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과생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과생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글과생각

국1


목차

1. 정약용의 <농아광지>와 송준길의 <제망자문>을 읽고, 각각의 글이 지닌 장점 및 두 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하여 서술하시오. (20점)
2. 이광수의 <동포에 고함>(제7강)에 나타나는 형식적인 특징을 설명하고 이 글을 통해 글쓴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25점)
3. 최현배의 <한글과 문화혁명>과 남광우의 <국한혼용론>(제15강)을 읽고 한글 전용과 한자 혼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25점)

참고문헌




1. 정약용의 <농아광지>와 송준길의 <제망자문>을 읽고, 각각의 글이 지닌 장점 및 두 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하여 서술하시오. (20점)


1) 농아광지 / 정약용

이 글은 정약용의 아홉 번째 자식인 농장()에 대한 광지(壙志)이다. 광지는 묘지(墓誌)나 장지(葬志)와 같은 것으로

본문내용

된다. 하지만 이러한 최현배의 한글 전용론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았다. 이에 대해 반대 견해인 국한 혼용론에 대한 반박으로 첫째, 한자를 배운다고 해서 한자어의 뜻을 쉽게 알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둘째, 한자는 배우는 데 많은 시간과 정력이 허비된다는 점, 셋째, 타자기 등 기계화가 어렵고 인쇄를 하기에 불편하다는 것과 넷째, 한자를 알아야만 유식하고 한글만 알아서는 무식을 면하지 못한다는 생각은 케케묵은 관념으로‘유식’은 한자를 깨치는 데 있지 않고 온갖 사물의 이치를 아는 데에 있는 것이라고 하면서 다섯째 바깥에서 온 한자어는 자연발생적이라 하여 사용에 힘쓰면서 새로 만든 말은 ‘인위적’이라 하여 배척하는 것은 본말이 뒤바뀐 생각이라고 주장한다.
최현배가 생각하기에 한자 폐지로 얻게 될 이익은 첫째, 온 국민이 다 글자 눈을 뜨게 된다.‘눈 뜨고도 글 못 보는 글 소경’이 없어지고 둘째, 국민 교육이 나아감에 빠르며, 지식의 일반 수준이 높아지며 셋째, 모든 신문이 진정한 국민 대중의 공기가 되어, 국민에게 정말로 나라 안, 나라 밖의 소식과 지식을 이받는 기관이 된다. 넷째는 과학 기술의 교육을 효과 있게 실시할 수 있어, 각종 산업의 생산 증가를 누리게 되며 다섯째, 한글의 기계화[機械化]가 잘 되어서, 국민의 문화생활에 막대한 이익과 편리가 얻어진다. 이러한 글자 사용의 혁신이 없이는 도저히 뒤떨어진 이 나라, 이 사회를 남과 비견할 수 있는 경지에 올려놓을 수가 없겠다. 마지막으로 모든 방면에서 참된 민주주의의 살림을 일삼을[營爲] 수 있게 된다고 하고 있다. 덧붙여 이제 우리나라는 혁명의 시기에 처해 있으며, 근본적인 재건의 시기에 놓여 있다. 한글만 쓰기를 단행하는 밝은 슬기와 과단성으로 말미암아서만 우리의 앞에는 광명과 소망이 있는 것이다. 어물 어물과 지척지척은 전진하는 국민의 대적임을 우리는 깊이 깨우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대해 국한혼용론을 주장하는 남광우는 첫째, 한글 전용은 불가하며 둘째, 학교에서 한자를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셋째, 국한 혼용 체제를 원칙으로 하는 것이 실리적이며 넷째, 한자는 동양 여러 나라의 공용 문자로 다섯째, 한자는 시각성(視覺性)이 뛰어나다는 점과 여섯째, 한자는 조어력(造語力)이 뛰어난 이점이 있고 일곱째, 한자어는 축약력(縮約力)이 뛰어나서 여덟째, 전통문화(한자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서도 한자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면서 국한문혼용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한 나의 입장을 서술하자면 우선 한글이 초기 학습에 중요한 점은 인정되며 그 보편성과 편리성은 누구도 이견을 대지 못할 정도로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한자가 가지고 있는 여러 이점 또한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영어를 배우기 위해서 그렇게 힘쓰는 시간과 노력을 보자 영어는 미국, 영국 등 서구 열강들이 사용하는 지배적 언어다. 하지만 세계에 영어만 있는 것도 아니고 외국어는 많다. 더구나 한자는 수 천 년 동안 우리 조상들의 다져놓은 고귀한 정신문화가 깃들어있는 언어다. 다의적이면서 그 미묘한 어감과 한자의 조형적 아름다움은 추사나 여타 서예가들의 예술적인 발자취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장점이다. 현실적으로 국한문 혼용이 어려운 점은 인정되나 적어도 고등교육을 받고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한자 또한 교육해야 학문적 지평이 넓어질 수 있고 표현의 다양성도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글을 아끼고 살피는 것도 유지하되 지금보다 한자, 한문 교육을 더 강화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20세기는 서양의 세기였지만 21세기는 동서양의 문화가 어우러진 융합의 장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글과생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1.05.13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49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