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반정보
Ⅱ. 병력
Ⅲ. 질병기술
Ⅳ.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Ⅱ. 병력
Ⅲ. 질병기술
Ⅳ.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Ⅵ. 약물
Ⅶ. 특수치료 및 처치
Ⅷ. 간호과정
Ⅸ.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염발생시, 천자부위와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③ 혈액을 채취해 백혈구 변화를 확인한다.
-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한다.
④ 간호활동 전후에 손을 씻는다.
- 의료인에 의한 전염을 예방한다.
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 균의 증식을 막기 위해 청결한 환경을 조성해 준다.
⑥ 무균법으로 상처를 드레싱 한다.
- 오염원과의 접촉을 피한다.
⑦ 필요시 항생제를 처방받아 투여한다.
- 감염 치료를 위한 중재방법이다.
⑧ 환경을 청결하게 한다.
- 오염원과의 접촉을 피한다.
⑨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절개부위 관리(목욕법, 주의사항 등)에 대해 교육한다.
- 퇴원 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Nursing
intervention
-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12/7
혈압132/83, 맥박77회, 호흡20회, 체온36.0도
12/8
혈압128/81, 맥박74회, 호흡20회, 체온36.5도
12/9
혈압125/77, 맥박76회, 호흡20회, 체온36.5도
- 천자부위의 감염 증상과 징후, 배액의 양과 특성을 관찰하였다.
- 간호활동 전후에 손을 씻거나, 손세정제를 이용하여 손을 깨끗하게 하였다.
-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설명하였다.
- 무균법으로 상처를 드레싱 하였다.
-환경을 청결하게 하였다.
Evaluation
- 퇴원 전까지 활력징후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 퇴원 전까지 혈액검사에서 감염의심 수치가 없었다.
- 9일 천자부위가 깨끗하며, oozing, redness, swelling이 관찰되지 않았다.
3)
Date
12/7 - 12/9
Nursing Assesment
Subjective
- “예전보다 약간 가슴이 답답하긴 해요”
Objective
- 11.11.21 검진상 시행한 CT상 이상 소견으로 CTA위해 입원
- about 25% stenosis with calcified plague at pRCA
- about 25% stenosis with calcified at dRCA
- about 75% stenosis with mixed plague at mLAD(about 3cm seegmental)
- about 75% stenosis with mized plague at pLCx
- about 75% stenosis with calcified plague at os of D₁ 소견을 보여서
- Exercise stress Echo : positive stress EchoCG
- Limited Echo : EF 65%, LA enlargement, Dilated sinus of valsalva(41.3cm)
- 진단명 : CAD
- HTN 있고 저콜레스테롤 식이 중임
-12/7 Rt. radial artery CAG 시행함
- PRN 처방으로 Nitroglycerin
Nursing Diagnosis
관상동맥 협착,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위험성 : 심폐
Nursing Planning
Goal
퇴원 후 1년 동안 비효율적 조직관류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Outcomes criteria
-퇴원 전까지 혈행역학이 안정상태를 유지한다
-퇴원 전까지 활력징후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
-퇴원 전까지 말초허혈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Nursing plan
&
Rational
①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비효율적인 조직관류의 증상을 사정할 수 있다.)
②감각이상이 있는지(무감각, 과도감각, 감각 감퇴 등), 피부색을 사정한다.
(청색증, 낮은 체온 등을 측정하여 이상 조직관류을 예방한다.)
③도플러 초음파로 양측의 radial 맥박과 사지맥박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시술부위의 허혈을 예방한다.)
④말초허혈의 증상을 사정하고 발생 시 압박부위를 재조정한다.
(압박 드레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말초허혈을 예방한다.)
⑤규칙적으로 능동적, 수동적 관절 운동을 실시한다.
(혈행의 순환에 도움을 주어 허혈을 예방한다.)
⑥식이(저콜레스테롤식이), 금연, 약물, 활동제한에 대하여 교육한다.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식이, 혈관확장제, 활동등에 대해 교육하여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예방하고 응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한다.)
