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 서론
II . 본론
1. 비교평가를 통한 자신 파악
2. 반영평가를 통한 자신 파악
3. 자기 지각을 통한 자신 파악
4. 집단, 환경의 영향을 통한 자신 파악
III. 결론
IV. 참고문헌
II . 본론
1. 비교평가를 통한 자신 파악
2. 반영평가를 통한 자신 파악
3. 자기 지각을 통한 자신 파악
4. 집단, 환경의 영향을 통한 자신 파악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라고 생각이 든다. 사람이 다른 사람을 비교하고, 영향을 받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걸지도 모른다. 사회심리학에서 배운 것처럼, 우리는 남과 비교하면서 나를 깨닫기도 하기 때문이다.
III. 결론
‘나는 누구일까?’, 라는 생각은 대학교 진로선택을 하기 전, 고등학생 때 많이 해보았지만 확신할 수 있는 답은 없었다. 지금도 내가 누구인지 나를 한 단어로 정의할 수 는 없다. 그러나 10년 사이 많은 것을 경험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나’라는 존재가 더 명확해질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학생 때는 부모님 또는 각 친구들에게 대하는 나의 태도와 성격이 달라, ‘나는 가식적인 사람인가? 나의 진짜 성격은 무엇이지?’라는 혼란도 겪었지만, 지금은 그 모든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 ‘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학생 때부터 가지고 있던 신념이나 가치관이 자라면서 바뀌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적도 있었다. 어릴 때부터 가지고 있던 신념을 지키지 못하면 ‘나’라는 존재가 없어질 것만 같았다. 내가 생각했던 내가 아니게 되는 게 싫었다. 그러나 지금은, 학생 때의 주변 환경이 다르고, 겪을 수 있는 모든 상황들이 다르기 때문에 사고방식과 가치관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10대에는 다른 친구들이 가진 장점을 기준으로 ‘나’를 단점만 있는 사람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20대에는 좋은 사람들을 많이 만나, 나도 장점이 많은 사람인 것을 알게 되었고, 남들이 가지지 못한 나의 장점을 발견하고 나를 사랑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버리지 못한 것은 남들이 평가하는 ‘나’의 모습인데, 그 또한 나를 더 열심히 살게 하는 원동력으로 생각하고 하루하루를 알차게 살아가 보려고 한다. 이렇듯 지금까지의 모든 나의 고민과 경험, 감정, 인간관계 등 이 모든 것들이 합쳐져서 나라는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IV. 참고문헌
저자 미국정신분석학회, 정신분석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제공처 서울대상관계정신분석연구소 2002.08.10. (자기의 정의)
저자 이철수, 사회복지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2009.08.15.
이태연 교수, 자기와 정체성, 대학공개강의-KOCW 한서대학교 2014. 4,7,8p (서론 일부 발췌)
이태연 교수, 사회생활과 자기, 대학공개강의-KOCW 한서대학교 2018.03.10. 5,6p
(상향비교 하향비교 정의)
배움교육원 사회심리학 교안 20-26p
III. 결론
‘나는 누구일까?’, 라는 생각은 대학교 진로선택을 하기 전, 고등학생 때 많이 해보았지만 확신할 수 있는 답은 없었다. 지금도 내가 누구인지 나를 한 단어로 정의할 수 는 없다. 그러나 10년 사이 많은 것을 경험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면서 ‘나’라는 존재가 더 명확해질 수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학생 때는 부모님 또는 각 친구들에게 대하는 나의 태도와 성격이 달라, ‘나는 가식적인 사람인가? 나의 진짜 성격은 무엇이지?’라는 혼란도 겪었지만, 지금은 그 모든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 ‘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학생 때부터 가지고 있던 신념이나 가치관이 자라면서 바뀌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적도 있었다. 어릴 때부터 가지고 있던 신념을 지키지 못하면 ‘나’라는 존재가 없어질 것만 같았다. 내가 생각했던 내가 아니게 되는 게 싫었다. 그러나 지금은, 학생 때의 주변 환경이 다르고, 겪을 수 있는 모든 상황들이 다르기 때문에 사고방식과 가치관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10대에는 다른 친구들이 가진 장점을 기준으로 ‘나’를 단점만 있는 사람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20대에는 좋은 사람들을 많이 만나, 나도 장점이 많은 사람인 것을 알게 되었고, 남들이 가지지 못한 나의 장점을 발견하고 나를 사랑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버리지 못한 것은 남들이 평가하는 ‘나’의 모습인데, 그 또한 나를 더 열심히 살게 하는 원동력으로 생각하고 하루하루를 알차게 살아가 보려고 한다. 이렇듯 지금까지의 모든 나의 고민과 경험, 감정, 인간관계 등 이 모든 것들이 합쳐져서 나라는 사람이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IV. 참고문헌
저자 미국정신분석학회, 정신분석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제공처 서울대상관계정신분석연구소 2002.08.10. (자기의 정의)
저자 이철수, 사회복지학사전, 네이버 지식백과, 2009.08.15.
이태연 교수, 자기와 정체성, 대학공개강의-KOCW 한서대학교 2014. 4,7,8p (서론 일부 발췌)
이태연 교수, 사회생활과 자기, 대학공개강의-KOCW 한서대학교 2018.03.10. 5,6p
(상향비교 하향비교 정의)
배움교육원 사회심리학 교안 20-26p
추천자료
고급이론 보고서 - 오토 컨버그
아동행동연구 (자아개념,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보고서
사회학습이론
[2015 교육심리학] 1.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가드너다중지능이...
[청소년발달] 청소년기 발달이론 중 정신분석이론과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각각 간략히 설명...
청소년靑少年심리2공통)1. 청소년기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한 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의 개념과 발달단계를 설명하고 각 단계의 발달과업과 위기의 ...
[청소년기 발달특성 및 발달과업] 청소년기 신체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의 특징, 청...
[교육심리학 4학년] 행동주의 학습이론, 인지주의 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