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댓글”을 선택한 이유
2. “댓글”의 종류
3. “댓글”의 단어들과 의미
4. “댓글”의 형태적 기준에 의한 분류와 그 특성
5. “댓글”의 의미적 기준에 의한 분류와 그 특성
6. 출처 및 참고문헌
2. “댓글”의 종류
3. “댓글”의 단어들과 의미
4. “댓글”의 형태적 기준에 의한 분류와 그 특성
5. “댓글”의 의미적 기준에 의한 분류와 그 특성
6.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달아 특이한 사람을 보는 시선을 나타내기도 한다.
의문과 오류제기
굳이 의문과 오류를 제기할 때의 경우에는 다른 단어들로 많이 쓰지만 ‘문찐 아님?’이라는 등의 연예인과 관련된 기사 댓글을 본 적이 있다. 연예인이 상식을 모르는 것인지 모르는 척하는 것인지 콘셉트에 너무 혼동을 준 경우, “문찐? 아니면 문찐인 척?”라고 연예인의 행동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오류제기는 여기에서 조금 다른 것인데, “저기에서는 저렇게 말하면 안되는거 아니야?”, “저기 틀린 것 같은데?” 라면서 뉴스 등에서는 오타를 지적하거나, 동영상 등의 댓글에서 지적하고, 그 오류를 다른 사람에게도 알리는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공감과 토론
이것은 누구나 다 알 수 있는 유행일 것이다. 위의 단어 중 ‘실존주의’와 ‘화이트 불편러’라는 단어는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어떤 경향이 치우친 뉴스에서 화이트 불편러가 등장하였다. 이것은 무슨 의미로 말할 수 있는가. 바로 뉴스의 공평성을 지적하고 만약 성차별 등의 제대로 된 기사를 내놓으라고 하는 사람들에게 붙여준다. 보기 힘든 뉴스, 동영상 등에서 등장하는 사람들, 그러나 우리는 댓글에서 굳이 그것이 내보이지 않기에 그것을 보고 생겨난 단어가 아닌가 싶다.
5. “댓글”의 의미적 기준에 의한 분류와 그 특성
긍정 : 취저, 실존주의, 화이트불편러, JMT
자신의 긍정적인 것을 표현하는 의미이며, 불의를 참지 못하는 사람에게 붙여주는 호칭과 같은 의미이다. 그리고 맛있다는 긍정표현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실존주의, 화이트불편러의 등장으로 긍정적인 댓글이 늘어날 수 있다.
부정 : 노잼, 갑분싸, 문찐, 혼모노
너무 직설적인 부정적 표현은 좋지 않다. 특히 ‘문찐’에서는 찐따라고 하는 단어가 우리가 알고 있는 ‘왕따’의 단어와 함께 비하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혼모노라는 단어는 일본어를 따온 것이지만 의미가 많이 달라지게 되어 만약 일본어를 배우는 등의 역할에서 의미의 혼동이 올 것이다.
애매한 단어 : 할말하않, 엄근진
이 두 단어는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단어에서 함께 쓰인다. 양쪽의 의미를 다 포함하는 만큼 쓰는 곳을 잘 구별하여서 쓸 수 있어야 하며, 무분별하게 써서는 안된다.
6. 출처 및 참고문헌
인터넷 ‘댓글’의 텍스트유형학적연구, 조국현(한국외대), 2007
머니투데이, 줄임말 50개, 당신은 몇 문제 맞힐 수 있나요?, 김고금평/배영윤 기자 신조어의 의미에 대하여,
의문과 오류제기
굳이 의문과 오류를 제기할 때의 경우에는 다른 단어들로 많이 쓰지만 ‘문찐 아님?’이라는 등의 연예인과 관련된 기사 댓글을 본 적이 있다. 연예인이 상식을 모르는 것인지 모르는 척하는 것인지 콘셉트에 너무 혼동을 준 경우, “문찐? 아니면 문찐인 척?”라고 연예인의 행동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오류제기는 여기에서 조금 다른 것인데, “저기에서는 저렇게 말하면 안되는거 아니야?”, “저기 틀린 것 같은데?” 라면서 뉴스 등에서는 오타를 지적하거나, 동영상 등의 댓글에서 지적하고, 그 오류를 다른 사람에게도 알리는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공감과 토론
이것은 누구나 다 알 수 있는 유행일 것이다. 위의 단어 중 ‘실존주의’와 ‘화이트 불편러’라는 단어는 여기에서 볼 수 있다. 어떤 경향이 치우친 뉴스에서 화이트 불편러가 등장하였다. 이것은 무슨 의미로 말할 수 있는가. 바로 뉴스의 공평성을 지적하고 만약 성차별 등의 제대로 된 기사를 내놓으라고 하는 사람들에게 붙여준다. 보기 힘든 뉴스, 동영상 등에서 등장하는 사람들, 그러나 우리는 댓글에서 굳이 그것이 내보이지 않기에 그것을 보고 생겨난 단어가 아닌가 싶다.
5. “댓글”의 의미적 기준에 의한 분류와 그 특성
긍정 : 취저, 실존주의, 화이트불편러, JMT
자신의 긍정적인 것을 표현하는 의미이며, 불의를 참지 못하는 사람에게 붙여주는 호칭과 같은 의미이다. 그리고 맛있다는 긍정표현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실존주의, 화이트불편러의 등장으로 긍정적인 댓글이 늘어날 수 있다.
부정 : 노잼, 갑분싸, 문찐, 혼모노
너무 직설적인 부정적 표현은 좋지 않다. 특히 ‘문찐’에서는 찐따라고 하는 단어가 우리가 알고 있는 ‘왕따’의 단어와 함께 비하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혼모노라는 단어는 일본어를 따온 것이지만 의미가 많이 달라지게 되어 만약 일본어를 배우는 등의 역할에서 의미의 혼동이 올 것이다.
애매한 단어 : 할말하않, 엄근진
이 두 단어는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단어에서 함께 쓰인다. 양쪽의 의미를 다 포함하는 만큼 쓰는 곳을 잘 구별하여서 쓸 수 있어야 하며, 무분별하게 써서는 안된다.
6. 출처 및 참고문헌
인터넷 ‘댓글’의 텍스트유형학적연구, 조국현(한국외대), 2007
머니투데이, 줄임말 50개, 당신은 몇 문제 맞힐 수 있나요?, 김고금평/배영윤 기자 신조어의 의미에 대하여,
추천자료
통신언어에 관한 고찰
PC 통신 언어가 국어 생활에 미치는 영향
국어학 - 과거시제체계'-었-' 에 관하여
효과적인 다의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문법][전통문법][규범문법][구조문법][역사비교문법]문법의 개념, 문법의 특징, 문법의 범주...
국어과(교육) 발음학습지도, 소집단토의학습지도, 국어과(교육) 갈등학습지도, 역할놀이학습...
[텍스트구조, 텍스트구조 특징, 텍스트구조와 쓰기발달, 텍스트구조와 지도내용, 텍스트구조...
성분 호응에 관한 국어교육적 소고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수방안 연구 ‘-고’와 ‘-아서-어서’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