이다. 이 방법은 적은 양의 시료용액을 적당한 지지체에 실어놓고 전류를 통하여 시료의 성분들이 점 또는 띠를 이루면서 이동하게 하는 방법이다. 시료에 있는 성분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다만 적당한 지지체를 알맞게 선택해야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 번째로 불연속성 전기영동은 띠 전기영동법을 변형한 방식으로 띠 전기영동법과는 다르게 두가지의 겔을 동시에 사용하며 겔 지지체와 완충용액 탱크에 사용하는 완충계들이 다르다. 마지막으로 황산도데실나트륨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법이라는 유용한 전기영동법도 존재하는데 이것은 단백질이 단위체인지 중합체인지를 구분하여 결정할 때와 소중합체를 구성하는 소단위체들의 수와 크기를 결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3. 단백질 분리 및 정제 이용
단백질 분리 및 정제 기술은 여러 가지 방면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 중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부분이 질병 치료 관련이다. 기초과학연구원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김기문 단장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바구니 모양의 분자 ‘쿠커비투릴’을 이용해 특정 단백질만 고순도로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단백질 분리 정제 방법에는 반응에 쓰이는 첨가물이 단백질의 변성을 유발하거나 다른 단백질까지 함께 추출되기도 하며 정확도에 문제를 일으키는 상황이 많았는데 연구팀이 활용한 쿠커비투릴은 이러한 경우가 최소화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쿠커비투릴을 낚시도구로, 암을 치료하는 약물인 ‘사하’를 변형시켜 만든 분자를 미끼로 사용하여 특정 단백질을 얻어내는 ‘단백질 낚시법’을 개발해냈고 이 방법을 이용해 사하 미끼가 탈아세틸화 효소와 결합하면 쿠커비투릴 수용체가 다시 이들과 결합해 탈아세틸화 효소를 농축하는 것이다. 이어 쿠커비투릴과 더 강하게 결합하는 페로센 화합물이 사하 미끼와 치환되면서 탈아세틸화 효소만 남아 추출할 수 있는 원리이다. 김기문 단장은 “사하 뿐만이 아니라 다른 약물을 분자 미끼로 이용해 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며 “기존 단백질 정제법과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해 약물 부작용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4. 참고자료
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사이버실험실
범문 에듀케이션 의학생화학-GERHARD MEISENBERG, William H, Simmons
라이프 사이언스 생명과학-Taylor, Reece, Dichey, SIMON, HOGAN
1301
겔 전기영동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먼저 이동계면 전기영동법이다. 분리하고자 하는 분자들이 용액 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전류를 통하여 용매와 용액, 또는 용액과 용액 사이에 계면을 이루게 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이론 상 매우 복잡하며 결과를 분석하고 도출하는 데 어려운 점이 많다. 또 분리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는 미량으로 존재하는 단백질의 전 단계의 분리와 같은 극히 제한된 부분에 이용된다. 다음은 띠 전기영동법이다. 이 방법은 적은 양의 시료용액을 적당한 지지체에 실어놓고 전류를 통하여 시료의 성분들이 점 또는 띠를 이루면서 이동하게 하는 방법이다. 시료에 있는 성분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다만 적당한 지지체를 알맞게 선택해야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 번째로 불연속성 전기영동은 띠 전기영동법을 변형한 방식으로 띠 전기영동법과는 다르게 두가지의 겔을 동시에 사용하며 겔 지지체와 완충용액 탱크에 사용하는 완충계들이 다르다. 마지막으로 황산도데실나트륨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 전기영동법이라는 유용한 전기영동법도 존재하는데 이것은 단백질이 단위체인지 중합체인지를 구분하여 결정할 때와 소중합체를 구성하는 소단위체들의 수와 크기를 결정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3. 단백질 분리 및 정제 이용
단백질 분리 및 정제 기술은 여러 가지 방면에서 이용될 수 있다. 그 중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부분이 질병 치료 관련이다. 기초과학연구원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김기문 단장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바구니 모양의 분자 ‘쿠커비투릴’을 이용해 특정 단백질만 고순도로 분리하고 정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단백질 분리 정제 방법에는 반응에 쓰이는 첨가물이 단백질의 변성을 유발하거나 다른 단백질까지 함께 추출되기도 하며 정확도에 문제를 일으키는 상황이 많았는데 연구팀이 활용한 쿠커비투릴은 이러한 경우가 최소화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쿠커비투릴을 낚시도구로, 암을 치료하는 약물인 ‘사하’를 변형시켜 만든 분자를 미끼로 사용하여 특정 단백질을 얻어내는 ‘단백질 낚시법’을 개발해냈고 이 방법을 이용해 사하 미끼가 탈아세틸화 효소와 결합하면 쿠커비투릴 수용체가 다시 이들과 결합해 탈아세틸화 효소를 농축하는 것이다. 이어 쿠커비투릴과 더 강하게 결합하는 페로센 화합물이 사하 미끼와 치환되면서 탈아세틸화 효소만 남아 추출할 수 있는 원리이다. 김기문 단장은 “사하 뿐만이 아니라 다른 약물을 분자 미끼로 이용해 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며 “기존 단백질 정제법과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해 약물 부작용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4. 참고자료
화학공학소재연구정보센터 사이버실험실
범문 에듀케이션 의학생화학-GERHARD MEISENBERG, William H, Simmons
라이프 사이언스 생명과학-Taylor, Reece, Dichey, SIMON, HOGAN
1301
키워드
추천자료
정제된 단백질의 SDS-PAGE 분석: Western blotting
생물 공학적 분리정제 공정.
[생명공학, 생명공학기술] 생명공학 정리(생명공학의 정의와 특징 및 생명공학 산업)
단백질분리및정제기술에대하여
[생산][감자생산][고추생산][단백질생산][석유생산][수돗물생산][쌀생산][종묘생산][에탄올생...
[단백질생산][단백질][생산][단백질생산 기술][단백질생산 연구][향후 단백질생산 과제][단백...
[생산][쌀 생산][종묘 생산][오리알 생산][에탄올 생산][토마토 생산][호르몬 생산][감자 생...
단백질 정제,전기영동, 크로마토 그래피
단백질 분리 및 정제 기술에 대해서 (정제의 목적과 준비, 단백질의 분리, 단백질의 정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