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난소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5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난소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5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대상자 간략소개

Ⅱ. 대상자 건강문제 문헌고찰

Ⅲ. 간호사정 및 문제해결과정
1. 간호사정 도구
2. 신체검진
3. 임상검사결과 보고
4. 진단 검사
5. 사용약물 보고
6. 간호과정
7. 퇴원 개요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속된 항암요법으로 머리털이 거의 없는 상태임
항상 모자를 쓰고 있으려 함
자신의 민머리가 노출되는 상황에 예민하고 부정적으로 반응함



- “수술 갈 때 머리 안보이게 모자 쓰고 가면 안돼요? 창피해요.”
간호진단
항암요법의 부작용과 관련된 신체상 장애








대상자는 자신의 신체상의 변화에 대한 느낌을 말로 표현한다.
대상자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느낌을 말로 표현한다.




대상자의 신체상 변화에 대한 감정을 인정해준다.
⇒지지와 상담의 첫 단계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감정을 그래도 인정해주는 것이다.
대상자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며 경청해주고 공감해준다.
⇒대상자가 신체상 변화에 대한 자신의 감정과 지지치계를 인식한다.
대상자가 긍정적인 생각을 하도록 격려한다.
⇒긍정적인 생각을 통해 신체상 변화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대상자 간호 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한다.
⇒긍정적 태도는 외모의 기능상 변화를 수용하여 신체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
들이게 한다.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지지와 격려를 통해 대상자가 신체상 변화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대상자의 보호자와 가족이 곁에서 지지해 줄 것을 격려한다.
⇒대상자의 지지체계가 되어 긍정적인 생각과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적 안정을 도모 한다.
대상자가 효과적인 대응방법을 배우도록 도와준다.
⇒효율적인 대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상자와 가족이 문제를 잘 다루도록
한다.
간호수행
대상자가 머리 노출 시 보이는 민감한 반응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by. RN, SN)
대상자가 머리 노출 시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 말로 표현하도록 하고 경청하고 공감해 주었다. (by. RN, SN)
“머리가 보이는 것이 불편하신가요?”
3. 대상자가 머리 노출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항암요법이 끝나면 머리 는 다시 원래대로 자랄 것이라고 설명함. (by. RN)
4. 대상자 간호 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여 정서적 안정감과 지지를 제공하였다.
(by. RN, SN)
5. 대상자의 보호자와 가족이 곁에서 지지해 줄 것을 격려하였다. (by. RN)
6. 대상자와 가족들에게 같은 병동에 위치한 항암요법을 받는 환자들의 효과적인 대응 방법(모자, 스카프 등)을 설명해주었다. (by. RN)
간호평가
대상자는 자신의 신체상의 변화에 대한 느낌과 감정을 말로 표현하였다. ⇒목표달성
“머리가 보이는 것이 창피해요.”
2. 대상자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느낌을 말로 표현하였다. ⇒목표달성
“항암요법이 끝나면 머리가 다시 자라겠죠?”
(5) 치료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관련된 자기건강 관리의 향상 가능성
Date
2016.10.24.~2016.10.28







- 2016/7/8 왼쪽 난소종양 절제술(개복술)을 받고 수술 후 항암요법을 5차까지 시행함
2016/10/26 ASCITIC FLUID ASPIRATION 수술 후 문제없이 회복되고 있음
대상자에게 이루어지는 치료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임
수술 전, 후 일상적인 활동에 어려움이 없음



“네, 할 수 있을 것 같아요.”(퇴원 교육 시)
간호진단
치료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관련된 자기건강 관리의 향상 가능성








대상자는 퇴원 시 자가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말로 표현한다.
대상자는 퇴원 시 수술 후 관리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대상자의 수술과 관리법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지식정도를 사정하여 대상자에게 제공할 교육의 범위를 설정한다.
2. 대상자에게 수술 후 관리법에 대해 교육한다.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수술 후 관리법에 대해 설명하여 관련 지식을 충족시킨다.
3.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사정하고 그에 따른 행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교육내용에 대해 이해하였을 경우 칭찬과 긍정적 반응으로 자가 간호 의지를 불러일으킨다.
4.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지지체계가 되어주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자가 관리를 시행할 때 보호자가 지지체계가 되어 어려움이 있을 시 도 움을 준다.
간호수행
대상자가 수술과 수술 후 관리법에 얼마나 알고 있는지 질문을 하여 지식정도를 사정함. (by. RN)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퇴원 후 수술부위 관리법과 투약, 문제 시 대처법 등에 대해 설명함. (by. RN)
3. 교육 후 대상자에게 질문을 하여 이해정도를 사정함. (by. RN)
“다 이해하셨나요?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4.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어려움을 호소할 시 도와주도록 격려함. (by. RN)
간호평가
대상자는 퇴원 시 자가 관리에 대해 질문을 통해 관심도를 나타내었다. ⇒목표달성
“샤워는 언제부터 할 수 있나요?”
대상자는 퇴원 시 수술 후 관리법에 대해 말로 표현하였다. ⇒목표달성
7. 퇴원개요(Discharge Summary)
1) 미해결된 간호진단 해당사항 없음.
2) 퇴원 후 치료이행에 관한 지시
(1) 퇴원약
Polybutine 100mg 1 TAB TP 3회 7일 (식후 30분)
Brufen 200mg 1 TAB TP 3회 7일 (식후 30분)
Mesexin 500mg 1000MG TP 3회 7일 (식후 30분)
(2) 퇴원 후 주의사항
간단한 샤워는 퇴원 후 다음 날부터 가능하며 통목욕은 외래 진료 보시고 물어보십시 오. 수술 후 약간의 질 출혈은 한 달 정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단, 생리량 많은 날처럼 선홍색 피가 울컥 쏟아지면 이상증상이므로 병동으로 문의전화 주십시오. 감기증상 없이 갑자기 고열이 나는 경우 문의전화 주십시오.
수술 후 식사는 부드럽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으로 드십시오.
한동안은 무거운 물건 드는 행동, 쭈그려 앉아 일하는 행동, 질 세척, 부부관계는
퇴원 후 외래 오실 때 교수님께 반드시 확인 후 하십시오.
Ⅳ. 참고문헌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2014).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2014).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11)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2012)
  • 가격2,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21.06.09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2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