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존주의 정의
2. 실존주의 등장배경
3. 실존주의 특징
4. 실존주의 핵심내용
5. 주요 실존주의 학자들의 이론연구
(1) 니체 (무신론)
(2) 키에르케고르 (유신론)
(3) 샤르트르 (무신론)
6. 실존주의의 공헌점과 한계점
(1) 공헌점
(2) 한계점
7. 결론 및 느낀점
<참고문헌>
2. 실존주의 등장배경
3. 실존주의 특징
4. 실존주의 핵심내용
5. 주요 실존주의 학자들의 이론연구
(1) 니체 (무신론)
(2) 키에르케고르 (유신론)
(3) 샤르트르 (무신론)
6. 실존주의의 공헌점과 한계점
(1) 공헌점
(2) 한계점
7. 결론 및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 교육은 개인의 창의성을 사회라고 하는 하나의 큰 테두리 안에서 길러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생의 과정을 비연속적인 것으로만 버려는 태도는 인간의 생이 비연속적인 영역과 병행하여 보다 넓은 연속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는 이중성을 생의 현실을 도외시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에 있어서도 비연속적 교육형식만을 중시할 것이 아니라 연속적, 점진적 발달은 포괄한 종래의 교육학의 지평을 넓혀주는 교육관이라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각성이나 만남의 의의도 인간이 어떠한 가치와 본래적인 것을 향해서 비연속적으로 진보한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에만 의미가 있고 가능하다고 보지 않으면 안 된다. 더욱이 비연속성의 교육 형식은 오늘날의 대량생산 교육의 여건 하에서는 현실 적으로는 매우 큰 어려움이 수반하게 됨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실존주의는 자유로운 창조적 개성의 성장과 개성의 가치를 존중한 나머지 교사를 교과지도자로서, 또는 인격을 도야하는 인격자로서가 아니라, 자유인으로서 행동하는 교사가 되기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사를 통한 교육은 인류의 소중한 문화적 유산의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 교육을 순수하게 실재적인 교육 형식으로 만 한다고 할 것 같으며 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일체의 권위도 부정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7. 결론 및 느낀점
사람은 이끼나 부패물이나 꽃양배추가 아니라 무엇보다도 주관적으로 자기 삶을 이어 나가는 하나의 지향적 존재이다. 이 지향 이전에는 아무것도 있을 수 없고 하나의 뚜렷한 그 무엇이 있을 리 없다. 그래서 사람은 먼저 되고자 지향한 그것이다. 되고자 원하는 그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의지라고 보통 부르는 것은 의식적 결정이어서 우리들 대다수에게 있어서 그것은 스스로가 만들어 낸 것 뒤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떤 정당에 가입하기를 바랄 수 있고, 책을 한 권 쓰고 결혼하기를 바랄 수 있는데, 이 모든 것은 소위 의지라고 불리는 것보다 더 근본적이고 더 자연적인 선택의 표시에 불과하다.
그러나 정말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면 사람은 자기가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 이래서 실존주의의 첫걸음은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그의 존재의 임자가 되게 하고, 그에게 그의 존재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돌리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고 우리가 말할 때 우리는 사람이 자신의 엄격한 개성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는 말이 아니라, 사람은 모든 타인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는 말이다.
주체론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우리를 공격하는 사람들은 이 두 가지의 의미를 가리지 않고 농간을 부리고 있다. 주체론에는 한편으로 자기 자신에 의한 개개 주체의 선택을 의미한다. 또 한편으로는 사람이 인간적 주체성을 초월하는 데 대한 불가능성을 의미한다. 실존주의의 깊은 뜻은 위에서 말한 제2의 의미를 가진다.
<참고문헌>
장 폴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손인수, 교육사 교육철학의 이론과 실제
안인희, 현대 교육 고전의 이해
생의 과정을 비연속적인 것으로만 버려는 태도는 인간의 생이 비연속적인 영역과 병행하여 보다 넓은 연속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는 이중성을 생의 현실을 도외시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에 있어서도 비연속적 교육형식만을 중시할 것이 아니라 연속적, 점진적 발달은 포괄한 종래의 교육학의 지평을 넓혀주는 교육관이라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각성이나 만남의 의의도 인간이 어떠한 가치와 본래적인 것을 향해서 비연속적으로 진보한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에만 의미가 있고 가능하다고 보지 않으면 안 된다. 더욱이 비연속성의 교육 형식은 오늘날의 대량생산 교육의 여건 하에서는 현실 적으로는 매우 큰 어려움이 수반하게 됨을 지적하지 않을 수가 없다.
실존주의는 자유로운 창조적 개성의 성장과 개성의 가치를 존중한 나머지 교사를 교과지도자로서, 또는 인격을 도야하는 인격자로서가 아니라, 자유인으로서 행동하는 교사가 되기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사를 통한 교육은 인류의 소중한 문화적 유산의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 교육을 순수하게 실재적인 교육 형식으로 만 한다고 할 것 같으며 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일체의 권위도 부정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7. 결론 및 느낀점
사람은 이끼나 부패물이나 꽃양배추가 아니라 무엇보다도 주관적으로 자기 삶을 이어 나가는 하나의 지향적 존재이다. 이 지향 이전에는 아무것도 있을 수 없고 하나의 뚜렷한 그 무엇이 있을 리 없다. 그래서 사람은 먼저 되고자 지향한 그것이다. 되고자 원하는 그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의지라고 보통 부르는 것은 의식적 결정이어서 우리들 대다수에게 있어서 그것은 스스로가 만들어 낸 것 뒤에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떤 정당에 가입하기를 바랄 수 있고, 책을 한 권 쓰고 결혼하기를 바랄 수 있는데, 이 모든 것은 소위 의지라고 불리는 것보다 더 근본적이고 더 자연적인 선택의 표시에 불과하다.
그러나 정말 존재가 본질에 앞선다면 사람은 자기가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 이래서 실존주의의 첫걸음은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그의 존재의 임자가 되게 하고, 그에게 그의 존재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돌리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고 우리가 말할 때 우리는 사람이 자신의 엄격한 개성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는 말이 아니라, 사람은 모든 타인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는 말이다.
주체론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우리를 공격하는 사람들은 이 두 가지의 의미를 가리지 않고 농간을 부리고 있다. 주체론에는 한편으로 자기 자신에 의한 개개 주체의 선택을 의미한다. 또 한편으로는 사람이 인간적 주체성을 초월하는 데 대한 불가능성을 의미한다. 실존주의의 깊은 뜻은 위에서 말한 제2의 의미를 가진다.
<참고문헌>
장 폴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손인수, 교육사 교육철학의 이론과 실제
안인희, 현대 교육 고전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