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반정보
Ⅱ. 병력
Ⅲ.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Ⅳ. 대상자의 간호과정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Ⅱ. 병력
Ⅲ. 질병기술(disease description)
Ⅳ. 대상자의 간호과정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alcium
8.8~10.2
7.7
7.9
P
2.3~3.7
3.31
2.24
BUN/Cr
10~20
20.3
22.2
20.2
간호진단
복부절개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기대
결과)
대상자가 퇴원할 때 까지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처부위 또는 침습적 처치 부위의 부종, 발적, 동통
입원 기간 동안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한다.
→ 감염으로 인한 체온 상승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2) 상처부위 및 침습적 처치 부위를 관찰한다.
→ 상처부위와 침습적 처치(정맥주사 부위, 도뇨관 삽입 부위)에
감염 증상(발적, 부종, 동통, 수술부위 화농성 배액물)이 있는지 확인 한다.
(3)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 소독제로 손씻기를 하여 감염의 위험을 최 소화 한다.
→ 감염예방을 위해 접촉으로 인한 전파를 차단한다.
(4)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한다.
→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알려줌으로써 감염 발생시 조기진단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소변의 색이 탁하고 악취가 나는 것, 수술부위 화농성 배액물,
발열, IV주사 부위의 발적, 동통, 부종 등
(5) 항생제(flumarin inj 0.5g, IV)를 투여한다.
→ 항생제 투여로 감염을 예방한다.
(6) IV fluid를 통해 부족한 영양을 섭취하고 체액 균형을 맞춰준다.
→ 영양부족 및 체액불균형은 면역력 악화로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7) 대상자에게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 피로는 면역력을 감소시켜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8)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하여 폐에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하고, 폐에 점액이 정체되지 않도록 돕는다.
→ 심호흡을 증진하여 전신마취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한다.
폐에 점액이 정체될 경우 폐렴 및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간호수행
T (℃)
T (℃)
2019.12.07.
(수)
8:00
37.3
2019.12.10.
(토)
8:00
36.4
16:00
37.2
16:00
36.5
22:00
37.3
22:00
37.1
2019.12.08.
(목)
8:00
37.0
2019.12.11.
(일)
8:00
36.9
16:00
37.1
16:00
36.5
22:00
37.2
22:00
36.3
2019.12.09.
(금)
8:00
37.0
2019.12.12.
(월)
8:00
37.2
16:00
37.0
16:00
36.9
22:00
36.8
22:00
36.5
(1)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했다.(by. RN, SN)
(2) 상처부위 및 침습적 처치 부위를 관찰한 결과, 감염 증상(발적, 부종, 동 통)이 없었다.(by. RN, SN)
(3)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 소독제로 손씻기를 하였다. (by. RN, SN)
(4)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하였다. (by. RN, SN)
“주사부위나 다른 상처부위가 부어오르거나, 가려움, 발적 같은 증상이 있 으면 바로 말씀해주세요.”(by. SN)
(5) 항생제(flumarin inj 0.5g, IV)를 투여했다. (by. RN)
간호평가
아직 평가하지 못함
#3 출혈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Data: 2019.12.06
징후&증상
(주관적/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수술하고 나서 머리가 좀 아팠어.”, “어지럽기도 하고”
<객관적 자료>
POD#4(2019.12.09.) 두통과 함께 어지러움 호소
낙상점수 35점
연령 65세
성분명
정상치
2019-12-05
2019-12-06
2019-12-07
BUN/Cr
10~20
20.3
22.2
20.2
성분명
정상치
2019-11-09
2019-12-05
2019-12-06
2019-12-07
RBC
4.2~5.7
(E12/L)
5.04
3.83
3.70
3.25
Hb
13.5~17.0
(g/dL)
14.6
11.5
10.8
9.7
Hct
40~53(%)
45.3
34.1
32.7
28.8
간호진단
수술 후 출혈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기대
결과)
대상자는 퇴원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1) 현기증이 있는지 확인한다.
