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ytrine), Phenoxybenzamine
나. 심장선택적 β1 차단제(Selective β1 adrenergic blocker)
- 심장의 β1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하여 심근 수축력, 심박수, 심박출 량, 혈압,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감소 시킴
- 신장의 레닌 분비를 억제하여 혈압을 떨어트림
약물: Atenolol(Tenolmin), Esmolol(Blevibloc), Labetalol(Trandate)
다. 비선택적 β 차단제(Nonselective β1 adrenergic blocker)
- β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에 대한 심장의 반응을 억제하나 기관지의 평활근을 수축시켜 호흡곤란을 가져 올 수 있음
약물 : Propranolol(Inderal), Carvedilol
(4) 부교감신경계에 위치하는 수용체 (아세틸콜린 수용체)
1) 니코틴 수용체
2) 무스카린 수용체 : 신체 각 조직에 분포하고 있는 부교감신경계 수용체는 모두 무스카린
수용체
(5)효능제와 차단제의 역할을 하는 약물들
1) 콜린성 수용체 효능제(Cholinergic Agonist)
약물 : Bethanechol Neostigmine( Prostigmin) Edrophonium(Tensilon)
2) 항콜린성 약물(Anticholonergics);
콜린성 수용체에 아세틸콜린이 결합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부교감 신경의 작용을 차단
BBB(혈뇌장벽, Blood Brain Barrior)를 통과 하므로 과? 투여시는 중추 신경계 자극 증상이
있을 수 있음
약물 ; Atrpine
고혈압 약물요법
제1단계:이뇨요법
제2단계:교감신경차단제를 이뇨제와함계투여(β1 adrenergic blocker)
제3단계:혈관확장제 ACE억제제, 칼슘길항제
고혈압약물의 사용은 보통 ABCD라고들 부른다.
A = ARB(Angiotensin Receptor Blocker), B= Beta blocker, C=Ca2+ channel blocker, D=diuretics
혈압약은 강하고 약하고로 구별한다기 보다는 저 네종류의 약들이 각각 혈압을 떨어뜨리는 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먼저 개발되어 오래 사용해와 안정성이 더 많이 입증된 D>B>C>A의 순서대로 차례로 사용해 보는 식이다.두종류 이상 섞어서 써보기도 하고..심하면 네종류 다 쓰기도 한다.
가장 다용하는 약물은 ARB(아프로벨,디오반) 칼슘체널블로커(노바스크)이다..
1) A에 해당하는 약물이 아프로벨,디오반이다....로사르탄..성분이다...~~사르탄으로 끝나는 성분명인 애들은 다 이거~..디오반(발사르탄), 프리토(텔미사르탄), 아타칸(칸데사르탄).
부작용==>마른 기침
2) B는 베타 차단제임.~~~놀올로 끝나는 애들이 이런 부류~..테놀민(아테놀올), 인데놀(프로프라놀올), 딜라트렌(카베딜롤)...등. 작용기전은 심장박동 약해지게 하여 신장의 레닌의 생성을 차단한다. 그리하여 angiotensin 생성을 원천 봉쇄한다.
대표적인 약물은 아테놀, 콩코르, 딜라트렌이다.
부작용으로 성기능장애, 발기부전이 있다. 또 베타차단제는 혈류장애의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말초혈관질환자는 주의하며, 특히 레이노병의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다른 베타차단제와 마찬가지로 갑상선기능항진증 증상을 은폐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자는 눈물이 감소될 수 있다.
3) CCB : C는 칼슘 채널 블로커이다~~디핀으로 끝나는 이름임....노바스크(아믈로디핀), 무노발(펠로디핀), 등등..~디핀 아닌애들도 있음..베라파밀 같은것들.
다용약물 : 노바스크,디로핀,무노발,아모디핀,자니딥,헤르벤, 아달라트, 베라파밀 등
대표적인 약물로는 노바스크가 있다.
4) D는 이뇨제이다. 이뇨제도 혈압강하에 쓴다. 종류가 여러 가지인데 주로 많이 쓰는건 다이크로짇(하이드로클로로치아짇)이다.. 다이클로짓, 트리파몰, 알닥톤, 라식스,나트릭스 등이 주로 많이 쓰이는 이뇨제이며, 체내 칼륨 감소에 따른 무력감, 고뇨산증,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작용기전
체액의 부피를 빼주는데, 수분을 빼주어 혈압을 낮춘다기보다 나트륨을 배설시켜 체액의 저류를 막아준다.. 혈관 확장 작용도 있다. 말초저항을 줄인다.
