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화 ‘오아시스’
2. 영화 ‘오아시스’를 보고 감동적인 장면
3. 소외된 계층을 향한 사회의 시선
4. 소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영화 ‘오아시스’
2. 영화 ‘오아시스’를 보고 감동적인 장면
3. 소외된 계층을 향한 사회의 시선
4. 소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정상인이 되어 마주앉아 있는 연인의 행동을 따라하는 장면은 그들을 부러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공주의 눈빛 연기만으로도 충분히 표현될 수 있었다. 노래방에서‘내가 만일’이라는 노래 반주가 나올 때 따라 부르지 못하고, 이어지는 도시철도 역사 안 장면에서 다시 신체적으로 정상인이 되어 공주가 그 노래를 부르는 것도 배경음악으로 충분히 대신할 수 있었다.
판타지는 결국 공주의 심리 상태나 변화를 직접적으로 묘사한다. 다 보여주지 않아도 전달 가능한 판타지 장면은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것이다. 환상을 구태의연하게 기어이 장면으로 보여 줄 때 그것이 무엇을 말하고 싶어 하는 것인지 오히려 어리둥절할 때가 있다. 하지만 객체의 절망과 희생의 표현인 환상이 현실로 나오는 순간 폭력성을 갖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환상 상태에 깊이 빠져있으면 있을수록 폭력의 정도는 더더욱 심해진다. 환상 상태에서 아무리 주체가 되어도 현실에서는 결코 주체가 되지 못한다. 영화는 공주의 폭력성을 강화하기 위해 환상 장면의 횟수를 애써 늘렸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종두의 감옥행은 주체의 폭력에 의해 진행된 것이 아니라 주체인 가족과 객체인 공주의 폭력이공모해서 완성한 합작품인 셈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지적장애아를 모델로 한 영화 한편을 보고 감동적인 장면과 느낌 소감을 기술해 보았다. 영화는 세상만 바뀐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 희생당하는 공주도 바뀌어야 한다는 탈근대 정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들이 그야말로 깊은 잠에서 빠져 나오기 위해서는 주체들의 자기반성과 함께 공주 스스로가 그 순진한 순응주의와 준비된 패배주의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종두는 영화에서 공주처럼 세상에 순응하지 않았고, 그가 다시 출소해도 여전히 순응하지 않을 것이다. 그는 패배주의에 빠져 있기 때문에 자신의 억울한 누명 앞에서 한 마디도 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공주와의 사랑을 환상이 아닌 현실에서 이루기 위해 그녀를 희망의 메신저로 만들고 싶었다.
Ⅳ. 참고문헌
김선아, 『한국영화라는 낯선 경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허성미, 「이창동 작품 시나리오 분석-서사구조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3.
박우성 외, 「정성일의 비판에 투영된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 『국제어문』, 2015.
이만식, 「이창동 영화의 문화적 의미 - 와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 과자크 데리다의 『죽음의 선물』」,『比較文學』Vol. 44, 2008.
판타지는 결국 공주의 심리 상태나 변화를 직접적으로 묘사한다. 다 보여주지 않아도 전달 가능한 판타지 장면은 결과적으로 불필요한 것이다. 환상을 구태의연하게 기어이 장면으로 보여 줄 때 그것이 무엇을 말하고 싶어 하는 것인지 오히려 어리둥절할 때가 있다. 하지만 객체의 절망과 희생의 표현인 환상이 현실로 나오는 순간 폭력성을 갖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환상 상태에 깊이 빠져있으면 있을수록 폭력의 정도는 더더욱 심해진다. 환상 상태에서 아무리 주체가 되어도 현실에서는 결코 주체가 되지 못한다. 영화는 공주의 폭력성을 강화하기 위해 환상 장면의 횟수를 애써 늘렸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종두의 감옥행은 주체의 폭력에 의해 진행된 것이 아니라 주체인 가족과 객체인 공주의 폭력이공모해서 완성한 합작품인 셈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지적장애아를 모델로 한 영화 한편을 보고 감동적인 장면과 느낌 소감을 기술해 보았다. 영화는 세상만 바뀐다고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 희생당하는 공주도 바뀌어야 한다는 탈근대 정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들이 그야말로 깊은 잠에서 빠져 나오기 위해서는 주체들의 자기반성과 함께 공주 스스로가 그 순진한 순응주의와 준비된 패배주의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종두는 영화에서 공주처럼 세상에 순응하지 않았고, 그가 다시 출소해도 여전히 순응하지 않을 것이다. 그는 패배주의에 빠져 있기 때문에 자신의 억울한 누명 앞에서 한 마디도 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공주와의 사랑을 환상이 아닌 현실에서 이루기 위해 그녀를 희망의 메신저로 만들고 싶었다.
Ⅳ. 참고문헌
김선아, 『한국영화라는 낯선 경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허성미, 「이창동 작품 시나리오 분석-서사구조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3.
박우성 외, 「정성일의 비판에 투영된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 『국제어문』, 2015.
이만식, 「이창동 영화의 문화적 의미 - 와 롤랑 바르트의 신화론, 과자크 데리다의 『죽음의 선물』」,『比較文學』Vol. 44, 2008.
추천자료
불안장애에 대한 조사
제8요일 감상문과 제8요일영화에대하여 자세하게 분석
복지영화제
지적장애(정신지체) 정의, 특징, 진단 분류, 원인, 특성, 치료, 지도, 교수 방법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개념,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교육과정 변천사, 정보통신...
애니메이션, 마리 이야기 (My Beautiful Girl, Mari) 분석(영화 분석)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신역동모델과 행동주의치료 - 정신분석의 기본개념과 주요 기법, 행...
[정신 간호학 영화 감상문] 정신역동 사례연구 ‘A Beautiful Mind (뷰티폴 마인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