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 호흡기계/ 신장계 구조와 기능
➁ 기흉, 늑골 골절
➂ 신장 및 요로계 질환
➃ Chest tube
➄ 폐암 수술
➅ 관상동맥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➆ 호흡기계/ 신장계 관련 진단 검사
➁ 기흉, 늑골 골절
➂ 신장 및 요로계 질환
➃ Chest tube
➄ 폐암 수술
➅ 관상동맥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➆ 호흡기계/ 신장계 관련 진단 검사
본문내용
조치하며, Digitalis는 수술 12시간 전, Diuretics는 수술 2~3일 전, 아스피린과 항응고제는 수술 1주일 전에 중지해야 함.
- 칼륨수준(3.5~4.0mEq/L)을 유지하기 위해 염화칼륨과 베타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항부정맥제, 항고 혈압제를 투여함.
- 수술 20~30분 전에 항생제를 투여함.
3) 수술 후 간호
1. 심맥관 상태 파악 및 안정을 위한 간호
활력징후 관찰, 정맥압과 폐모세혈관압 측정, 심전도
2. 호흡 증진을 위한 간호
호흡 - 인공호흡기 적용 후 관찰, 양쪽 폐가 균등하게 환기되는지 관찰, 피부색, 호흡수, 호흡 깊이 등을 관찰
기도 내 분비물 제거 - 미약한 기침반사, 호흡 저하로 분비물이 기도 내에 저류될 수 있음, 기관삽관 대상자는 자주 흡인해 분비물 제거하기, 1~2시간마다 심호흡, 기침 유도
밀봉 흉곽 배액 - 흉곽 내 출혈을 파악. 매시간 정확한 양, 색, 양상에 대해 측정, 기록함.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배관이 닫혀있는지 확인(지혈 감자 항상 준비), 배관제거는 보통 수술 후 48~72시간 내에 호전이 되면 시행
3. 수액, 영양,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간호
수액 공급 및 수혈, 식이(염분제한), 뇨배설 관찰, 유치도뇨관 삽입
호흡기계/ 신장계 관련 진단 검사
1. 기관지 내시경 검사 (bronchoscopy)
기관지 내시경 검사는 각종 호흡기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폐로 통하는 기관지를 내시경을 이용해 직접 관찰하는 검사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조직검사를 하거나 세균배양을 위한 기관지세척, 기도로 들어간 이물질 제거 등을 시행할 수 있다.
1) 검사방법
위내시경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훨씬 가는 기관지 내시경을 사용하여 국소 마취된 입이나 코를 통하여 기도로 삽입한 후 기관과 기관지를 관찰한다. 관찰 후 필요하면 병변으로 의심되는 부분을 떼어내어 조직검사나 세척술을 시행한다.
2) 주의사항
기관지 내시경 시행 후 국소 마취가 덜 풀린 상태에서 음식을 먹으면 음식을 삼키는 기능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서 호흡곤란이나 폐렴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검사가 끝난 후라도 물이나 음식을 절대 섭취하지 말고 검사 후 3시간 동안 금식한다.
2. 폐기능 검사 (Pulmonary function test, PET)
1) 목적
폐질환의 유무를 선별
수술 전 평가
인공호흡기 적용 중단을 위한 대상자 상태 평가
2) 절차
① 코를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코 클립을 거즈에 대고 코에 물리거나 손으로 코를 막고 검사를 한다.
② 어깨와 목에 힘을 주지 않도록 하고 가슴을 펴고 마우스피스를 치아로 물고 입안에 위치하도록 한다.
③ 입술로 마우스피스 주변을 단단히 물어서 새는 것을 막는다.
④ 어깨와 목에 너무 힘을 주지 않도록 하고 최대한 들이마셨을 때 주저하지 않고 곧바로 빠르고 세게 불어내도록 한다. 내쉬기는 적어도 6초간 유지해야 한다.
⑤ 오류가 없는 적합한 검사가 3회 이상 나올 때까지 검사를 반복하되, 최대 8회까지 시행할 수 있다.
3) 검사 전 간호
검사과정을 정확히 설명하여 불안을 감소시키고 대상자의 협조를 얻어야 함.
대상자는 검사 전에 4~6시간 전부터 기관지 확장제 사용이나 흡연을 금지시킴.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곤란 같은 비정상적 상태를 기록함.
4) 검사 후 간호
폐기능이 손상된 대상자가 검사로 지쳐 있으면 편안한 의자에서 쉬도록 도움.