5) 기타 약물
교감신경 차단제 : 카두라XL, 테노민, 프로프라폴론,카로베딜롤,클로니딘, 미니프레스, 알도메트, 인데랄, 아테노롤, 섹트랄, 베타프레신, 미켈란,베타록 등이 대표적인 약제이며, 어지러움, 서맥증, 발기부전 등을 호소할 수 있다.
혈관 확장제 : 아프레솔린, 로니텐, 나이트로 프루사이드 등이 있으며, 얼굴이 붉어지는 안면 홍조, 빈맥증, 몸에 털이 많아지는 다모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분류표> 종류
성분명
상품명
이뇨제
Thiazide 유도체
hydrochlorothiazide
다이크로짓
indapamide
후루덱스
loop이뇨제
furosemide
라식스
bumetanide
부메타니드
칼륨보존성
이뇨제
amiloride
아미로
spironolactone
알닥톤
혼합이뇨제
spironolactone+hydrocholrothiazide
알닥타이즈
교감신경억제제
중추성억제제
clonidine
카타프레스
alpha methyldopa
메틸도파
알파차단제
doxazosin
카두라
prazosin
프라조신
베타차단제
atenolol
테놀민,아테놀올
acebutolol
쌕트랄
metoprolol
베타롤
propranolol
인데랄
알파,베타 차단제
carvedilol
딜라트렌,카르베롤
직접혈관확장제
hydralazine
하이드랄라진
칼슘통로차단제
amlodipine
노바스크,스카드
nifedipine
아달라트
felodipine
스프렌딜
nicardipine
페르디핀
diltiazem
헤르벤,딜테란
verapamil
베라파밀,이솝틴
안지오텐신전환요소억제제
enalapril
에나프린
ramipril
트리테이스
fosinopril
모노프릴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irbesartan
아프로벨,올메텍,디오반
losartan
코자
혼합약
losartan+hydrochlorothiazide
하이자
나. 심장선택적 β1 차단제(Selective β1 adrenergic blocker)
- 심장의 β1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하여 심근 수축력, 심박수, 심박출 량, 혈압,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감소 시킴
- 신장의 레닌 분비를 억제하여 혈압을 떨어트림
약물: Atenolol(Tenolmin), Esmolol(Blevibloc), Labetalol(Trandate)
다. 비선택적 β 차단제(Nonselective β1 adrenergic blocker)
- β 수용체를 차단하여 교감신경에 대한 심장의 반응을 억제하나 기관지의 평활근을 수축시켜 호흡곤란을 가져 올 수 있음
약물 : Propranolol(Inderal), Carvedilol
(4) 부교감신경계에 위치하는 수용체 (아세틸콜린 수용체)
1) 니코틴 수용체
2) 무스카린 수용체 : 신체 각 조직에 분포하고 있는 부교감신경계 수용체는 모두 무스카린
수용체
(5)효능제와 차단제의 역할을 하는 약물들
1) 콜린성 수용체 효능제(Cholinergic Agonist)
약물 : Bethanechol Neostigmine( Prostigmin) Edrophonium(Tensilon)
2) 항콜린성 약물(Anticholonergics);
콜린성 수용체에 아세틸콜린이 결합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부교감 신경의 작용을 차단
BBB(혈뇌장벽, Blood Brain Barrior)를 통과 하므로 과? 투여시는 중추 신경계 자극 증상이
있을 수 있음
약물 ; Atrpine
고혈압 약물요법
제1단계:이뇨요법
제2단계:교감신경차단제를 이뇨제와함계투여(β1 adrenergic blocker)
제3단계:혈관확장제 ACE억제제, 칼슘길항제
고혈압약물의 사용은 보통 ABCD라고들 부른다.
A = ARB(Angiotensin Receptor Blocker), B= Beta blocker, C=Ca2+ channel blocker, D=diuretics
혈압약은 강하고 약하고로 구별한다기 보다는 저 네종류의 약들이 각각 혈압을 떨어뜨리는 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먼저 개발되어 오래 사용해와 안정성이 더 많이 입증된 D>B>C>A의 순서대로 차례로 사용해 보는 식이다.두종류 이상 섞어서 써보기도 하고..심하면 네종류 다 쓰기도 한다.