⑧자극 감각 기능 손상시 스스로 신체부분의 위치를 모니터 하고 의료진에게 바로 알리도록 교육한다.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바로 알리게 하여 즉각적인 중재가 가능하도록 한다.)
⑩퇴원 후 응급약으로 Nitroglycerin을 처방한다.
(갑자기 올 수 있는 협심증, 심근경색에 대비할 수 있다.)
Nursing
intervention
12/7
혈압132/83, 맥박77회, 호흡20회, 체온36.0도
12/8
혈압128/81, 맥박74회, 호흡20회, 체온36.5도
12/9
혈압125/77, 맥박76회, 호흡20회, 체온36.5도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감각이상이 있는지(무감각, 과도감각, 감각 감퇴 등), 피부색을 사정하였다.
-도플러 초음파로 양측의 radial 맥박과 사지맥박을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 Rt, Lt radial pulse (3+/3+)
-식이(저콜레스테롤식이), 금연, 약물, 활동제한에 대하여 설명하고 문의할 사항에 대해 질문하였다.
-자극 감각 기능 손상의 증상을 교육하고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의료진에게 바로 알리도록 하였다.
-말초허혈의 증상을 규칙적으로 사정하였다.
Evaluation
- 퇴원 전까지 활력징후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 퇴원 전까지 혈행역학이 안정상태를 유지하였다.
- 퇴원 전까지 말초허혈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Ⅸ.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Ⅰ, Ⅱ, 이향련 외 공저, 수문사 2008
- 임상간호의 핵심2, 전국간호대학 편, 한우리, 2005
- 간호과정, 최순희 외, 정문각, 2006
-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경동맥 협착증의 수술적 치료, 2006, 김대현 외 7명, 대한 흉부외과 학회지
- 약물 : 드러그인포http://www.druginfo.co.kr
- 그림 : 조진현 교수의 혈관클리닉 http://cafe.naver.com/aaa911
③ 혈액을 채취해 백혈구 변화를 확인한다.
- 객관적인 근거자료를 마련한다.
④ 간호활동 전후에 손을 씻는다.
- 의료인에 의한 전염을 예방한다.
⑤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 균의 증식을 막기 위해 청결한 환경을 조성해 준다.
⑥ 무균법으로 상처를 드레싱 한다.
- 오염원과의 접촉을 피한다.
⑦ 필요시 항생제를 처방받아 투여한다.
- 감염 치료를 위한 중재방법이다.
⑧ 환경을 청결하게 한다.
- 오염원과의 접촉을 피한다.
⑨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절개부위 관리(목욕법, 주의사항 등)에 대해 교육한다.
- 퇴원 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Nursing
intervention
-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12/7
혈압132/83, 맥박77회, 호흡20회, 체온36.0도
12/8
혈압128/81, 맥박74회, 호흡20회, 체온36.5도
12/9
혈압125/77, 맥박76회, 호흡20회, 체온36.5도
- 천자부위의 감염 증상과 징후, 배액의 양과 특성을 관찰하였다.
- 간호활동 전후에 손을 씻거나, 손세정제를 이용하여 손을 깨끗하게 하였다.
-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설명하였다.
- 무균법으로 상처를 드레싱 하였다.
-환경을 청결하게 하였다.
Evaluation
- 퇴원 전까지 활력징후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 퇴원 전까지 혈액검사에서 감염의심 수치가 없었다.
- 9일 천자부위가 깨끗하며, oozing, redness, swelling이 관찰되지 않았다.
