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자 인물소개
2. 장자의 생애
3. 장자의 사상적 배경
4. 장자사상 요약
5. 장자 사상분석
(1) 자연에 관한 사상
(2) 그가 추구하는 삶과 인생관
(3) 정치사상
6. 장자의 사상이 미친영향
7. 장자사상의 한계점
8. 장자라는 인물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9. 참고자료
2. 장자의 생애
3. 장자의 사상적 배경
4. 장자사상 요약
5. 장자 사상분석
(1) 자연에 관한 사상
(2) 그가 추구하는 삶과 인생관
(3) 정치사상
6. 장자의 사상이 미친영향
7. 장자사상의 한계점
8. 장자라는 인물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9. 참고자료
본문내용
는 것이다. 또 혹자는 일반 대중의 눈을 현실 세계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변혁에 대한 의욕을 상실케 하는 마약이라고 비난하며, 장자에게 봉사하는 것을 노예 근성이라고 규정해버리기도 한다.
양쪽이 다 <장자>가 미치는 영향을 잘 지적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분명히 장자는 약자에게 구원이 되는 동시에, 그 정신을 잠들게 하는 역할을 해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장자>가 약자에게만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다. 세상의 강자인 지배 계급들에게까지 골고루 읽혀졌다는 편이 오히려 더 정확하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정치 사회를 지배해온 표면상의 이념은 유교의 도덕론과 명분론이었다. 그리고 그 완고한 멍에와 굴레는 지배층에게도 숨쉴 틈을 주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들은 이 답답함을 <장자>를 통해 해소했고, 잠시나마 우주와 일체가 된 경지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었다. 이리하여 노장을 대표로 하는 도가 사상은 유가 사상과 표리 관계를 맺으면서, 그 내부로부터 봉건적인 지배 체제가 무너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해왔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면에 이 사상은 하나의 가치가 되어 반역의 무기가 되기도 한다. 가령 근대 초기의 무정부주의자들은 \'노장\'이 말하는 무위 자연의 다스림 속에서 이상적인 정치 형태를 찾았던 것이다.
6. 장자의 사상이 미친영향
장자사상은 위진현학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남북조 시대에 성행한 반야학과 당나라 때 융성한 선종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현종은 그에게 남화진인이라는 호를 추증하였으므로, 《장자》는 《남화진경》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읽혔다. 송(宋)?명(明) 이학(理學)은 유학을 위주로 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장자철학을 수용하였다. 장자의 이러한 초탈사상은 자연주의 경향이 있는 문학 예술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국에서는 조선 전기에 이단으로 배척받기도 하였으나 산림의 선비들과 문인들이 그 문장을 애독하였다.
7. 장자사상의 한계점
철학이 자유로운 학문이라지만 우리 삶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는 분명 갖고 있다. 그런 이유에서 과거의 철학자들이 남들이 가보지 못한 ‘인식’이나 ‘주체’의 문제에 대해 일부러 집착하고 풀어내려 노력한 면이 있다. 즉, 그들이 끝까지 가보았기 때문에 우리는 정신적인 풍요를 갖고 살아가는 것이다. 특유의 사상적 자유로움과 연대로 보았을 때 불가능한 점이 많았겠지만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사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실제로 인간의 심각한 문제를 장자의 사상으로 풀어낼 수 있냐는 점에서 의문을 가질 수 있다.
8. 장자라는 인물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장자라는 인물을 처음 접했던 것은 <나쁜 녀석들>이라는 드라마에서 나온 대사를 들었을 때이다. 그때는 김상중 배우의 분위기와 목소리의 톤으로 장자의 나비 꿈 이야기를 들으니 무엇인가 신비로운 느낌이 나는 이야기라고 생각되었는데, 지금 동양고전에 대해 배우고 그 얘기를 다시 들으니 장자의 그 이야기에는 그의 사상이 담겨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장자는 단지 살아남는 것만을 꿈꾸지 않고, 어려운 현실 앞에서도 정신을 속박당하지 않고, 자유롭게 뜻대로 사는 세상을 꿈꿨다고 하는데 저는 이런 장자의 사상을 닮고 싶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무엇인가에 있어서 얽매여 있어 자유롭지 못하다고 생각하는데 장자는 여러 현실 앞에서도 속박당하지 않고 자유를 꿈꾸었다고 하니까 이런 장자의 모습을 닮았으면 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장자의 사상은 지금 현세대에서는 실현하기 좀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제 마음속에는 그의 사상이 꿈의 사상으로 자리 잡은 것 같다.
