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대상자 간략소개
Ⅱ. 대상자 건강문제 문헌 고찰
Ⅲ. 간호사정 및 문제해결과정
Ⅳ.퇴원개요
Ⅴ. 참고문헌
Ⅱ. 대상자 건강문제 문헌 고찰
Ⅲ. 간호사정 및 문제해결과정
Ⅳ.퇴원개요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산모에게 앞으로 예상되는 증상에 대해 간결하고 정확하게 설명한다.
(막연하고 불명확한 상황은 불안을 증가시킨다.)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이완요법은 근육을 점진적으로 이완시켜 불안, 정서적 안정,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다.)
산모의 감정표현에 경청하고 공감한다.
(치료적 의사소통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간호수행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했다.(by. RN)
산모가 불안감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by. RN, SN)
NST를 사정하고 그 결과를 대상자에게 설명해주었다. (by. RN)
산모에게 앞으로의 약물투여와 처치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by. RN, SN)
“언제 퇴원 하나요?”라는 질문에 설명해드림(by. SN)
산모의 감정표현에 경청하고 공감했다. (by. RN, SN)
활력 징후를 측정했다. (by. RN, SN)
BP (mmHg)
P (회/min)
R (회/min)
T (℃)
Data: 2016.05.08. (일)
05:00
100/70
96
18
36.6
11:00
100/60
102
20
36.8
17:00
110/70
106
18
36.9
Data: 2016.05.09. (월)
05:00
110/70
88
18
36.9
11:00
110/75
88
20
37.0
17:00
110/60
128
22
37.5
Data: 2016.05.10. (화)
05:00
100/70
90
18
37.1
11:00
100/70
104
18
37.0
17:00
100/70
112
14
37.0
Data: 2016.05.11. (수)
05:00
100/60
104
18
37.0
11:00
100/70
116
18
36.7
17:00
100/70
94
18
36.4
Data: 2016.05.12. (목)
05:00
90/60
96
18
36.3
11:00
90/60
92
18
37.2
17:00
100/60
106
20
37.0
불안 정도를 사정했다. (by. SN)
S: “지금은 3점정도 불안해요.”
간호평가
산모의 불안점수가 3점이하로 감소했다. (목표 달성)
S: “처음에 입원했을 때는 많이 불안했는데 지금은 덜 불안해요.”
S: “지금은 3점정도 불안해요.”
맥박이 100회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가 있어, (목표 미달성)
불안에 의한 것인지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 추가적으로 사정할 필요가 있다.
#5
Data: 2016.05.12.
징후&증상
(주관적/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오랜만에 나갔다 오니까 다리에 힘이 없어서 후들거렸어요.”
“신물 올라와서 구토하고 나면 어지러워요.”
<객관적 자료>
ABR now
정상범위보다 낮은 RBC, Hb, Hct 수치
검사명
검사결과
정상치
RBC
3.72
4.02
4.1-5.4(x10^6/uL)
Hb
9.4
10.2
12-16(g/dL)
Hct
30.5
32.0
36-48(%)
간호진단
장기간 침상안정 및 빈혈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기대
결과)
대상자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교육받은 내용을 잘 숙지하고 그대로 수행한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현기증이 있는지 확인한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산모로부터 2차적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제거한다.)
천천히 움직이도록 도와준다.
침대 난간을 올리고 낙상방지 교육을 한다.
(외상을 최소화 한다.)
체위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되도록 측위를 권장한다.
(앙와위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낙상 위험척도를 평가한다.
(낙상의 실제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낙상척도 평가를 시행한다.)
대상자의 헤모글로빈, RBC, Hct 수치를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빈혈로 인한 증세를 감소시키기 위해 철분이 함유된 음식과 철분제 복용을 권장한다. (ex : 육류, 육류의 간, 달걀, 콩류, 시금치, 깻잎, 무청, 쑥갓, 복숭아 등)
간호수행
침대 난간을 올리고 낙상방지 교육을 했다.(by. RN)
- 이동 시 보호자와 꼭 함께 이동하도록 교육하였다.
- 침상의 난간을 항상 올려놓고 있도록 교육하였다.
