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적 고찰
1) 백혈병이란?
2) 종류
3) 진단
4) 증상
5) 치료
2. 간호과정
1) 골수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2) 식욕상실과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3) 잦은 병원 생활과 관련된 무력감
1) 백혈병이란?
2) 종류
3) 진단
4) 증상
5) 치료
2. 간호과정
1) 골수기능 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2) 식욕상실과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3) 잦은 병원 생활과 관련된 무력감
본문내용
②병실을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다.
③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격리법을 시행하였다.
-격리병실, 개인 체온계 사용
④멸균식을 제공하였다.
(4) 환아를 다루기전 후에 철저한 손씻기를 한다.
①간호 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시행하였다.
-외부에서 들어갈 때는 항상 손을 깨끗이 씻었다.
(5) 환아의 잠재적 감염부위(주사부위 및 상처부위)를 관리한다.
①IV부위의 부종 발적 여부를 수시로 관찰하였다.
②무균법을 지켜 dressing이 이루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6) 환자에게 개인위생 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①환아에게 자신의 감염위험성을 알리고 스스로 주의하도록 격려하였다.
-환아에게 자주 손을 씻고, 오염된 환의는 즉시 갈아입을 것, 오염된 손으로 IV 부위만지지 않을 것, 마스크 착용 등 을 교육하였다.
②보호자에게 감염의 위험성을 설명하고 감염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환아에게 익히지 않은 음식의 섭취를 금하고 멸균된 것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환아는 즉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누워있는 모습을 보였다.
환아의 체온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37.5-38.0℃ 사이를 유지하였다.
질환으로 인해 임상검사 결과는 좋아지지 않았지만,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사정
S: “아무 말도 하기 싫어요. 귀찮아요.”
“빨리하고 나가세요.”
O: 기운 없이 침대에 누워있다.
질문을 해도 대답하지 않는다.
병실에 들어가면 눈을 반쯤 감고 쳐다본다.
진단
#3 잦은 병원 생활과 관련된 무력감
목표
단기목표 : 환아는 하루 이내에 활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장기목표 : 환아는 일주일 이내에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계획
수행
⒧ 과거와 현재의 활동 양상과 무력감의 정도를 사정한다.
①아동의 어머니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입원 전에는 활동량이 많았으나 지금은 말도 잘하지 않고 특히, chemotherapy중에 더욱 심하다고 한다.
②아동의 활동을 직접 관찰하였다.
-활동량 거의 없음
(2) 친근한 지지체계를 통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①친밀감을 쌓기 위해 병실을 자주 방문하였고 매일 말을 걸며 친근하게 대했다.
②가족들이 함께 아동을 지지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엄마를 통해 대화를 유도함
(3) 대화를 통해 환아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①백혈병이라는 진단과 질병에 대해 예상되는 느낌을 대화를 통해 표현하였다.
-무섭고 힘들다고 표현하였다.
② 환자가 즐거운 마음을 가지고 치료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효과가 더 높음을 강조하였다.
(4) 침상에서 할 수 있는 적절한 범위의 전환 활동을 한다.
①침대에서 TV를 보거나 책 읽기를 권유하였다.
②컴퓨터를 이용해 오락이나 정보검색을 하도록 권유하였다
(5) 휴식과 활동 시간을 적절하게 분배한다.
①휴식 시간에는 가능한 처치를 피하고 충분히 휴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②환아가 귀찮아하는 행동은 삼갔다.
③낮시간에는 너무 어둡게 하지 않도록 하였다.
평가
환아는 여전히 무기력 하지만 병실에서 오락하는 양상은 조금씩 보임
사정
S: “아무것도 먹기 싫어요.”
\"나중에 먹을게요.“
O: 입원 시 신장 113.5cm 체중 22kg
하루에도 vomiting을 1-2차례 함
oral intake 0/8hr (음료 50cc/12hr)
진단
#2 식욕상실과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목표
단기목표 : 환아는 식사를 할 것이다.
장기목표: 일주일 이내에 환아의 구강 섭취가 증가할 것이다.
계획
수행
(1) 환아의 구강 섭취 양상을 사정한다.
①어머니에게 식사력을 작성하도록 하여 식사양상을 확인하였다.
②식사 시간에 아동의 식사를 관찰하였다.
(2) 부적절한 구강 섭취로 인한 신체의 변화양상을 관찰한다.
①혈액검사 수치를 매일 사정하였다.
②매일 같은 시간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체중계로 몸무게를 측정한다.
(3) 구강 섭취를 하지 않는 이유와 문제점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다.
①환아는 밥을 먹기 싫은 이유가 약 때문이라고 말하였다.
②영양 섭취 부족은 항암치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면역기능을 약화시킨다고 강조하였다.
(4) 구강 간호를 제공한다.
①tantum 가글을 통해 구강 청결을 유지하도록 권유하였다.
(5) 식사 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①식사 시 엄마가 옆에서 보조하면서 지지하도록 하였다.
②식사를 잘해야 항암치료를 잘 이겨낼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평가
환아는 tantum 가글을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여전히 구강섭취는 전혀 없었다.