3)
Date
12/7 - 12/9
Nursing Assesment
Subjective
- “예전보다 약간 가슴이 답답하긴 해요”
Objective
- 11.11.21 검진상 시행한 CT상 이상 소견으로 CTA위해 입원
- about 25% stenosis with calcified plague at pRCA
- about 25% stenosis with calcified at dRCA
- about 75% stenosis with mixed plague at mLAD(about 3cm seegmental)
- about 75% stenosis with mized plague at pLCx
- about 75% stenosis with calcified plague at os of D₁ 소견을 보여서
- Exercise stress Echo : positive stress EchoCG
- Limited Echo : EF 65%, LA enlargement, Dilated sinus of valsalva(41.3cm)
- 진단명 : CAD
- HTN 있고 저콜레스테롤 식이 중임
-12/7 Rt. radial artery CAG 시행함
- PRN 처방으로 Nitroglycerin
Nursing Diagnosis
관상동맥 협착,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비효율적 조직관류 위험성 : 심폐
Nursing Planning
Goal
퇴원 후 1년 동안 비효율적 조직관류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Outcomes criteria
-퇴원 전까지 혈행역학이 안정상태를 유지한다
-퇴원 전까지 활력징후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
-퇴원 전까지 말초허혈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Nursing plan
&
Rational
①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비효율적인 조직관류의 증상을 사정할 수 있다.)
②감각이상이 있는지(무감각, 과도감각, 감각 감퇴 등), 피부색을 사정한다.
(청색증, 낮은 체온 등을 측정하여 이상 조직관류을 예방한다.)
③도플러 초음파로 양측의 radial 맥박과 사지맥박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시술부위의 허혈을 예방한다.)
④말초허혈의 증상을 사정하고 발생 시 압박부위를 재조정한다.
(압박 드레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말초허혈을 예방한다.)
⑤규칙적으로 능동적, 수동적 관절 운동을 실시한다.
(혈행의 순환에 도움을 주어 허혈을 예방한다.)
⑥식이(저콜레스테롤식이), 금연, 약물, 활동제한에 대하여 교육한다.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식이, 혈관확장제, 활동등에 대해 교육하여 협심증과 심근경색을 예방하고 응급상황에 대처하도록 한다.)
⑧자극 감각 기능 손상시 스스로 신체부분의 위치를 모니터 하고 의료진에게 바로 알리도록 교육한다.
(환자가 자신의 상태를 바로 알리게 하여 즉각적인 중재가 가능하도록 한다.)
⑩퇴원 후 응급약으로 Nitroglycerin을 처방한다.
(갑자기 올 수 있는 협심증, 심근경색에 대비할 수 있다.)
Nursing
intervention
12/7
혈압132/83, 맥박77회, 호흡20회, 체온36.0도
12/8
혈압128/81, 맥박74회, 호흡20회, 체온36.5도
12/9
혈압125/77, 맥박76회, 호흡20회, 체온36.5도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감각이상이 있는지(무감각, 과도감각, 감각 감퇴 등), 피부색을 사정하였다.
-도플러 초음파로 양측의 radial 맥박과 사지맥박을 4시간마다 측정하였다. ⇒ Rt, Lt radial pulse (3+/3+)
-식이(저콜레스테롤식이), 금연, 약물, 활동제한에 대하여 설명하고 문의할 사항에 대해 질문하였다.
-자극 감각 기능 손상의 증상을 교육하고 증상이 나타날 경우 의료진에게 바로 알리도록 하였다.
-말초허혈의 증상을 규칙적으로 사정하였다.
Evaluation
- 퇴원 전까지 활력징후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 퇴원 전까지 혈행역학이 안정상태를 유지하였다.
- 퇴원 전까지 말초허혈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Ⅸ.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Ⅰ, Ⅱ, 이향련 외 공저, 수문사 2008
- 임상간호의 핵심2, 전국간호대학 편, 한우리, 2005
- 간호과정, 최순희 외, 정문각, 2006
-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경동맥 협착증의 수술적 치료, 2006, 김대현 외 7명, 대한 흉부외과 학회지
- 약물 : 드러그인포http://www.druginfo.co.kr
- 그림 : 조진현 교수의 혈관클리닉 http://cafe.naver.com/aaa911
추천자료
결장암케이스
울혈성 심부전(CHF; Congestive Heart Failure)
성인간호사례연구 -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성인간호학실습] 간호과정 적용사례 - 내과컨퍼런스 CAD와 HTN.ppt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급성동맥폐색질환)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농흉 Empyema)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코뼈골절)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결장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간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