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난소낭종, Ovary cyst)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의학적 치료 및 수술
6) 간호
Ⅱ. 부인과 병동 실습 자료수집양식
1. 일반사항
2. 현재 건강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환자의 입원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6. 건강사정
7. 치료
8. 진단적 검사
Ⅲ. 간호과정기록지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기록지 1 (+이론적 근거)
간호과정 기록지 2 (+이론적 근거)
간호과정 기록지 3 (+이론적 근거)
Ⅳ. 참고문헌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의학적 치료 및 수술
6) 간호
Ⅱ. 부인과 병동 실습 자료수집양식
1. 일반사항
2. 현재 건강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환자의 입원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6. 건강사정
7. 치료
8. 진단적 검사
Ⅲ. 간호과정기록지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기록지 1 (+이론적 근거)
간호과정 기록지 2 (+이론적 근거)
간호과정 기록지 3 (+이론적 근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한 후
확인 후 시행한다.
- 통목욕, 비데는 4~6주가 경과된 후 시행한다.
수술 후 통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 복강경 수술 시 복부 내 주입한 가스로 인해 어깨 통증, 옆구리 결림,
상복부 불편감이 있을 수 있지만 2주 이내에 호전된다고 설명한다.
- 수술부위 통증은 5일 이내에 호전된다고 설명한다.
간호평가
<단기목적>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불안 정도가 2 이하로 떨어진다.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불안
정도
8
3
2
1
(달성)
대상자는 수술 후 부작용에 관해 교육한 내용을 3개 이상 말한다. (달성)
- “복강경을 이용한 비교적 작은 수술이였기 때문에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
은 작다.“
- “수술 후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체 샤워는 외래 가기 전에 하면
안된다.“
- “통목욕, 비데는 6주 후에 할 수 있다.”
간호과정기록지 2
문제번호
1
일시
2020-03-31 (pod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근육통처럼 배가 아파요.”
“저번에 말씀하신 것처럼 배에 팽만감이 있어요.”
“원래 난소 수술 후에 어깨랑 가슴까지 아픈 게 정상인가요?”
“아파서 잠을 못자겠어요.”
“진통제 더 줄 수는 없나요?”
객관적
자료
수술부위 통증 호소(LUQ, NRS : 5점)
복강경 수술로 인한 가스통증 호소(어깨, 복부, 가슴, NRS : 3점)
질문에 대답하지 못하고 끙끙대는 모습을 관찰함.
여러 차례 통증으로 뒤척이는 모습을 보임.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적
(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NRS 2점 이하가 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감소되었음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중재>
1. 매일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대상자의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중재>
1.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PCA를 적용한다.
2. 대상자가 통증으로부터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한다.
3. 가스 배출을 위해 걷기, 스트레칭 등을 하도록 한다.
4. 통증 부위에 온찜질을 적용한다.
5. 식사를 조금씩 자주 하도록 한다.
<교육적 중재>
1. 대상자에게 PCA 사용법 및 부작용을 교육한다.
2. 대상자에게 심한 통증을 느낄 시에는 간호사를 부를 것을 교육한다.
3. 대상자에게 질환 및 통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통증의 원인, 지속시간 등).
합리적 근거
<진단적 중재>
1. 활력징후 변화를 통해 대상자에게 통증, 감염 등의 문제가 있는지 사정한다.
2. 통증정도에 따라 진통제를 조절하고 회복 정도를 판단함으로서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치료적 중재>
약물적 중재를 통해 통증을 감소시킨다.
비약물적 중재가 효과가 없다면 약물적 중재를 쓸 수가 있다.
가스 배출로 인한 통증이기 때문에 가스 배출을 유도한다.
통증 완화를 위해 열요법을 적용한다.
장 회복을 위해선 식사를 조금씩 자주 해야 한다.
<교육적 중재>
통증 조절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하게하고 부작용이 나타나 통증 조절을 할 수 없게 되는지 사정하기 위해서다.
PCA로만 조절이 안되는 심한 통증이 있을 시 환자 상태 파악 및 적절한 통증 완화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통증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다.