갈증을 호소하면 물을 제공함.
심한 폐질환이 있는 대상자에게 호흡 곤란이나, 무호흡 등의 호흡양상을 관찰함.
3. 경피세침흡인폐생검 (Percutaneous Fine needle lung aspiration, PCNA)
경피세침흡입폐생검은 폐 실질이나 종격동의 질환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검사방법이다. 흉부 X-선 사진상 하나 혹은 여러 개의 폐결절 또는 폐종괴 등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시행하거나 감염성 질환의 폐실질 침윤 병변에서 미생물학적 염색과 배양을 위한 검사물을 채취하기 위해 시행하는 조직 검사의 한 방법이다.
4. 폐생검 (lung biopsy)
환자의 생존 중에 진단을 확정하기 위해서 병리조직학적 검사에 이용하는 재료를 환자의 폐에서 채취하는 검사법을 말한다.
5. 심장 초음파 (echocardiography)
심장 초음파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심장의 움직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며,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의 이상, 심장 기능, 심장 내 압력 등을 실시간으로, 비침습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검사법이다.
6. 심도자술 (Cardiac catheterization)
심도자술은 직경이 약 2.0-3.0mm이고 길이가 약 120cm되는 쉽게는 볼펜 심처럼 생긴 플라스틱관을 혈관에 삽입하여 도관이 혈관을 따라 심장에 도달하게 한 후 심장 안의 심방 및 심실의 압력,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X선 조영제를 주사하여 심장의 모양을 알아보는 방법을 말한다.
7. 관상동맥 조영술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이란 도자를 경피적 경로를 통해 심장근육에 피를 공급하는 좌우 관상동맥 기시부에 관을 위치시킨 후 선택적으로 각 혈관에 방사선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여러 각도에서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모양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진단기법이다.
8. 신생검 (renal biopsy)
복와위로 해서 좌우 어느 한쪽의 신장을 노리고 등에서 생검용 침을 사용해 신조직을 채취하는 방법이다.
9. 신스캔 (Kidney Scan)
신장 스캔은 X선검사, 초음파검사, CT촬영, MRI촬영 등의 해부학적인 영상법과는 달리 신장의 기능을 영상화하는 방법이며, 신장의 기능이상은 형태학적 변화보다 먼저 나타나기 때문에 병변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검사법이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Volume 1(2018), Pacific Books
황옥남 외(2017),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대한폐암학회 https://www.lungca.or.kr/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l 건강백과 > 질병/증상 http://www.snuh.org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http://www.samsunghospital.com/
- 칼륨수준(3.5~4.0mEq/L)을 유지하기 위해 염화칼륨과 베타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항부정맥제, 항고 혈압제를 투여함.
- 수술 20~30분 전에 항생제를 투여함.
3) 수술 후 간호
1. 심맥관 상태 파악 및 안정을 위한 간호
활력징후 관찰, 정맥압과 폐모세혈관압 측정, 심전도
2. 호흡 증진을 위한 간호
호흡 - 인공호흡기 적용 후 관찰, 양쪽 폐가 균등하게 환기되는지 관찰, 피부색, 호흡수, 호흡 깊이 등을 관찰
기도 내 분비물 제거 - 미약한 기침반사, 호흡 저하로 분비물이 기도 내에 저류될 수 있음, 기관삽관 대상자는 자주 흡인해 분비물 제거하기, 1~2시간마다 심호흡, 기침 유도
밀봉 흉곽 배액 - 흉곽 내 출혈을 파악. 매시간 정확한 양, 색, 양상에 대해 측정, 기록함.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배관이 닫혀있는지 확인(지혈 감자 항상 준비), 배관제거는 보통 수술 후 48~72시간 내에 호전이 되면 시행
3. 수액, 영양,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간호
수액 공급 및 수혈, 식이(염분제한), 뇨배설 관찰, 유치도뇨관 삽입
호흡기계/ 신장계 관련 진단 검사
1. 기관지 내시경 검사 (bronchoscopy)
기관지 내시경 검사는 각종 호흡기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폐로 통하는 기관지를 내시경을 이용해 직접 관찰하는 검사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조직검사를 하거나 세균배양을 위한 기관지세척, 기도로 들어간 이물질 제거 등을 시행할 수 있다.
1) 검사방법
위내시경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훨씬 가는 기관지 내시경을 사용하여 국소 마취된 입이나 코를 통하여 기도로 삽입한 후 기관과 기관지를 관찰한다. 관찰 후 필요하면 병변으로 의심되는 부분을 떼어내어 조직검사나 세척술을 시행한다.
