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우리 사회에 있는 불평등
가. 50,60대가 살아온 시대
나. 20,30대가 살아가는 시대
다. 세대 간의 차이에서 오는 불평등
III. 불평등을 합리화 하는 방식
가. 세대 간의 불평등을 합리화 하는 방식
IV. 결 론
가. 불평등에 대한 나의 생각
참고문헌
II. 우리 사회에 있는 불평등
가. 50,60대가 살아온 시대
나. 20,30대가 살아가는 시대
다. 세대 간의 차이에서 오는 불평등
III. 불평등을 합리화 하는 방식
가. 세대 간의 불평등을 합리화 하는 방식
IV. 결 론
가. 불평등에 대한 나의 생각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대였다. 부동산과 주식투자와 같은 제테크를 통해서, 또 고등교육과 행정고시, 사법고시와 같은 고시를 통해 소위 말해 ‘개천의 용’이 가능한 시대였다. 하지만 지금은 노력해도 한계가 있는 성장의 정체기 시기이다. 이미 파이의 크기는 정해져 있고 형성된 보이지 않는 계급 차이가 있어 탈피하기 힘든 상황이다. 고등교육과 전문직과 같은 직업을 통해 예전만큼의 부를 축적하기 힘들어 진 것이다. 지금은 기성세대가 올린 부동산의 값을 감당하기 어려워 졌고 오직 세습 또는 상속을 통한 이른바 ‘금수저’라 불리는 방법을 통해서만 큰 부의 축적이 가능해진 상황이다. 그리하여 요즘 세대는 ‘한 방’이 될 만 한 거리를 찾고 그래서 로또가 그렇게 흥행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기성세대는 이런 20,30대의 모습을 두고 요즘 젊은이들은 정신력이 부족하다, 노력하지 않는다. 또는 나약하며 편한 것만 찾고 헝그리 정신이 부족하다며 비난하고 자신들은 성실함을 통해 이 자리까지 왔다며 합리화 한다.
IV. 결 론
가. 불평등에 대한 나의 생각
기성세대와 청년세대의 갈등은 먼저 기회의 평등과 복지, 부의 재분배가 이루어져야겠고, 일자리 창출과 비정규직이 판을 치는 이 나라에 무엇보다 고용환경의 안정을 줘야한다고 생각한다.
한 설문에서는 계층상승에 대한 세대 간 인식차이가 여실히 드러났다. 30~40대가 가난의 대물림에 대해 심각한 반감을 보인 반면 5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덜했다. 해법에 있어서도 젊은 세대가 소득재분배 정책을 강력히 주문한 반면 장년층은 오히려 일자리를 만드는 해법을 더 선호해 대조적이었다. \'우리나라는 부의 대물림, 가난의 대물림이 어떤 수준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31.1%가 \'매우 심각하다\'고 답했고 \'심각한 편\'이라는 응답이 59.6%를 차지했다. 반면 심각하지 않은 편이라는 응답자는 8.5%, 전혀 심각하지 않다고 본 사람은 0.7%에 불과했다.특히 30대의 인식이 나빴다. 연령대별 조사 결과 30대의 94.2%가 부의 대물림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응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30대의 경우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주거와 결혼과 출산·육아 등으로 새로운 지출이 많은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부의 대물림에 대한 인식 차는 전혀 다른 해법으로 나타났다. 30대(53.6%)와 40대(51.7%)가 \'고소득층 세금확대를 통한 중산층·서민층의 복지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50대(47.9%)는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득증대\'가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젊은 세대가 기성세대의 양보를 요구하는 것과 달리 기성세대는 파이를 키우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맞선 셈이다. http://economy.hankooki.com/lpage/economy/201508/e20150817175623141990.htm 서울경제뉴스
지난 최근의 2번의 대선 때 필자의 부모님과 ‘너희가 무엇을 아느냐’는 식의 갈등이 있었으나 2번의 선택의 결과가 기대와 다르게 되니 점점 필자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이런 기성세대와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는 이런 사회적 구조를 잘 파악하고 이해하는 진정 나라를 위하는 일꾼인 정치인을 선출해야 하며 그들이 제대로 된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지 주시하고 관심을 가져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무쪼록 우리 사회에 팽배한 갈등과 불평등이 해소되고 다 같이 잘사는 나라를 꿈꿔보며 글을 마친다.
※ 참고문헌 ※
1. 이승욱, 김은산 (2013,애완의 시대,(주)뮨학동네 )
2. http://economy.hankooki.com/lpage/economy/201508/e20150817175623141990.htm 서울경제뉴스
IV. 결 론
가. 불평등에 대한 나의 생각
기성세대와 청년세대의 갈등은 먼저 기회의 평등과 복지, 부의 재분배가 이루어져야겠고, 일자리 창출과 비정규직이 판을 치는 이 나라에 무엇보다 고용환경의 안정을 줘야한다고 생각한다.
한 설문에서는 계층상승에 대한 세대 간 인식차이가 여실히 드러났다. 30~40대가 가난의 대물림에 대해 심각한 반감을 보인 반면 5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덜했다. 해법에 있어서도 젊은 세대가 소득재분배 정책을 강력히 주문한 반면 장년층은 오히려 일자리를 만드는 해법을 더 선호해 대조적이었다. \'우리나라는 부의 대물림, 가난의 대물림이 어떤 수준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31.1%가 \'매우 심각하다\'고 답했고 \'심각한 편\'이라는 응답이 59.6%를 차지했다. 반면 심각하지 않은 편이라는 응답자는 8.5%, 전혀 심각하지 않다고 본 사람은 0.7%에 불과했다.특히 30대의 인식이 나빴다. 연령대별 조사 결과 30대의 94.2%가 부의 대물림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응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30대의 경우 사회생활을 시작하면서 주거와 결혼과 출산·육아 등으로 새로운 지출이 많은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부의 대물림에 대한 인식 차는 전혀 다른 해법으로 나타났다. 30대(53.6%)와 40대(51.7%)가 \'고소득층 세금확대를 통한 중산층·서민층의 복지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반면 50대(47.9%)는 \'일자리 창출을 통한 소득증대\'가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젊은 세대가 기성세대의 양보를 요구하는 것과 달리 기성세대는 파이를 키우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맞선 셈이다. http://economy.hankooki.com/lpage/economy/201508/e20150817175623141990.htm 서울경제뉴스
지난 최근의 2번의 대선 때 필자의 부모님과 ‘너희가 무엇을 아느냐’는 식의 갈등이 있었으나 2번의 선택의 결과가 기대와 다르게 되니 점점 필자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이런 기성세대와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는 이런 사회적 구조를 잘 파악하고 이해하는 진정 나라를 위하는 일꾼인 정치인을 선출해야 하며 그들이 제대로 된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지 주시하고 관심을 가져야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무쪼록 우리 사회에 팽배한 갈등과 불평등이 해소되고 다 같이 잘사는 나라를 꿈꿔보며 글을 마친다.
※ 참고문헌 ※
1. 이승욱, 김은산 (2013,애완의 시대,(주)뮨학동네 )
2. http://economy.hankooki.com/lpage/economy/201508/e20150817175623141990.htm 서울경제뉴스
추천자료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만점 레포트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교과)
특수교육학개론 만점 레포트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교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만점 레포트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교과)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만점 레포트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교과)
유아교육개론 만점 레포트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교과
사회문제론 만점 레포트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교과)
교직실무 만점 레포트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교과)
교육심리학 만점 레포트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교과)
교육사회학 만점 레포트 (방송통신대 유아교육과, 방통대 유교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