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간호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간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하장애는 인후두의 기계적인 협착 또는 입술, 혀 구개, 인후두에 관계하는 운동성 뇌신경핵 장애에 의해 삼키기가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1) 연하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2) 연하장애가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연하과정의 단계별 증상과 징후를 상세히 기술하시오(15점).

2. 당뇨병 환자에게 족부궤양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을 7가지 이상 기술하시오(10점).

3. 뇌졸중 환자의 운동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계획되어야 한다. 바닥 또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의 종류를 5가지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모든 환자는 당뇨발의 위험성이 있다. 이들은 발 부분의 상처 치유능력과 감각 저하로 인하여 발에 상처가 발생할 확률이 높으며 빠른 회복이 어렵다. 또 전향적인 연구결과 연령이나 당뇨병 이환기간은 족부궤양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Abott 등은 당뇨병 이환기관은 궤양의 발생과 무관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족부 궤양의 발생위험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외상
다른 위험인자가 없이 가벼운 외상만으로도 족부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 Reiber 등은 족부 궤양의 77%가 외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외상이 신경병증 만큼이나 족부궤양의 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대부분의 족부궤양에서 당뇨병성 신경병증, 외상 및 발의 변형(foot deformity)이 동반되어 있다. 특히 발톱을 자를 때는 일자로 잘라준다. 일반인처럼 둥글게 자르면 손상이 날 위험성이 있으므로 최대한 쉽고 상처가 나지 않도록 자른다. 몸의 움직임이 불편한 환자일 경우 주위 사람의 도움을 받아서 발톱을 자르도록 한다. 또한 발 전문가에게 꾸준히 발 정기검진을 받아주는 것이 좋다.
8) 혈당조절
여러 연구에서 혈당조절을 당화혈색소로 평가하였을 때 다른 원인들을 고려해도 족부궤양 환자에서 혈당조절이 불량하였다. 당화혈색소가 1% 또는 포도당 농도가 1 mmol/L 상승하면 위험도는 13% 가량 증가한다. 인슐린 치료가 족부궤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슐린치료를 받는 환자의 경우 당뇨병성 족부병변의 위험인자 혈당조절이 불량한 것으로 간주된다.
9) 시각장애
당뇨병 환자는 스스로 발을 검사할 능력이 있는지 체크한다. 그렇지 못한 경우, 발 상태 확인을 도울 사람에 대하여 당뇨병 환자와 의논해야 한다. 시각장애가 있는 사람의 경우 제대로 검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10) 관절운동의 제한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인의 경우 하지의 상처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또한 이들은 상처를 적시에 치료가 힘든 경우가 있으므로 주위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 음주는 족부궤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다.
3. 뇌졸중 환자의 운동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계획되어야 한다. 바닥 또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할 수 있는 운동의 종류를 5가지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
1) 다리관절 운동
먼저 한 쪽 손은 대상자의 무릎 밑에 넣은 상태로 다른 손은 발뒤꿈치를 잡아준 뒤
이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서 올리면서 무릎을 구부려준다. 여기서 무릎을 가슴 쪽으로 구부려주는데 무릎을 펴주고 다리를 올린 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2) 어깨운동
우선 환자의 한쪽 손을 팔꿈치 상단에 두고 다른 손의 손목을 잡아준 다음 팔꿈치를 편 상황에서 팔을 옆으로 쭉 당겨준다. 이때 팔을 머리 상단으로 올린 후에 젖힌다.
3) 고관절 돌리기 운동
먼저 한 손은 발뒤꿈치를 잡아주고 다른 손은 무릎 아래 부분을 잡아서 다리를 올리면서 무릎을 굽혀주고 무릎 아래 부분을 잡은 상태로 발뒤꿈치를 바깥쪽으로 움직여준다.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다시 다리를 잡은 상태에서 이번에는 처음과 반대로 안쪽으로 움직여준다.
.
4) 엉덩이, 무릎관절 운동
우선 한 손으로 대상자의 무릎 밑으로 넣고 다른 손은 발뒤꿈치를 잡아서 무릎을 편 상태로 발뒤꿈치를 조금만 들어올린다. 이 상태에서 든 다리를 바깥쪽으로 벌려준다.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
5) 허리 스트레칭 - 골반운동
우선 의자에 정자세로 앉은 뒤 골반을 앞쪽으로 움직여준다. 이때 천천히 골반을 뒤로 움직여준다.
6) 골반측방운동
골반측방운동의 시작자세는 우선 의자에 정자세로 않은 채로 양손을 부드럽게 무릎에 올려주고 우측으로 체중을 옮겨주면서 같은 방향의 옆구리가 조금 펴지도록 한다. 이때, 좌측 엉덩이는 많이 들지 않도록 한다. 이때 좌측으로 체중을 옮겨주면서 같은 방향의 옆구리가 펴지게 한다.
7) 양손깍지 끼고 몸통 돌리기
양손을 깍지 끼어주고 좌측으로 몸통을 돌릴 수 있는 만큼 돌려 5초 동안 유지한 후에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후 반대 방향도 같은 방법으로 실행한다.
8) 팔 들어올리기
마비된 손을 정상인 손으로 깍지를 낀 후에 무리하지 않고 천천히 귀높이까지 올려주고 천천히 내려온다. 이때 정상인 손은 마비된 측의 운동을 보조하는 역할만 한다. 또한 마비된 방향의 뼈나 근육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해서 실시한다.
[참고문헌]
- 정성희, 최윤경 공저(2019). 재활간호학. 방송대 출판문화원
- 기타 재활간호학 관련 서적, 전자도서, 인터넷 학술자료 등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5.13
  • 저작시기202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9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