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화 sanctification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화 sanctificatio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성화에 대해서 ……… 2

2. 거룩함의 의미 ……… 2

3. 하나님의 형상 회복으로서의 성화 ……… 2

4. 성화의 ‘이미’와 ‘아직 아니’ ……… 3

5. 성화의 방식 ……… 3

6. 성화의 내용 ……… 4

7. 성화의 주체 ……… 5

8. 성화의 모범 ……… 6

9. 성화와 선행 ……… 7

본문내용

죄의 부패로부터 해방하고 그의 본성 전체를 하나님의 형상으로 갱신하여 그가 선행을 할 수 있게 하는 성령의 자비롭고 지속적인 사역이다.
- 교의학에서 ‘성화’라고 할 때 ‘신자를 거룩하게 하시는 성령의 사역’이다. 그러기에 평생 성과 과정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후크마 : 성화는 “우리의 책임 있는 참여를 수반하는 성령의 은혜로운 사역으로 표현함.
- 결론 : 성화는 택자를 거룩하게 하시는 성령의 사역이며, 100% 성령의 사역이며, 동시에 100% 택자의 사역이다.
8 성화의 모범
1) 하님의 거룩함과 인간의 거룩함
- 성령의 인도와 새로워진 영적감각으로 거룩한 삶을 추구하고 거룩함을 온전히 이루는 것이다.
- 에드워즈 ; 신자의 거룩함을 “파생된 거룩함”으로, 하나님의 거룩함을 “파생되지 않은 거룩함”으로 표현함.
2) 눈에 보이는 모범, 예수 그리스도
- 예수님은 자신이 ‘본을 보였다’고 말씀하심(요13:15)
; 예수님이 이런 말씀을 따라 신자들은 예수님을 본으로 삼는 삶을 살아야 한다.
- 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가 된 것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가 되라(고전11:1)
3) 예수 그리스도의 무엇을 따라야 하나
a) 첫째의 영역은 ‘지식’입니다. 하나님의 뜻에 합당하게 살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가를 알아야합니다. 하나님의 뜻은 그리스도를 통해 우리에게 정확하게 알려지기 때문에 우리는 그리스도를 아는 지식에서 자라 가야 합니다. (벧후3:18)
b) 둘째의 영역은 ‘미덕’입니다. 여러 미덕이 있는데, 총체적으로 대표하는 것은 ‘사랑’입니다.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의 미덕을 칭송하며 신자들이 그 미덕을 본받을 것을 요청합니다.
c) 세 번째 영역은 ‘기쁨’입니다. 타락한 인류의 구원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기쁨이 되었던 것처럼 하나님의 기쁨을 따라야 합니다. 또한, 성령의 성화 사역에서 이 기쁨은 거룩하게 된 자들에게 반드시 수반되는 성화의 결과이자 성령의 열매입니다.
9. 성화와 선행
성령의 내주하심으로 새로운 영적 감각을 통하여 선행이 무엇인지 알 뿐만 아니라 선행을 좋아하고 선행에 끌리며 선행을 하고 싶어지게 합니다.
- 구원파 ; 구원받은 택자는 구원받았기에 마음대로 살아도 된다.(이단)
- 개혁주의적 구원관 : ‘이미’ 이루어진 구원뿐만 아니라, ‘아직’ 이루어지지 않는 구원을 우리는 이루어 가야 됩니다
1) 선행을 강조하는 교회.
- 개혁주의는 이신칭의와 더불어 성화의 삶을 강조한다.
- 신자의 선행은 자신의 신앙이 참되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 웨스트민스터 16장에서 선행을 별도의 주제로 다루고 있다.
- 불신자도 선행을 한다. 그러나 신자와 다른 점은 신자들은 내주하시는 성령의 인도를 따라서 자신의 새로워진 영적 감각을 발휘한 바른 영적인 토대에서부터 선행이 나온다는 점이다.
- 불신자의 선행은 행위자의 마음이 하나님을 향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일어난 행위임으로 성화의 열매라 할 수 없다. 일반은총으로 선행을 할 수 있다.
- 기독교적 선행은 기본적으로 하나님을 기쁘시게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7.27
  • 저작시기202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