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2-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2-2) 배변훈련 및 학부모 및 교사의 태도
Ⅲ. 결론
Ⅱ. 본론
2-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2-2) 배변훈련 및 학부모 및 교사의 태도
Ⅲ. 결론
본문내용
되면 기저귀를 떼는 것이 정상적인 발육이라고 믿고 안심하고 불안합니다. 다만 배변훈련 시간은 정해져 있지 않다는 게 중론이다. 물론 결정적이고 적절한 발전 시기가 있고 평균 범위에서 지나치게 벗어나는 현상이 좋지 않다는 의견에는 동의하지만 복잡한 유전과 환경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발전량을 계량화하기 어렵다. 배변도 마찬가지다. \'많은 아이들이 어느 순간부터 변기 훈련을 시작하고 어느 순간에는 완주한다.\'그 때 배변을 못 하면 심각한 문제가 생긴다는 의미가 아니라 \'이제 배변훈련에 도움이 되는 이것저것 지원해주면 된다\'는 지침으로 삼아야 한다. 또 이미 배변훈련을 마친 아이라도 실수를 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아이의 실수를 퇴행시키는 실수를 해서는 안 된다. 어른들도 실수를 하는데, 하물며 아이들이 완벽할 수는 없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뉴스위크라는 잡지를 통해 아동발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지만, 김수연, \'아기발달대백과사전\' 비욘드 지식, 2014.
30년이 지난 지금까지의 초점은 \'아기를 똑똑하게 키워 남들에게 뒤처지지 않게 하는 방법, 능숙하게 먹이거나 재우는 방법\'에 한정돼 있다. 사랑을 전제로 하지만 부모의 입장에서 아기를 수동적인 대상으로만 보는 방식이 전부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기성세대가 아이의 발달적 특성을 잘 알고, 이를 바탕으로 아이가 원할 때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실제로 필요한 태도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이들 사이에서 배변만 집중적으로 논의했지만, 마지막으로 도달해야 할 점은 영유아를 진정으로 평등하게 존중하는 교사와 학부모의 태도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뉴스위크라는 잡지를 통해 아동발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지만, 김수연, \'아기발달대백과사전\' 비욘드 지식, 2014.
30년이 지난 지금까지의 초점은 \'아기를 똑똑하게 키워 남들에게 뒤처지지 않게 하는 방법, 능숙하게 먹이거나 재우는 방법\'에 한정돼 있다. 사랑을 전제로 하지만 부모의 입장에서 아기를 수동적인 대상으로만 보는 방식이 전부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기성세대가 아이의 발달적 특성을 잘 알고, 이를 바탕으로 아이가 원할 때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실제로 필요한 태도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이들 사이에서 배변만 집중적으로 논의했지만, 마지막으로 도달해야 할 점은 영유아를 진정으로 평등하게 존중하는 교사와 학부모의 태도인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추천자료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행동주의 인지주의 사회성숙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이론의 연령별 발달과업을 이루는데 있어 바람직한 부모의 역활과 양육방...
아들러의 개인심리학과 융의 분석심리학
프로이드 에릭슨 아들러 융의 성격발달단계
프로이드(Freud), 에릭슨(Erikson), 아들러(Adler), 융(Jung)의 이론(심리치료기법, 인간본성...
프로이트(Freud)의 정신역동이론을 설명한 후 아들러(Adler)와 융(Jung)은 어떤 점이 프로이...
에릭슨의 인간발달단계와 심리사회적 위기를 설명하고 스키너와 반두라의 행동주의이론의 차...
성인학습및상담론3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