가장 다용하는 약물은 ARB(아프로벨,디오반) 칼슘체널블로커(노바스크)이다..
1) A에 해당하는 약물이 아프로벨,디오반이다....로사르탄..성분이다...~~사르탄으로 끝나는 성분명인 애들은 다 이거~..디오반(발사르탄), 프리토(텔미사르탄), 아타칸(칸데사르탄).
부작용==>마른 기침
2) B는 베타 차단제임.~~~놀올로 끝나는 애들이 이런 부류~..테놀민(아테놀올), 인데놀(프로프라놀올), 딜라트렌(카베딜롤)...등. 작용기전은 심장박동 약해지게 하여 신장의 레닌의 생성을 차단한다. 그리하여 angiotensin 생성을 원천 봉쇄한다.
대표적인 약물은 아테놀, 콩코르, 딜라트렌이다.
부작용으로 성기능장애, 발기부전이 있다. 또 베타차단제는 혈류장애의 증상을 악화시키거나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말초혈관질환자는 주의하며, 특히 레이노병의 경우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다른 베타차단제와 마찬가지로 갑상선기능항진증 증상을 은폐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자는 눈물이 감소될 수 있다.
3) CCB : C는 칼슘 채널 블로커이다~~디핀으로 끝나는 이름임....노바스크(아믈로디핀), 무노발(펠로디핀), 등등..~디핀 아닌애들도 있음..베라파밀 같은것들.
다용약물 : 노바스크,디로핀,무노발,아모디핀,자니딥,헤르벤, 아달라트, 베라파밀 등
대표적인 약물로는 노바스크가 있다.
4) D는 이뇨제이다. 이뇨제도 혈압강하에 쓴다. 종류가 여러 가지인데 주로 많이 쓰는건 다이크로짇(하이드로클로로치아짇)이다.. 다이클로짓, 트리파몰, 알닥톤, 라식스,나트릭스 등이 주로 많이 쓰이는 이뇨제이며, 체내 칼륨 감소에 따른 무력감, 고뇨산증, 당뇨병, 고지혈증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작용기전
체액의 부피를 빼주는데, 수분을 빼주어 혈압을 낮춘다기보다 나트륨을 배설시켜 체액의 저류를 막아준다.. 혈관 확장 작용도 있다. 말초저항을 줄인다.
5) 기타 약물
교감신경 차단제 : 카두라XL, 테노민, 프로프라폴론,카로베딜롤,클로니딘, 미니프레스, 알도메트, 인데랄, 아테노롤, 섹트랄, 베타프레신, 미켈란,베타록 등이 대표적인 약제이며, 어지러움, 서맥증, 발기부전 등을 호소할 수 있다.
혈관 확장제 : 아프레솔린, 로니텐, 나이트로 프루사이드 등이 있으며, 얼굴이 붉어지는 안면 홍조, 빈맥증, 몸에 털이 많아지는 다모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분류표> 종류
성분명
상품명
이뇨제
Thiazide 유도체
hydrochlorothiazide
다이크로짓
indapamide
후루덱스
loop이뇨제
furosemide
라식스
bumetanide
부메타니드
칼륨보존성
이뇨제
amiloride
아미로
spironolactone
알닥톤
혼합이뇨제
spironolactone+hydrocholrothiazide
알닥타이즈
교감신경억제제
중추성억제제
clonidine
카타프레스
alpha methyldopa
메틸도파
알파차단제
doxazosin
카두라
prazosin
프라조신
베타차단제
atenolol
테놀민,아테놀올
acebutolol
쌕트랄
metoprolol
베타롤
propranolol
인데랄
알파,베타 차단제
carvedilol
딜라트렌,카르베롤
직접혈관확장제
hydralazine
하이드랄라진
칼슘통로차단제
amlodipine
노바스크,스카드
nifedipine
아달라트
felodipine
스프렌딜
nicardipine
페르디핀
diltiazem
헤르벤,딜테란
verapamil
베라파밀,이솝틴
안지오텐신전환요소억제제
enalapril
에나프린
ramipril
트리테이스
fosinopril
모노프릴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irbesartan
아프로벨,올메텍,디오반
losartan
코자
혼합약
losartan+hydrochlorothiazide
하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