9. 참고자료
교육 고전의 이해, 조화태,유현옥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 강신주
도의 이중성에 관한 연구, 이양희
양쪽이 다 <장자>가 미치는 영향을 잘 지적한 말이라고 할 수 있다. 분명히 장자는 약자에게 구원이 되는 동시에, 그 정신을 잠들게 하는 역할을 해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장자>가 약자에게만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다. 세상의 강자인 지배 계급들에게까지 골고루 읽혀졌다는 편이 오히려 더 정확하다.
근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정치 사회를 지배해온 표면상의 이념은 유교의 도덕론과 명분론이었다. 그리고 그 완고한 멍에와 굴레는 지배층에게도 숨쉴 틈을 주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들은 이 답답함을 <장자>를 통해 해소했고, 잠시나마 우주와 일체가 된 경지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었다. 이리하여 노장을 대표로 하는 도가 사상은 유가 사상과 표리 관계를 맺으면서, 그 내부로부터 봉건적인 지배 체제가 무너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해왔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면에 이 사상은 하나의 가치가 되어 반역의 무기가 되기도 한다. 가령 근대 초기의 무정부주의자들은 \'노장\'이 말하는 무위 자연의 다스림 속에서 이상적인 정치 형태를 찾았던 것이다.
6. 장자의 사상이 미친영향
장자사상은 위진현학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남북조 시대에 성행한 반야학과 당나라 때 융성한 선종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현종은 그에게 남화진인이라는 호를 추증하였으므로, 《장자》는 《남화진경》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읽혔다. 송(宋)?명(明) 이학(理學)은 유학을 위주로 하면서도 내면적으로는 장자철학을 수용하였다. 장자의 이러한 초탈사상은 자연주의 경향이 있는 문학 예술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국에서는 조선 전기에 이단으로 배척받기도 하였으나 산림의 선비들과 문인들이 그 문장을 애독하였다.
7. 장자사상의 한계점
철학이 자유로운 학문이라지만 우리 삶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는 분명 갖고 있다. 그런 이유에서 과거의 철학자들이 남들이 가보지 못한 ‘인식’이나 ‘주체’의 문제에 대해 일부러 집착하고 풀어내려 노력한 면이 있다. 즉, 그들이 끝까지 가보았기 때문에 우리는 정신적인 풍요를 갖고 살아가는 것이다. 특유의 사상적 자유로움과 연대로 보았을 때 불가능한 점이 많았겠지만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사상이 아니라는 점에서 실제로 인간의 심각한 문제를 장자의 사상으로 풀어낼 수 있냐는 점에서 의문을 가질 수 있다.
8. 장자라는 인물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장자라는 인물을 처음 접했던 것은 <나쁜 녀석들>이라는 드라마에서 나온 대사를 들었을 때이다. 그때는 김상중 배우의 분위기와 목소리의 톤으로 장자의 나비 꿈 이야기를 들으니 무엇인가 신비로운 느낌이 나는 이야기라고 생각되었는데, 지금 동양고전에 대해 배우고 그 얘기를 다시 들으니 장자의 그 이야기에는 그의 사상이 담겨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장자는 단지 살아남는 것만을 꿈꾸지 않고, 어려운 현실 앞에서도 정신을 속박당하지 않고, 자유롭게 뜻대로 사는 세상을 꿈꿨다고 하는데 저는 이런 장자의 사상을 닮고 싶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무엇인가에 있어서 얽매여 있어 자유롭지 못하다고 생각하는데 장자는 여러 현실 앞에서도 속박당하지 않고 자유를 꿈꾸었다고 하니까 이런 장자의 모습을 닮았으면 하는 마음을 가지게 되었다. 장자의 사상은 지금 현세대에서는 실현하기 좀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제 마음속에는 그의 사상이 꿈의 사상으로 자리 잡은 것 같다.
9. 참고자료
교육 고전의 이해, 조화태,유현옥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 강신주
도의 이중성에 관한 연구, 이양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