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1) 또래관계 측정도구 개발 가능 여부2) 대안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1) 또래관계 측정도구 개발 가능 여부2) 대안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록의 신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모든 관찰자들이 동일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시간이 필요하다. 예를 들자면 하나의 행동을 1분 동안 관찰한 후 약 10초간 기록하기도 한다. 이 때 기록하는 방법을 사전에 정해두지 않는다면 관찰자마다 다른 방식으로 기록해 해석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글의 만 3세 유아의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시간이 필요하다. 너무 짧은 시간의 경우 또래관계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이들이 적절하게 놀 수 있는 시간인 20분으로 시간을 두고자 한다. 20분 동안 관찰한 후 기록을 정리하는 시간으로는 3분 정도로 정해두고 이를 세 번 정도 반복하고자 한다. 세 번 반복하는 이유는 한 번의 관찰로는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반복함으로써 잘못 측정하는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이처럼 시간 표집법을 활용하는 경우 이전에 측정도구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해 만3세 유아의 또래관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3. 결론
본 글에서는 만3세 유아의 또래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만3세 유아의 경우 언어적인 측면에서 설문을 이해하기 어려우며 보호자가 진행하기에는 아이들의 또래관계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지 못해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설문을 통해 진행하기 보다는 시간 표집법을 이용해 관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글에서 필자는 공격성, 호감성 그리고 소외 세 가지 분류로 나누어서 또래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행동을 미리 설정했으며 관찰하는 시간과 기록하는 시간 그리고 반복되는 횟수를 정해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물론 본 글에서 제안한 방법은 이론적인 측면으로만 살펴보았으며 이를 실제로 적용하는 동안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크다. 측정하고자 하는 행동을 관찰하기에는 관찰 시간이 짧을 수 있으며, 그 외의 행동도 또래관계에 적합해 측정 상황에 넣으려는 등의 문제를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실제 상황에서 일어날 경우 측정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실시해서 문제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사전에 실시한다면 측정 방법에 있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글에서 살펴본 것처럼 또래관계를 적절히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아이들에게 적절한 방식으로 교육한다면 성인이 되어서도 대인관계가 올바르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진규 & 윤길근, 교육평가의 탐구, 동문사, 2013
3. 결론
본 글에서는 만3세 유아의 또래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만3세 유아의 경우 언어적인 측면에서 설문을 이해하기 어려우며 보호자가 진행하기에는 아이들의 또래관계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지 못해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설문을 통해 진행하기 보다는 시간 표집법을 이용해 관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글에서 필자는 공격성, 호감성 그리고 소외 세 가지 분류로 나누어서 또래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행동을 미리 설정했으며 관찰하는 시간과 기록하는 시간 그리고 반복되는 횟수를 정해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물론 본 글에서 제안한 방법은 이론적인 측면으로만 살펴보았으며 이를 실제로 적용하는 동안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크다. 측정하고자 하는 행동을 관찰하기에는 관찰 시간이 짧을 수 있으며, 그 외의 행동도 또래관계에 적합해 측정 상황에 넣으려는 등의 문제를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실제 상황에서 일어날 경우 측정에 있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실시해서 문제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사전에 실시한다면 측정 방법에 있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글에서 살펴본 것처럼 또래관계를 적절히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아이들에게 적절한 방식으로 교육한다면 성인이 되어서도 대인관계가 올바르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김진규 & 윤길근, 교육평가의 탐구, 동문사, 2013
추천자료
[지능발달] 아동기 지능발달 - 지능이론(지능의 구조), 지능검사의 종류, 아동의 지능발달에 ...
아동기 인지발달(아동기 구체적 조작능력의 발달, 지능발달, 기억발달)
2020년 1학기 교육평가 기말시험 과제물 C형
[ 교육평가 ) 개발을 못한다면 3세 유아의 ‘또래관계’를 어떻게 검사할 수 있는지의 대안방법...
[ 교육평가 ) 수행평가의 출현배경을 설명하고 유아교육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수행평가와 ...
[ 교육평가 ) 만 3세 유아의 ‘또래관계측정도구’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이 측정도구를 개발할 ...
[ 교육평가 ) 만 3세 유아의 ‘또래관계측정도구’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이 측정도구를 개발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