- 산모가 주로 사용하는 물건이나 간호사를 부를 수 있는 전화기는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교육하였다.
- 조기 이상 전에 일어날 때 침상에 한번 걸터앉은 후 천천히 일어나도록
교육하였다.
체위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되도록 측위를 권장했다. (by. RN)
낙상 위험 팻말을 달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했다. (by. RN)
현기증이 있는지 확인했다.(by. SN)
간호평가
대상자는 신체적 손상 없이 침상안정 하였다. (목표 달성)
대상자는 교육한 내용을 말로 표현하였다. (목표 달성)
“아까 제가 말씀드린 것들 기억나세요? 어떤게 있었죠?”
“항상 보호자랑 같이 움직여야하고, 난간을 올려놓고 있어야 한다는 거랑 일어날 때 천천히 일어나고 침대에 한번 걸터앉았다가 일어나야한다고 했던게 기억나요.”
Ⅳ.퇴원개요
아직 ○○님은 입원 중이시다.
1)미해결된 간호진단
침상안정 및 약물의 부작용과 관련한 변비 위험성
조기수축으로 인한 태반관류저하와 관련된 태아 상태 위험
2)퇴원 후 치료이행에 관한 지시
활동범위
: 격한 운동과 완전한 침상 생활은 삼가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퇴원 후 즉시 방문을 요하는 상황에 대해 교육
: 질 출혈, 자궁수축 이 있을 시, 이슬이 있을 시, 진통이 느껴질 때, 조기파수가 되었을 때 등
처방된 약의 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
다음 내원 일에 대해 고지
식이에 관한 설명
: 철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 섭취 권장, 고식이 섬유, 균형 잡힌 영양식이, 수분 섭취
가족이 지지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족에게도 위의 사항들을 교육하고 격려한다.
Ⅴ. 참고문헌
이영숙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2014)
이영숙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14)
이동숙 외 옮김, 『간호과정』, (포널스 출판사, 2014)
김금순 외 , 『기본간호학』, (신광 출판사, 2011)
KIMS 의약정보센터
드러그 인포
(막연하고 불명확한 상황은 불안을 증가시킨다.)
이완요법을 실시한다.
(이완요법은 근육을 점진적으로 이완시켜 불안, 정서적 안정,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다.)
산모의 감정표현에 경청하고 공감한다.
(치료적 의사소통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활력 징후를 측정한다.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간호수행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했다.(by. RN)
산모가 불안감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by. RN, SN)
NST를 사정하고 그 결과를 대상자에게 설명해주었다. (by. RN)
산모에게 앞으로의 약물투여와 처치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by. RN, SN)
“언제 퇴원 하나요?”라는 질문에 설명해드림(by. SN)
산모의 감정표현에 경청하고 공감했다. (by. RN, SN)
활력 징후를 측정했다. (by. RN, SN)
BP (mmHg)
P (회/min)
R (회/min)
T (℃)
Data: 2016.05.08. (일)
05:00
100/70
96
18
36.6
11:00
100/60
102
20
36.8
17:00
110/70
106
18
36.9
Data: 2016.05.09. (월)
05:00
110/70
88
18
36.9
11:00
110/75
88
20
37.0
17:00
110/60
128
22
37.5
Data: 2016.05.10. (화)
05:00
100/70
90
18
37.1
11:00
100/70
104
18
37.0
17:00
100/70
112
14
37.0
Data: 2016.05.11. (수)
05:00
100/60
104
18
37.0
11:00
100/70
116
18
36.7
17:00
100/70
94
18
36.4
Data: 2016.05.12. (목)
05:00
90/60
96
18
36.3
11:00
90/60
92
18
37.2
17:00
100/60
106
20
37.0
불안 정도를 사정했다. (by. SN)
S: “지금은 3점정도 불안해요.”
간호평가
산모의 불안점수가 3점이하로 감소했다. (목표 달성)
S: “처음에 입원했을 때는 많이 불안했는데 지금은 덜 불안해요.”
S: “지금은 3점정도 불안해요.”
맥박이 100회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가 있어, (목표 미달성)
불안에 의한 것인지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 추가적으로 사정할 필요가 있다.
