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습 목적
2) 실습 재료
3) 실습 과정
4) 이론적배경
5) 예상되는 연구 결과
2) 실습 재료
3) 실습 과정
4) 이론적배경
5) 예상되는 연구 결과
본문내용
등과 같은 물질대사와 해독작용, 살균작용과 같은 기능을 한다.
6. 비장
비장(지라)은 가로막 아래 복부의 왼쪽 윗부분에 위치하고, 비장은 우리 몸을 침범하는 세균이나 외부 단백질을 제거하는 면역 기능을 담당하며 노화된 적혈구, 혈소판을 포함하는 여러 혈액 세포들 및 면역글로불린이 결합된 세포들을 제거한다. 또한 적혈구와 림프구를 만들고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저장고 역할을 한다. 단핵 세포의 절반을 저장함으로써 우리 몸에서 상처를 입는 부위가 발생하면 상처 부위로 단핵 세포가 이동하여 상처의 치유를 돕도록 한다.
7. 흉선
간을 제거하고 흉강을 관찰할 때 발견한 기관. 심장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동물의 흉선은 어류보다 고등한 척추동물에서 볼 수 있으며, 보통 흉강(胸腔)의 앞쪽에 있다. 발생학적으로는 인두(咽頭)에서 갈라져 생기는 것의 하나로 새낭(閘囊)의 상각(上角)으로부터 생긴다. 흉선은 처음에 상피조직이었던 것이 선조직(腺組織)으로 변하고, 그 사이에 결합조직이 가해져서 혈관이 증가하고 림프구가 생겨서 림프절과 같이 보인다. 동물의 종류에 따라 위치나 형태가 다르다.
흉선은 태아·유아 때는 비교적 크고, 춘기발동기(春機發動期)경에 최대가 되며 그 이후에는 급속히 작아진다. 생식선(生殖腺)을 제거하면 퇴축이 늦어지고 퇴축한 것은 다시 커지며, 성호르몬을 투여하거나 생식선 자극물질을 투여하면 퇴축이 촉진된다. 이 사실로 미루어 성장이나 성성숙(性成熟)에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흉선의 조기제거가 성장이나 성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실에서 내분비선으로서의 기능이 의문시된다.
그러나 흉선에서는 혈청의 칼슘량을 저하시키고 테타니를 일으키는 추출물이나, 간의 글리코겐을 감소시키고 혈당치를 상승시키며 동시에 림프구나 백혈구를 증가시켜 생식선에 억제작용을 하고 갑상선자극 호르몬을 억제하는 추출물이 발견된다. 또 세망내피계의 일환이기도 하고, 이물의 침입을 막아 면역에도 관계하고 있다.
8. 심장
심장은 가슴우리 안에 위치하며, 가로막 위, 허파 사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켜 생명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혈액은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한 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심장의 왼쪽 부분은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신선한 혈액을 뿜어내는 역할을 하고, 오른쪽 부분은 각 장기를 순환하여 심장으로 들어오는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실은 혈액을 폐로 순환시켜 다시 산소를 받아들이게 하는 기능을 한다.
9. 폐
폐는 가슴우리(흉곽) 안에 있으며 심장을 사이에 두고 오른허파와 왼허파로 나뉘어 존재한다. 가로막 바로 위에서 빗장뼈 위쪽까지 걸쳐서 위치하고, 생명현상 유지를 위하여 산소를 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또한 폐에서는 체액 성분 또한 활발하게 상피세포를 통해 흡수 혹은 배출이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흡입형 약물의 전달통로가 될 수도 있다.
5) 예상되는 연구 결과
쥐를 해부하여 맹장, 장간막, 고환, 신장과 부신, 간과 비장, 흉선, 심장, 폐와 기관지 순으로 관찰 할 수 있을 것이다.
6. 비장
비장(지라)은 가로막 아래 복부의 왼쪽 윗부분에 위치하고, 비장은 우리 몸을 침범하는 세균이나 외부 단백질을 제거하는 면역 기능을 담당하며 노화된 적혈구, 혈소판을 포함하는 여러 혈액 세포들 및 면역글로불린이 결합된 세포들을 제거한다. 또한 적혈구와 림프구를 만들고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내보내는 저장고 역할을 한다. 단핵 세포의 절반을 저장함으로써 우리 몸에서 상처를 입는 부위가 발생하면 상처 부위로 단핵 세포가 이동하여 상처의 치유를 돕도록 한다.
7. 흉선
간을 제거하고 흉강을 관찰할 때 발견한 기관. 심장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다.
동물의 흉선은 어류보다 고등한 척추동물에서 볼 수 있으며, 보통 흉강(胸腔)의 앞쪽에 있다. 발생학적으로는 인두(咽頭)에서 갈라져 생기는 것의 하나로 새낭(閘囊)의 상각(上角)으로부터 생긴다. 흉선은 처음에 상피조직이었던 것이 선조직(腺組織)으로 변하고, 그 사이에 결합조직이 가해져서 혈관이 증가하고 림프구가 생겨서 림프절과 같이 보인다. 동물의 종류에 따라 위치나 형태가 다르다.
흉선은 태아·유아 때는 비교적 크고, 춘기발동기(春機發動期)경에 최대가 되며 그 이후에는 급속히 작아진다. 생식선(生殖腺)을 제거하면 퇴축이 늦어지고 퇴축한 것은 다시 커지며, 성호르몬을 투여하거나 생식선 자극물질을 투여하면 퇴축이 촉진된다. 이 사실로 미루어 성장이나 성성숙(性成熟)에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지만, 흉선의 조기제거가 성장이나 성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실에서 내분비선으로서의 기능이 의문시된다.
그러나 흉선에서는 혈청의 칼슘량을 저하시키고 테타니를 일으키는 추출물이나, 간의 글리코겐을 감소시키고 혈당치를 상승시키며 동시에 림프구나 백혈구를 증가시켜 생식선에 억제작용을 하고 갑상선자극 호르몬을 억제하는 추출물이 발견된다. 또 세망내피계의 일환이기도 하고, 이물의 침입을 막아 면역에도 관계하고 있다.
8. 심장
심장은 가슴우리 안에 위치하며, 가로막 위, 허파 사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켜 생명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혈액은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한 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심장의 왼쪽 부분은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신선한 혈액을 뿜어내는 역할을 하고, 오른쪽 부분은 각 장기를 순환하여 심장으로 들어오는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실은 혈액을 폐로 순환시켜 다시 산소를 받아들이게 하는 기능을 한다.
9. 폐
폐는 가슴우리(흉곽) 안에 있으며 심장을 사이에 두고 오른허파와 왼허파로 나뉘어 존재한다. 가로막 바로 위에서 빗장뼈 위쪽까지 걸쳐서 위치하고, 생명현상 유지를 위하여 산소를 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또한 폐에서는 체액 성분 또한 활발하게 상피세포를 통해 흡수 혹은 배출이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흡입형 약물의 전달통로가 될 수도 있다.
5) 예상되는 연구 결과
쥐를 해부하여 맹장, 장간막, 고환, 신장과 부신, 간과 비장, 흉선, 심장, 폐와 기관지 순으로 관찰 할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