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의
Ⅱ. 이론과 기틀
Ⅲ.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Ⅳ. 참고문헌
Ⅱ. 이론과 기틀
Ⅲ.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부분 연구자들은 자기효능을 대상자의 인지된 지각 변수로 보고 Bandura의 정의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조작된 정의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자기효능의 측정은 두 가지 수준으로 이루어졌는데 일반적 자기효능과 구체적 자기효능으로 구분되고 있다.
일반적 자기효능은 몇몇 연구에서 자기효능의 일반화를 위해 시도되었는데(Sheer & Maddux, 1982), 건강증진 행위처럼 전반적인 상황에서의 자기 능력을 측정한 경우이다. 반면에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요구되는 특정 행위에 대한 구체적 자기효능을 적용하였고, 일반적 효능에 비해 행위 예측과 영향 정도가 강한 변수로 지지되었다.
일반적 자기효능은 몇몇 연구에서 자기효능의 일반화를 위해 시도되었는데(Sheer & Maddux, 1982), 건강증진 행위처럼 전반적인 상황에서의 자기 능력을 측정한 경우이다. 반면에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요구되는 특정 행위에 대한 구체적 자기효능을 적용하였고, 일반적 효능에 비해 행위 예측과 영향 정도가 강한 변수로 지지되었다.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강화에 대한 행동주의 입장과 반두라의이론을 비교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주요개념, 모델로부터 학습과정, 성격발달, 그의 이론에 대한 평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 대한 구성요소와 그의 이론에 대한 평가를 서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반두라의 생애, 사회학습이론의 주요개념
[행동주의 학습이론]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반두라의 사회학습...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행동주의이론]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
파블로프 스키너 반두라의 학습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