(2)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 대상자로부터 2차적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제거한다.
(3) 천천히 움직이도록 도와준다.
(4) 침대 난간을 올리고 낙상방지 교육을 한다.
→ 외상을 최소화 한다.
(5) CBC검사가 시행될 경우, 대상자의 헤모글로빈, RBC, Hct 수치를 확인한 다.
→ 빈혈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6) 대상자에게 어지러움 예방을 위해 철분 복용을 권장한다.
(7) 낙상주의 푯말을 걸어 놓는다.
간호수행
(1) 현기증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현기증이 없다고 했다. (by. SN)
(2) 안전한 환경을 제공했다. (by. RN)
(3) 천천히 움직이도록 도와주었다. (by. RN)
(4) 침대 난간을 올리고 낙상방지 교육을 했다. (by. RN)
- 이동 시 보호자와 꼭 함께 이동하도록 교육하였다.
- 침상의 난간을 항상 올려놓고 있도록 교육하였다.
- 대상자가 주로 사용하는 물건이나 간호사를 부를 수 있는 전화기는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교육하였다.
- 조기 이상 전에 일어날 때 침상에 한번 걸터앉은 후 천천히 일어나도록
교육하였다.
(5) 대상자에게 어지러움 예방을 위해 철분섭취를 권장했다. (by. SN)
“어지러움증이 있으니까 철분제를 드시거나 시금치, 콩류 같은 반찬을 가 리지 않고 드시는게 좋아요.”
(6) 폴대에 낙상주의 푯말이 걸어놓았다. (by. RN)
간호평가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목표달성)
Ⅸ. 참고문헌
1. 조경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4)
2. 조경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4)
3. 이동숙 외 옮김, 『간호과정』, (포널스 출판사, 2014)
4. 김금순 외 , 『기본간호학』, (신광 출판사, 2011)
5. KIMS 의약정보센터
6. 드러그 인포
8.8~10.2
7.7
7.9
P
2.3~3.7
3.31
2.24
BUN/Cr
10~20
20.3
22.2
20.2
간호진단
복부절개 및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기대
결과)
대상자가 퇴원할 때 까지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상처부위 또는 침습적 처치 부위의 부종, 발적, 동통
입원 기간 동안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한다.
→ 감염으로 인한 체온 상승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2) 상처부위 및 침습적 처치 부위를 관찰한다.
→ 상처부위와 침습적 처치(정맥주사 부위, 도뇨관 삽입 부위)에
감염 증상(발적, 부종, 동통, 수술부위 화농성 배액물)이 있는지 확인 한다.
(3)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 소독제로 손씻기를 하여 감염의 위험을 최 소화 한다.
→ 감염예방을 위해 접촉으로 인한 전파를 차단한다.
(4)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한다.
→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알려줌으로써 감염 발생시 조기진단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소변의 색이 탁하고 악취가 나는 것, 수술부위 화농성 배액물,
발열, IV주사 부위의 발적, 동통, 부종 등
(5) 항생제(flumarin inj 0.5g, IV)를 투여한다.
→ 항생제 투여로 감염을 예방한다.
(6) IV fluid를 통해 부족한 영양을 섭취하고 체액 균형을 맞춰준다.
→ 영양부족 및 체액불균형은 면역력 악화로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7) 대상자에게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 피로는 면역력을 감소시켜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8)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하여 폐에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하고, 폐에 점액이 정체되지 않도록 돕는다.
→ 심호흡을 증진하여 전신마취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한다.
폐에 점액이 정체될 경우 폐렴 및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간호수행
T (℃)
T (℃)
2019.12.07.
(수)
8:00
37.3
2019.12.10.
(토)
8:00
36.4
16:00
37.2
16:00
36.5
22:00
37.3
22:00
37.1
2019.12.08.
(목)
8:00
37.0
2019.12.11.
