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이단성 골연골염 case study 간호진단 2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 이단성 골연골염 case study 간호진단 2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 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1) 간호정보 조사지
2) 건강력 및 신체사정
3) 진단 검사
4) 기타 검사
5) 투약
6) 의학적 치료 현황
7) 의학적 기타사항
2. Problem List
3. 간호과정 적용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ㅂ. Wound 상태
분류
12.30
12.31
01.01
01.02
발적
없음
mild
mild
mild
삼출물
없음
severe
severe
mild
부종
mild
severe
severe
severe
열감
moderate
mild
mild
mild
양상
moderate
mild
mild
mild
분류
01.03
01.04
01.05
01.06
발적
moderate
moderate
moderate
moderate
삼출물
mild
mild
mild
moderate
부종
mild
mild
mild
mild
열감
mild
mild
moderate
moderate
양상
mild
mild
moderate
moderate
2. Problem List
신체적 손상요인과 관련된 급성통증
조직관류의 변화와 관련된 정맥 혈전색전증의 위험
수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수술부위 통증과 관련된 수면양상 장애
3. 간호과정 적용
건강문제 1
영역 12. 안위(Comfort) Class 1. 신체적 안위(Physical comfort)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수술하고 난 곳이 아파“
객관적
자료
- 12.31(18:00) OP 당일 NRS 6점 측정됨(왼쪽 발목, 지속적, 쑤심)
- 통증 완화를 위해 다리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산만한 행동 확인됨
- 12.31 관절내 유리체 제거하는 수술 시행됨
간호진단
신체적 손상요인과 관련된 급성 통증(Acute pain)
간호목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3일 안에 통증점수가 NRS 6점에서 NRS 3점 이하에 속하게 될 것이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더 이상 통증을 호소하지 않게 될 것이다.
간호계획 및
중재
(합리적 근거)
간호 계획
간호 중재
합리적 근거
1. 정해진 시간 마다
활력징후(V/S)를 사정한다.
2. 정해진 시간 마다 wound
상태를 사정한다.
3. 통증의 빈도, 양상, 기간,
중재 등을 사정 및 기록한다.
4. 정해진 시간 마다 환부에
냉요법을 적용한다.
1. 매일 활력징후를 5시간 마다
측정했다.
날짜
시간
BP(H/L)
12.30
11:30
140
90
12.30
16:00
140
80
12.30
21:00
130
80
(30일 이후는 자료 참고)
2. 1회/1일 wound dressing
적용했다.
분류
12.31
발적
mild
삼출물
severe
부종
severe
열감
mild
양상
mild
(31일 이후는 자료 참고)
3. 정해진 시간 마다 통증을
사정했다.
분류
12.31
NRS
6점
빈도
쑤시는 듯한
양상
지속적
기간
30분 이내
중재
PCA로 중재
4. 환부에 ice bag을 적용했다
1. 통증이 있을시 호흡수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맥박이나
혈압의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2. 수술부위를 관찰하고 사정
하여 감염과 회복여부를 알
수 있다.
3. 통증 사정을 통한 조기
인식은 빠른 중재 및 처치와
조절, 개선을 가능하게 한다.
4. 냉요법은 통증을 유발하는
화학물질의 감소와 통증,
염증, 부종, 근육경련을
감소시킨다.
평가
단기 목표 : [달성] 대상자는 3일 이내로 NRS 3점을 유지했다.
장기 목표 : [미달성] 대상자는 퇴원시 까지 조금의 통증을 호소했다.
건강문제 2
영역 11. 안정/보호(Safety/Promotion) Class 2. 신체손상(Physical Injury)
자료수집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12.31(18:00) OP 후 혈전 색전증 위험군으로 분류됨
- 장시간 침대 안정에 따른 혈류 저하 요소 및 혈전 형성 위험 요소 확인됨
- 수술에 따른 혈관벽 손상으로 혈전 형성 위험 요소 확인됨
간호진단
조직관류의 변화와 관련된
정맥 혈전 색전증의 위험(Risk for venous thromboembolism)
간호목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혈전 색전증 위험군으로 부터 벗어나 정상 범주에 속할 수 있다.
간호계획 및
중재
(합리적 근거)
간호 계획
간호 중재
합리적 근거
1. 정해진 시간 마다 IPC를
적용한다.
2. 혈전용해제 투약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효과를 설명하고
처방에 따라 투여한다.
3.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정맥 혈전 색전증에 관한
예방 방법을 설명한다.
4. 수술 후 체위 변경표에 따른
체위를 변경하여 정상적인
정맥 혈류를 유지한다.
1. 8시간/1일 IPC를 적용했다.
2. 짝수 날과 홀수 날에 맞는
복부 주사부위를 선정하여
투약 및 설명을 했다.
(짝수 날 RLQ, 홀수 날 LLQ)
3. 수술 후 환자 본인 및
보호자에게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법에 관해서 설명을 했다
4. 체위 변경표에 입각하여
정해진 시간에 따른
체위 변경을 진행했다.
1. IPC는 하지에 공기압박을
간헐적으로 적용하여 혈액
순환을 증진시켜 혈류속도를
증진시키고 혈전용해 효과 및
혈관 확장의 효과가 있다.
2. 외과 영역의 수술 후
발생하는 정맥의 혈전 색전증
예방을 위해 투약한다.
3. 규칙적인 운동(조기기상 등),
정맥 혈전증의 위험도가 높은
기간(예, 수술 후 거동이 불편
할 경우 등)동안 탄력 양말
착용 및 IPC 규칙적으로 사용
등을 통해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 할 수 있다.
또한 본인이 인지함에 따라
질병을 예방함에 도움이 된다
4. 체위 변경을 통해 오금 정맥
및 넙다리 정맥 등의 장시간
압박을 예방하여 정맥의 정상
혈류 유지하고 이에 따른
혈전 생성을 억제 및 혈전
색전증을 예방할 수 있다.
평가
단기 목표 : [달성]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정맥 혈전 색전증 예방법을 설명할 수 있었다.
장기 목표 : [달성] 대상자는 퇴원시 보조기 착용 후 조기 이상으로 혈전 색전증 위험군으로 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4. 참고문헌
- 제 7판 성인간호학 하권 [황옥남 외, 현문사, 2017]
-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김조자 외, 수문사, 2014]
- 근거기반 기본간호학 상권, 하권 [강현숙 외, 수문사, 2014]
- 간호진단 : 정의와 분류 2018-2020 [오의금 외 공역, 학지사메디컬, 2018]
- 약학정보원
-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게시판
- 네이버 지식백과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1.10.14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70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