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병자호란의 배경
2. 전쟁의 발발
3. 항복
4. 병자호란 대패의 원인
5. 병자호란의 영향
2. 전쟁의 발발
3. 항복
4. 병자호란 대패의 원인
5. 병자호란의 영향
본문내용
분히 여겨 북벌을 나라의 가장 중요한 정책상 목표로 삼았다. 효종은 송시열, 이완과 함께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을 수축(修築)하고 군대 양성에 힘을 기울였으나 청이 한족의 반발을 누르면서 대중국(對中國) 지배를 공고히 하고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하였으므로, 북벌을 실천에 옮기지는 못하였다. 조선으로서는 강대국으로 부상한 청과 관계 개선이 불가피하여 경제상ㆍ문화상 자주 교류하였다. 18세기 후반에는 청의 발달한 문화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하여 적극으로 수용하였고 이 무렵, 러시아가 침략해오자 청은 이를 격퇴하려고 조선에 원병을 명하자 조선은 두 차례에 걸쳐 조총 부대를 출병하여 큰 전과를 올리기도 했다. 병자호란을 통해 청나라는 고작 6,000명 이하의 병력 손해를 봤지만 조선군은 30,000명 이상의 전사자가 생겼고 포로로 끌려간 노예의 수만 60여 만 명에 달했다. 당시 인구가 3,800,000명이던 조선의 인구는 3,300,000명으로 감소하였으며 명나라는 가장 강력한 제후국을 잃음으로서 사실상 청나라와의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일본은 동아시아 지역의 경쟁 세력인 명나라의 멸망과 조선의 쇠퇴로 반사이익을 보며 국력을 기르는 계기가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