그러나 퇴원을 하면 식사를 잘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였다.
③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격리법을 시행하였다.
-격리병실, 개인 체온계 사용
④멸균식을 제공하였다.
(4) 환아를 다루기전 후에 철저한 손씻기를 한다.
①간호 활동을 하기 전/후에 손씻기를 시행하였다.
-외부에서 들어갈 때는 항상 손을 깨끗이 씻었다.
(5) 환아의 잠재적 감염부위(주사부위 및 상처부위)를 관리한다.
①IV부위의 부종 발적 여부를 수시로 관찰하였다.
②무균법을 지켜 dressing이 이루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6) 환자에게 개인위생 관리에 대해 교육한다.
①환아에게 자신의 감염위험성을 알리고 스스로 주의하도록 격려하였다.
-환아에게 자주 손을 씻고, 오염된 환의는 즉시 갈아입을 것, 오염된 손으로 IV 부위만지지 않을 것, 마스크 착용 등 을 교육하였다.
②보호자에게 감염의 위험성을 설명하고 감염 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환아에게 익히지 않은 음식의 섭취를 금하고 멸균된 것을 섭취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환아는 즉시 마스크를 착용하고 누워있는 모습을 보였다.
환아의 체온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37.5-38.0℃ 사이를 유지하였다.
질환으로 인해 임상검사 결과는 좋아지지 않았지만, 감염의 징후를 보이지 않았다.
사정
S: “아무 말도 하기 싫어요. 귀찮아요.”
“빨리하고 나가세요.”
O: 기운 없이 침대에 누워있다.
질문을 해도 대답하지 않는다.
병실에 들어가면 눈을 반쯤 감고 쳐다본다.
진단
#3 잦은 병원 생활과 관련된 무력감
목표
단기목표 : 환아는 하루 이내에 활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장기목표 : 환아는 일주일 이내에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계획
수행
⒧ 과거와 현재의 활동 양상과 무력감의 정도를 사정한다.
①아동의 어머니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입원 전에는 활동량이 많았으나 지금은 말도 잘하지 않고 특히, chemotherapy중에 더욱 심하다고 한다.
②아동의 활동을 직접 관찰하였다.
-활동량 거의 없음
(2) 친근한 지지체계를 통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①친밀감을 쌓기 위해 병실을 자주 방문하였고 매일 말을 걸며 친근하게 대했다.
②가족들이 함께 아동을 지지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엄마를 통해 대화를 유도함
(3) 대화를 통해 환아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①백혈병이라는 진단과 질병에 대해 예상되는 느낌을 대화를 통해 표현하였다.
-무섭고 힘들다고 표현하였다.
② 환자가 즐거운 마음을 가지고 치료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효과가 더 높음을 강조하였다.
(4) 침상에서 할 수 있는 적절한 범위의 전환 활동을 한다.
①침대에서 TV를 보거나 책 읽기를 권유하였다.
②컴퓨터를 이용해 오락이나 정보검색을 하도록 권유하였다
(5) 휴식과 활동 시간을 적절하게 분배한다.
①휴식 시간에는 가능한 처치를 피하고 충분히 휴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②환아가 귀찮아하는 행동은 삼갔다.
③낮시간에는 너무 어둡게 하지 않도록 하였다.
평가
환아는 여전히 무기력 하지만 병실에서 오락하는 양상은 조금씩 보임
사정
S: “아무것도 먹기 싫어요.”
\"나중에 먹을게요.“
O: 입원 시 신장 113.5cm 체중 22kg
하루에도 vomiting을 1-2차례 함
oral intake 0/8hr (음료 50cc/12hr)
진단
#2 식욕상실과 관련된 영양결핍 위험성
목표
단기목표 : 환아는 식사를 할 것이다.
장기목표: 일주일 이내에 환아의 구강 섭취가 증가할 것이다.
계획
수행
(1) 환아의 구강 섭취 양상을 사정한다.
①어머니에게 식사력을 작성하도록 하여 식사양상을 확인하였다.
②식사 시간에 아동의 식사를 관찰하였다.
(2) 부적절한 구강 섭취로 인한 신체의 변화양상을 관찰한다.
①혈액검사 수치를 매일 사정하였다.
②매일 같은 시간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체중계로 몸무게를 측정한다.
(3) 구강 섭취를 하지 않는 이유와 문제점에 대해 함께 이야기한다.
①환아는 밥을 먹기 싫은 이유가 약 때문이라고 말하였다.
②영양 섭취 부족은 항암치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면역기능을 약화시킨다고 강조하였다.
(4) 구강 간호를 제공한다.
①tantum 가글을 통해 구강 청결을 유지하도록 권유하였다.
(5) 식사 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①식사 시 엄마가 옆에서 보조하면서 지지하도록 하였다.
②식사를 잘해야 항암치료를 잘 이겨낼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평가
환아는 tantum 가글을 열심히 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여전히 구강섭취는 전혀 없었다.
그러나 퇴원을 하면 식사를 잘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