(일)
8:00
36.9
16:00
37.1
16:00
36.5
22:00
37.2
22:00
36.3
2019.12.09.
(금)
8:00
37.0
2019.12.12.
(월)
8:00
37.2
16:00
37.0
16:00
36.9
22:00
36.8
22:00
36.5
(1) 대상자의 체온을 측정했다.(by. RN, SN)
(2) 상처부위 및 침습적 처치 부위를 관찰한 결과, 감염 증상(발적, 부종, 동 통)이 없었다.(by. RN, SN)
(3) 환자와 접촉하기 전, 후에 손 소독제로 손씻기를 하였다. (by. RN, SN)
(4)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을 교육하였다. (by. RN, SN)
“주사부위나 다른 상처부위가 부어오르거나, 가려움, 발적 같은 증상이 있 으면 바로 말씀해주세요.”(by. SN)
(5) 항생제(flumarin inj 0.5g, IV)를 투여했다. (by. RN)
간호평가
아직 평가하지 못함
#3 출혈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Data: 2019.12.06
징후&증상
(주관적/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수술하고 나서 머리가 좀 아팠어.”, “어지럽기도 하고”
<객관적 자료>
POD#4(2019.12.09.) 두통과 함께 어지러움 호소
낙상점수 35점
연령 65세
성분명
정상치
2019-12-05
2019-12-06
2019-12-07
BUN/Cr
10~20
20.3
22.2
20.2
성분명
정상치
2019-11-09
2019-12-05
2019-12-06
2019-12-07
RBC
4.2~5.7
(E12/L)
5.04
3.83
3.70
3.25
Hb
13.5~17.0
(g/dL)
14.6
11.5
10.8
9.7
Hct
40~53(%)
45.3
34.1
32.7
28.8
간호진단
수술 후 출혈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기대
결과)
대상자는 퇴원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1) 현기증이 있는지 확인한다.
(2)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 대상자로부터 2차적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제거한다.
(3) 천천히 움직이도록 도와준다.
(4) 침대 난간을 올리고 낙상방지 교육을 한다.
→ 외상을 최소화 한다.
(5) CBC검사가 시행될 경우, 대상자의 헤모글로빈, RBC, Hct 수치를 확인한 다.
→ 빈혈 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6) 대상자에게 어지러움 예방을 위해 철분 복용을 권장한다.
(7) 낙상주의 푯말을 걸어 놓는다.
간호수행
(1) 현기증이 있는지 확인한 결과, 현기증이 없다고 했다. (by. SN)
(2) 안전한 환경을 제공했다. (by. RN)
(3) 천천히 움직이도록 도와주었다. (by. RN)
(4) 침대 난간을 올리고 낙상방지 교육을 했다. (by. RN)
- 이동 시 보호자와 꼭 함께 이동하도록 교육하였다.
- 침상의 난간을 항상 올려놓고 있도록 교육하였다.
- 대상자가 주로 사용하는 물건이나 간호사를 부를 수 있는 전화기는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교육하였다.
- 조기 이상 전에 일어날 때 침상에 한번 걸터앉은 후 천천히 일어나도록
교육하였다.
(5) 대상자에게 어지러움 예방을 위해 철분섭취를 권장했다. (by. SN)
“어지러움증이 있으니까 철분제를 드시거나 시금치, 콩류 같은 반찬을 가 리지 않고 드시는게 좋아요.”
(6) 폴대에 낙상주의 푯말이 걸어놓았다. (by. RN)
간호평가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목표달성)
Ⅸ. 참고문헌
1. 조경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4)
2. 조경숙 외 공저,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2014)
3. 이동숙 외 옮김, 『간호과정』, (포널스 출판사, 2014)
4. 김금순 외 , 『기본간호학』, (신광 출판사, 2011)
5. KIMS 의약정보센터
6. 드러그 인포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TKRA 케이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급성심근경색 STEMI)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농양)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복부대동맥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농흉 Empyema)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코뼈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협심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