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② 소송절차에 있어서 필요하다고 인정된 때에는 법원은 특허에 관한 심결이 확정될 때까지 그 소송절차를 중지할 수 있다.
③ 법원은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의 침해에 관한 소가 제기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특허심판원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그 소송절차가 종료된 때에도 또한 같다.
④ 특허심판원장은 제3항의 규정에 의한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의 침해에 관한 소에 대응하여 그 특허권에 관한 무효심판 등이 청구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제3항에 해당하는 법원에 통보하여야 한다. 그 심판청구서의 각하결정·심결 또는 청구의 취하가 있는 때에도 또한 같다.
(2) 소송절차
제186조 (심결 등에 대한 소)
① 심결에 대한 소 및 심판청구서나 재심청구서의 각하결정에 대한 소는 특허법원의 전속관할로 한다.
②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소는 당사자, 참가인 또는 당해 심판이나 재심에 참가신청을 하였으나 그 신청이 거부된 자에 한하여 이를 제기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소는 심결 또는 결정의 등본을 송달받은 날부터 30일이내에 제기하여야 한다.
④ 제3항의 기간은 불변기간으로 한다.
⑤ 심판장은 원격 또는 교통이 불편한 지역에 있는 자를 위하여 직권으로 제4항의 불변기간에 대하여는 부가기간을 정할 수 있다.
⑥ 심판을 청구할수있는 사항에 관한 소는 심결에 대한것이아니면 이를 제기할 수 없다.
⑦ 제162조제2항제4호의 규정에 의한 대가의 심결 및 제16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심판비용의 심결 또는 결정에 대하여는 독립하여 제1항의 규정에의한 소를 제기할 수 없다.
⑧ 특허법원의 판결에 대하여는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다.
③ 법원은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의 침해에 관한 소가 제기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특허심판원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그 소송절차가 종료된 때에도 또한 같다.
④ 특허심판원장은 제3항의 규정에 의한 특허권 또는 전용실시권의 침해에 관한 소에 대응하여 그 특허권에 관한 무효심판 등이 청구된 경우에는 그 취지를 제3항에 해당하는 법원에 통보하여야 한다. 그 심판청구서의 각하결정·심결 또는 청구의 취하가 있는 때에도 또한 같다.
(2) 소송절차
제186조 (심결 등에 대한 소)
① 심결에 대한 소 및 심판청구서나 재심청구서의 각하결정에 대한 소는 특허법원의 전속관할로 한다.
②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소는 당사자, 참가인 또는 당해 심판이나 재심에 참가신청을 하였으나 그 신청이 거부된 자에 한하여 이를 제기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소는 심결 또는 결정의 등본을 송달받은 날부터 30일이내에 제기하여야 한다.
④ 제3항의 기간은 불변기간으로 한다.
⑤ 심판장은 원격 또는 교통이 불편한 지역에 있는 자를 위하여 직권으로 제4항의 불변기간에 대하여는 부가기간을 정할 수 있다.
⑥ 심판을 청구할수있는 사항에 관한 소는 심결에 대한것이아니면 이를 제기할 수 없다.
⑦ 제162조제2항제4호의 규정에 의한 대가의 심결 및 제16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심판비용의 심결 또는 결정에 대하여는 독립하여 제1항의 규정에의한 소를 제기할 수 없다.
⑧ 특허법원의 판결에 대하여는 대법원에 상고할 수 있다.
추천자료
지적재산권제도의 국제적협약과 개선방안제안(A+레포트)
특허심판의 재심과 정정청구
투자대상국의 정치적,경제적,법적,사회문화 환경의 FDI
[특허소송][특허소송의 대응 전략]특허소송의 의의, 특허소송의 실태, 특허소송의 당사자, 특...
[특허권]특허권의 개념, 특허권의 활용형태, 특허권의 내용, 특허권의 존속기간, 특허권의 이...
[특허침해소송, 특허침해소송 배상, 대리제도, 직접침해, 이용저촉관계]특허침해소송의 실태,...
[벤처기업][벤처][기업][벤처기업 네트워크][벤처기업 실용신안권][벤처기업 기술권리분석][...
부정경쟁방지법과 상표법의 관계 [부정경쟁방지법 제15조의 해석을 중심으로]
특허 정정심판과 무효심판에 대한 검토 (법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