2) 주의사항
기관지 내시경 시행 후 국소 마취가 덜 풀린 상태에서 음식을 먹으면 음식을 삼키는 기능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서 호흡곤란이나 폐렴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검사가 끝난 후라도 물이나 음식을 절대 섭취하지 말고 검사 후 3시간 동안 금식한다.
2. 폐기능 검사 (Pulmonary function test, PET)
1) 목적
폐질환의 유무를 선별
수술 전 평가
인공호흡기 적용 중단을 위한 대상자 상태 평가
2) 절차
① 코를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코 클립을 거즈에 대고 코에 물리거나 손으로 코를 막고 검사를 한다.
② 어깨와 목에 힘을 주지 않도록 하고 가슴을 펴고 마우스피스를 치아로 물고 입안에 위치하도록 한다.
③ 입술로 마우스피스 주변을 단단히 물어서 새는 것을 막는다.
④ 어깨와 목에 너무 힘을 주지 않도록 하고 최대한 들이마셨을 때 주저하지 않고 곧바로 빠르고 세게 불어내도록 한다. 내쉬기는 적어도 6초간 유지해야 한다.
⑤ 오류가 없는 적합한 검사가 3회 이상 나올 때까지 검사를 반복하되, 최대 8회까지 시행할 수 있다.
3) 검사 전 간호
검사과정을 정확히 설명하여 불안을 감소시키고 대상자의 협조를 얻어야 함.
대상자는 검사 전에 4~6시간 전부터 기관지 확장제 사용이나 흡연을 금지시킴.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곤란 같은 비정상적 상태를 기록함.
4) 검사 후 간호
폐기능이 손상된 대상자가 검사로 지쳐 있으면 편안한 의자에서 쉬도록 도움.
갈증을 호소하면 물을 제공함.
심한 폐질환이 있는 대상자에게 호흡 곤란이나, 무호흡 등의 호흡양상을 관찰함.
3. 경피세침흡인폐생검 (Percutaneous Fine needle lung aspiration, PCNA)
경피세침흡입폐생검은 폐 실질이나 종격동의 질환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검사방법이다. 흉부 X-선 사진상 하나 혹은 여러 개의 폐결절 또는 폐종괴 등의 원인을 찾기 위해 시행하거나 감염성 질환의 폐실질 침윤 병변에서 미생물학적 염색과 배양을 위한 검사물을 채취하기 위해 시행하는 조직 검사의 한 방법이다.
4. 폐생검 (lung biopsy)
환자의 생존 중에 진단을 확정하기 위해서 병리조직학적 검사에 이용하는 재료를 환자의 폐에서 채취하는 검사법을 말한다.
5. 심장 초음파 (echocardiography)
심장 초음파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심장의 움직이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으며,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의 이상, 심장 기능, 심장 내 압력 등을 실시간으로, 비침습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검사법이다.
6. 심도자술 (Cardiac catheterization)
심도자술은 직경이 약 2.0-3.0mm이고 길이가 약 120cm되는 쉽게는 볼펜 심처럼 생긴 플라스틱관을 혈관에 삽입하여 도관이 혈관을 따라 심장에 도달하게 한 후 심장 안의 심방 및 심실의 압력,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X선 조영제를 주사하여 심장의 모양을 알아보는 방법을 말한다.
7. 관상동맥 조영술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이란 도자를 경피적 경로를 통해 심장근육에 피를 공급하는 좌우 관상동맥 기시부에 관을 위치시킨 후 선택적으로 각 혈관에 방사선 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여러 각도에서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모양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진단기법이다.
8. 신생검 (renal biopsy)
복와위로 해서 좌우 어느 한쪽의 신장을 노리고 등에서 생검용 침을 사용해 신조직을 채취하는 방법이다.
9. 신스캔 (Kidney Scan)
신장 스캔은 X선검사, 초음파검사, CT촬영, MRI촬영 등의 해부학적인 영상법과는 달리 신장의 기능을 영상화하는 방법이며, 신장의 기능이상은 형태학적 변화보다 먼저 나타나기 때문에 병변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검사법이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Volume 1(2018), Pacific Books
황옥남 외(2017),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대한폐암학회 https://www.lungca.or.kr/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l 건강백과 > 질병/증상 http://www.snuh.org
삼성서울병원 질환백과 http://www.samsunghospital.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