간호수행
<진단적 중재>
1. 매일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혈압
120/80
125/80
120/75
120/80
맥박
86
90
88
85
체온
36.8
36.9
37.1
36.9
호흡
14
15
14
15
2. 대상자의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복부
NRS 5점
NRS 3점
NRS 2점
NRS 2점
팽만감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치료적 중재>
1.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PCA를 적용한다.
2. 대상자가 통증으로부터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한다.
- 대상자 스마트폰으로 유튜브 시청함.
- 대상자 이어폰으로 누워서 음악을 들음.
3. 가스 배출을 위해 걷기, 스트레칭 등을 하도록 한다.
- 대상자 4/1 병동 복도를 걸음
- 대상자 4/2 병원 산책로에서 산책함.
- 대상자 4/3 침상 위에 앉아서 스트레칭을 수행함.
4. 통증 부위에 온찜질을 적용한다.
5. 대상자 식사를 조금씩 5회에 나눠서 함.
<교육적 중재>
1. 대상자에게 PCA 사용법 및 부작용을 교육한다.
2. 대상자에게 심한 통증을 느낄 시에는 간호사를 부를 것을 교육한다.
3. 대상자에게 질환 및 통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통증의 원인, 지속기간, 완화 요인 등).
- 수술로 인한 통증이 적어도 일주일 정도는 간다고 설명함.
- 가스 통증 완화를 위해서 가스 배출을 해야 함을 설명함.
- 걷기, 스트레칭을 통해 운동을 계속 해야 배액관으로 나쁜 고름이나 염증물이 빨리 나옴을 설명한다.
방귀가 잘 나오지 않는다면 장이 회복이 안된 것이므로 식사를 조금씩 자주 해야 함을 설명한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NRS 2점 이하가 될 것이다. (달성)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복부
NRS 5점
NRS 3점
NRS 2점
NRS 2점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감소되었음을 말로 표현한다. (달성)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아파서 못 움직이겠어요.”
“아픈건 좀 덜한데 그래도 아직은 아파요.”
“어제보다는 좀 살만해요.”
“어제랑 비슷한 것 같아요.”
간호과정기록지 3
Ⅳ. 참고문헌
이경혜 외(2010). 여성건강 간호학 1, 2. 현문사.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퍼시픽 학술편찬국(2018). 2019대비 Tank Manual-Woman Health Nursing 모성간호학. 퍼시픽북스.
김금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성미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박영숙 외(2010). 여성건강 모성간호학 실습. 현문사.
확인 후 시행한다.
- 통목욕, 비데는 4~6주가 경과된 후 시행한다.
수술 후 통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 복강경 수술 시 복부 내 주입한 가스로 인해 어깨 통증, 옆구리 결림,
상복부 불편감이 있을 수 있지만 2주 이내에 호전된다고 설명한다.
- 수술부위 통증은 5일 이내에 호전된다고 설명한다.
간호평가
<단기목적>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불안 정도가 2 이하로 떨어진다.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불안
정도
8
3
2
1
(달성)
대상자는 수술 후 부작용에 관해 교육한 내용을 3개 이상 말한다. (달성)
- “복강경을 이용한 비교적 작은 수술이였기 때문에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
은 작다.“
- “수술 후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체 샤워는 외래 가기 전에 하면
안된다.“
- “통목욕, 비데는 6주 후에 할 수 있다.”
간호과정기록지 2
문제번호
1
일시
2020-03-31 (pod 1)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근육통처럼 배가 아파요.”
“저번에 말씀하신 것처럼 배에 팽만감이 있어요.”
“원래 난소 수술 후에 어깨랑 가슴까지 아픈 게 정상인가요?”
“아파서 잠을 못자겠어요.”
“진통제 더 줄 수는 없나요?”
객관적
자료
수술부위 통증 호소(LUQ, NRS : 5점)
복강경 수술로 인한 가스통증 호소(어깨, 복부, 가슴, NRS : 3점)
질문에 대답하지 못하고 끙끙대는 모습을 관찰함.
여러 차례 통증으로 뒤척이는 모습을 보임.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목적
(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NRS 2점 이하가 될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감소되었음을 말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중재>
1. 매일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대상자의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중재>
1.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PCA를 적용한다.
