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문법론 ) 영화, 소설, 신문기사 등 특정 텍스트 유형을 하나 선택하여 거기서 다루어진 어휘의 형태적, 의미적 특징을 분석하고 그 기능(또는 효과)가 무엇일지 정리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한국어문법론 ) 영화, 소설, 신문기사 등 특정 텍스트 유형을 하나 선택하여 거기서 다루어진 어휘의 형태적, 의미적 특징을 분석하고 그 기능(또는 효과)가 무엇일지 정리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댓글”을 선택한 이유
2. “댓글”의 종류
3. “댓글”의 단어들과 의미
4. “댓글”의 형태적 기준에 의한 분류와 그 특성
5. “댓글”의 의미적 기준에 의한 분류와 그 특성
6.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달아 특이한 사람을 보는 시선을 나타내기도 한다.
의문과 오류제기
굳이 의문과 오류를 제기할 때의 경우에는 다른 단어들로 많이 쓰지만 ‘문찐 아님?’이라는 등의 연예인과 관련된 기사 댓글을 본 적이 있다. 연예인이 상식을 모르는 것인지 모르는 척하는 것인지 콘셉트에 너무 혼동을 준 경우, “문찐? 아니면 문찐인 척?”라고 연예인의 행동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오류제기는 여기에서 조금 다른 것인데, “저기에서는 저렇게 말하면 안되는거 아니야?”, “저기 틀린 것 같은데?” 라면서 뉴스 등에서는 오타를 지적하거나, 동영상 등의 댓글에서 지적하고, 그 오류를 다른 사람에게도 알리는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공감과 토론
이것은 누구나 다 알 수 있는 유행일 것이다. 위의 단어 중 ‘실존주의’와 ‘화이트 불편러’라는 단어는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어떤 경향이 치우친 뉴스에서 화이트 불편러가 등장하였다. 이것은 무슨 의미로 말할 수 있는가. 바로 뉴스의 공평성을 지적하고 만약 성차별 등의 제대로 된 기사를 내놓으라고 하는 사람들에게 붙여준다. 보기 힘든 뉴스, 동영상 등에서 등장하는 사람들, 그러나 우리는 댓글에서 굳이 그것이 내보이지 않기에 그것을 보고 생겨난 단어가 아닌가 싶다.
5. “댓글”의 의미적 기준에 의한 분류와 그 특성
긍정 : 취저, 실존주의, 화이트불편러, JMT
자신의 긍정적인 것을 표현하는 의미이며, 불의를 참지 못하는 사람에게 붙여주는 호칭과 같은 의미이다. 그리고 맛있다는 긍정표현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실존주의, 화이트불편러의 등장으로 긍정적인 댓글이 늘어날 수 있다.
부정 : 노잼, 갑분싸, 문찐, 혼모노
너무 직설적인 부정적 표현은 좋지 않다. 특히 ‘문찐’에서는 찐따라고 하는 단어가 우리가 알고 있는 ‘왕따’의 단어와 함께 비하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혼모노라는 단어는 일본어를 따온 것이지만 의미가 많이 달라지게 되어 만약 일본어를 배우는 등의 역할에서 의미의 혼동이 올 것이다.
애매한 단어 : 할말하않, 엄근진
이 두 단어는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단어에서 함께 쓰인다. 양쪽의 의미를 다 포함하는 만큼 쓰는 곳을 잘 구별하여서 쓸 수 있어야 하며, 무분별하게 써서는 안된다.
6. 출처 및 참고문헌
인터넷 ‘댓글’의 텍스트유형학적연구, 조국현(한국외대), 2007
머니투데이, 줄임말 50개, 당신은 몇 문제 맞힐 수 있나요?, 김고금평/배영윤 기자 신조어의 의미에 대하여,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07.26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4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