#5
Data: 2016.05.12.
징후&증상
(주관적/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오랜만에 나갔다 오니까 다리에 힘이 없어서 후들거렸어요.”
“신물 올라와서 구토하고 나면 어지러워요.”
<객관적 자료>
ABR now
정상범위보다 낮은 RBC, Hb, Hct 수치
검사명
검사결과
정상치
RBC
3.72
4.02
4.1-5.4(x10^6/uL)
Hb
9.4
10.2
12-16(g/dL)
Hct
30.5
32.0
36-48(%)
간호진단
장기간 침상안정 및 빈혈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계획
목표
(기대
결과)
대상자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교육받은 내용을 잘 숙지하고 그대로 수행한다.
간호
지시
(이론적
근거)
현기증이 있는지 확인한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산모로부터 2차적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제거한다.)
천천히 움직이도록 도와준다.
침대 난간을 올리고 낙상방지 교육을 한다.
(외상을 최소화 한다.)
체위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되도록 측위를 권장한다.
(앙와위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낙상 위험척도를 평가한다.
(낙상의 실제 위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낙상척도 평가를 시행한다.)
대상자의 헤모글로빈, RBC, Hct 수치를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빈혈로 인한 증세를 감소시키기 위해 철분이 함유된 음식과 철분제 복용을 권장한다. (ex : 육류, 육류의 간, 달걀, 콩류, 시금치, 깻잎, 무청, 쑥갓, 복숭아 등)
간호수행
침대 난간을 올리고 낙상방지 교육을 했다.(by. RN)
- 이동 시 보호자와 꼭 함께 이동하도록 교육하였다.
- 침상의 난간을 항상 올려놓고 있도록 교육하였다.
- 산모가 주로 사용하는 물건이나 간호사를 부를 수 있는 전화기는 침상 가까이에
두도록 교육하였다.
- 조기 이상 전에 일어날 때 침상에 한번 걸터앉은 후 천천히 일어나도록
교육하였다.
체위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되도록 측위를 권장했다. (by. RN)
낙상 위험 팻말을 달고 안전한 환경을 제공했다. (by. RN)
현기증이 있는지 확인했다.(by. SN)
간호평가
대상자는 신체적 손상 없이 침상안정 하였다. (목표 달성)
대상자는 교육한 내용을 말로 표현하였다. (목표 달성)
“아까 제가 말씀드린 것들 기억나세요? 어떤게 있었죠?”
“항상 보호자랑 같이 움직여야하고, 난간을 올려놓고 있어야 한다는 거랑 일어날 때 천천히 일어나고 침대에 한번 걸터앉았다가 일어나야한다고 했던게 기억나요.”
Ⅳ.퇴원개요
아직 ○○님은 입원 중이시다.
1)미해결된 간호진단
침상안정 및 약물의 부작용과 관련한 변비 위험성
조기수축으로 인한 태반관류저하와 관련된 태아 상태 위험
2)퇴원 후 치료이행에 관한 지시
활동범위
: 격한 운동과 완전한 침상 생활은 삼가고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퇴원 후 즉시 방문을 요하는 상황에 대해 교육
: 질 출혈, 자궁수축 이 있을 시, 이슬이 있을 시, 진통이 느껴질 때, 조기파수가 되었을 때 등
처방된 약의 용법 및 주의사항에 대해 설명
다음 내원 일에 대해 고지
식이에 관한 설명
: 철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 섭취 권장, 고식이 섬유, 균형 잡힌 영양식이, 수분 섭취
가족이 지지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족에게도 위의 사항들을 교육하고 격려한다.
Ⅴ. 참고문헌
이영숙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2014)
이영숙 외 공저,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14)
이동숙 외 옮김, 『간호과정』, (포널스 출판사, 2014)
김금순 외 , 『기본간호학』, (신광 출판사, 2011)
KIMS 의약정보센터
드러그 인포
추천자료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임신성 고혈압 PIH)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5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난소낭종)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자궁경부상피내암 CIS)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난소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5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자궁내막 폴립)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제왕절개)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5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골반염증성 질환 PID)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자궁 경관 무력증 IIOC)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자간전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