2. 대상자가 통증으로부터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한다.
3. 가스 배출을 위해 걷기, 스트레칭 등을 하도록 한다.
4. 통증 부위에 온찜질을 적용한다.
5. 식사를 조금씩 자주 하도록 한다.
<교육적 중재>
1. 대상자에게 PCA 사용법 및 부작용을 교육한다.
2. 대상자에게 심한 통증을 느낄 시에는 간호사를 부를 것을 교육한다.
3. 대상자에게 질환 및 통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통증의 원인, 지속시간 등).
합리적 근거
<진단적 중재>
1. 활력징후 변화를 통해 대상자에게 통증, 감염 등의 문제가 있는지 사정한다.
2. 통증정도에 따라 진통제를 조절하고 회복 정도를 판단함으로서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치료적 중재>
약물적 중재를 통해 통증을 감소시킨다.
비약물적 중재가 효과가 없다면 약물적 중재를 쓸 수가 있다.
가스 배출로 인한 통증이기 때문에 가스 배출을 유도한다.
통증 완화를 위해 열요법을 적용한다.
장 회복을 위해선 식사를 조금씩 자주 해야 한다.
<교육적 중재>
통증 조절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하게하고 부작용이 나타나 통증 조절을 할 수 없게 되는지 사정하기 위해서다.
PCA로만 조절이 안되는 심한 통증이 있을 시 환자 상태 파악 및 적절한 통증 완화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통증에 대한 내성을 증가시키고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다.
간호수행
<진단적 중재>
1. 매일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혈압
120/80
125/80
120/75
120/80
맥박
86
90
88
85
체온
36.8
36.9
37.1
36.9
호흡
14
15
14
15
2. 대상자의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복부
NRS 5점
NRS 3점
NRS 2점
NRS 2점
팽만감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치료적 중재>
1.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PCA를 적용한다.
2. 대상자가 통증으로부터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한다.
- 대상자 스마트폰으로 유튜브 시청함.
- 대상자 이어폰으로 누워서 음악을 들음.
3. 가스 배출을 위해 걷기, 스트레칭 등을 하도록 한다.
- 대상자 4/1 병동 복도를 걸음
- 대상자 4/2 병원 산책로에서 산책함.
- 대상자 4/3 침상 위에 앉아서 스트레칭을 수행함.
4. 통증 부위에 온찜질을 적용한다.
5. 대상자 식사를 조금씩 5회에 나눠서 함.
<교육적 중재>
1. 대상자에게 PCA 사용법 및 부작용을 교육한다.
2. 대상자에게 심한 통증을 느낄 시에는 간호사를 부를 것을 교육한다.
3. 대상자에게 질환 및 통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통증의 원인, 지속기간, 완화 요인 등).
- 수술로 인한 통증이 적어도 일주일 정도는 간다고 설명함.
- 가스 통증 완화를 위해서 가스 배출을 해야 함을 설명함.
- 걷기, 스트레칭을 통해 운동을 계속 해야 배액관으로 나쁜 고름이나 염증물이 빨리 나옴을 설명한다.
방귀가 잘 나오지 않는다면 장이 회복이 안된 것이므로 식사를 조금씩 자주 해야 함을 설명한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NRS 2점 이하가 될 것이다. (달성)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복부
NRS 5점
NRS 3점
NRS 2점
NRS 2점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감소되었음을 말로 표현한다. (달성)
3/30(op)
3/31(pod 1)
4/1(pod 2)
4/2(pod 3)
“아파서 못 움직이겠어요.”
“아픈건 좀 덜한데 그래도 아직은 아파요.”
“어제보다는 좀 살만해요.”
“어제랑 비슷한 것 같아요.”
간호과정기록지 3
Ⅳ. 참고문헌
이경혜 외(2010). 여성건강 간호학 1, 2. 현문사.
원종순 외(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퍼시픽 학술편찬국(2018). 2019대비 Tank Manual-Woman Health Nursing 모성간호학. 퍼시픽북스.
김금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성미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박영숙 외(2010). 여성건강 모성간호학 실습.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