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또래관계측정도구의 개발
2) 또래관계측정도구의 검사문항
3) 또래관계측정도구의 실시과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개별문제>
평정척도의 오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2. 본론
1) 또래관계측정도구의 개발
2) 또래관계측정도구의 검사문항
3) 또래관계측정도구의 실시과정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개별문제>
평정척도의 오류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검사와는 다르게 평정척도는 객관적인 자료보다는 주관적인 자료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종류에는 환경 평정, 자기 평정, 타인 평정 등이 있다.
2. 본론
평정척도에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있다.
1) 후광효과
후광효과란 평정 대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특정한 인상을 기초로 하여 또 다른 특성을 좋게나 나쁘게 평정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평정 요소에 의해서만 평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인상과 같은 이외의 요소도 평가하는 것이다. 평정하는 사람이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인상을 주는 학생이 있다면 그 학생의 모든 면에 대한 평정도 긍정적으로 하도록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2) 관대화의 오류(관용의 오류)
평정자가 너그러운 편이라면 기준을 낮게 잡고 긍정적인 척도만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관대화의 오류라고 한다. 대체로 평정자가 자기와 가까운 사람과 같이 후한 점수를 주기 위한 성향으로 인해 일어나는 오류다.
3) 집중경향의 오류(중심화 오류)
평정 시에 극단의 평정치는 가능한 피하고 중간 점수를 주는 데서 오는 오차이다. 이는 아주 높은 점수나 아주 낮은 점수는 피하고 평정이 중간인 부분에 지나치게 자주 모인다.
대부분 이런 경우는 평정자가 경험이나 훈련이 부족하거나 혹은 능숙한 평점자라도 평정을 할 특성이 무엇인지 정확히 모를 때 나타난다.
이러한 오류의 통제하기 위해서 평정자들에게 각각의 평정척도에 사람의 순위를 매기도록 한다. 또는 평정자에게 정상분포곡선이나 그 비슷한 체계에 따라서 그들의 평정을 전체 평정척도에 분포시킬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이 기법도 많은 사람에게 적용될 때에나 평정이 분산의 중앙이나 분산의 양 끝에 몰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오류의 통제 방법으로는 평정 척도에 쓰이는 어휘를 정확하게 설명하여 평정자들이 논리적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관관계분석 및 요인분석 등의 통계적인 방법에 의해서 평정요소를 선정하거나 경험이나 훈련이 부족한 평정자를 훈련을 통해 능숙하게 만들어 오류를 축소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피평정자가 평정척도를 매기는데 참여를 한다거나 척도를 역배치하는 방법도 있다. 이광진. \"평가형식 및 척도화 방법이 다면평가에서 관대화 오류 및 후광효과에 미치는 영향\" VOL.- NO.- (2008), 호서대학교
이렇게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평정척도의 오류를 개선하고자 하고 있다.
3.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평정척도의 오류와 그 해결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평정청도의 대표적인 오류로는 후광효과, 관대화의 오류, 집중경향의 오류가 있었다. 이러한 오류의 해결법으로는 평정척도에 사람의 순위를 매기게 한다든가 척도를 역배치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러 가지 오류의 한계가 있지만 평정척도는 만들기가 쉽고 사용하기가 편리하다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평가의 용도로 쓰이고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이광진. \"평가형식 및 척도화 방법이 다면평가에서 관대화 오류 및 후광효과에 미치는 영향\" VOL.- NO.- (2008), 호서대학교
2. 본론
평정척도에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있다.
1) 후광효과
후광효과란 평정 대상에 대해 가지고 있는 특정한 인상을 기초로 하여 또 다른 특성을 좋게나 나쁘게 평정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평정 요소에 의해서만 평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인상과 같은 이외의 요소도 평가하는 것이다. 평정하는 사람이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인상을 주는 학생이 있다면 그 학생의 모든 면에 대한 평정도 긍정적으로 하도록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2) 관대화의 오류(관용의 오류)
평정자가 너그러운 편이라면 기준을 낮게 잡고 긍정적인 척도만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관대화의 오류라고 한다. 대체로 평정자가 자기와 가까운 사람과 같이 후한 점수를 주기 위한 성향으로 인해 일어나는 오류다.
3) 집중경향의 오류(중심화 오류)
평정 시에 극단의 평정치는 가능한 피하고 중간 점수를 주는 데서 오는 오차이다. 이는 아주 높은 점수나 아주 낮은 점수는 피하고 평정이 중간인 부분에 지나치게 자주 모인다.
대부분 이런 경우는 평정자가 경험이나 훈련이 부족하거나 혹은 능숙한 평점자라도 평정을 할 특성이 무엇인지 정확히 모를 때 나타난다.
이러한 오류의 통제하기 위해서 평정자들에게 각각의 평정척도에 사람의 순위를 매기도록 한다. 또는 평정자에게 정상분포곡선이나 그 비슷한 체계에 따라서 그들의 평정을 전체 평정척도에 분포시킬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이 기법도 많은 사람에게 적용될 때에나 평정이 분산의 중앙이나 분산의 양 끝에 몰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오류의 통제 방법으로는 평정 척도에 쓰이는 어휘를 정확하게 설명하여 평정자들이 논리적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관관계분석 및 요인분석 등의 통계적인 방법에 의해서 평정요소를 선정하거나 경험이나 훈련이 부족한 평정자를 훈련을 통해 능숙하게 만들어 오류를 축소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피평정자가 평정척도를 매기는데 참여를 한다거나 척도를 역배치하는 방법도 있다. 이광진. \"평가형식 및 척도화 방법이 다면평가에서 관대화 오류 및 후광효과에 미치는 영향\" VOL.- NO.- (2008), 호서대학교
이렇게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평정척도의 오류를 개선하고자 하고 있다.
3.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평정척도의 오류와 그 해결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평정청도의 대표적인 오류로는 후광효과, 관대화의 오류, 집중경향의 오류가 있었다. 이러한 오류의 해결법으로는 평정척도에 사람의 순위를 매기게 한다든가 척도를 역배치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러 가지 오류의 한계가 있지만 평정척도는 만들기가 쉽고 사용하기가 편리하다는 장점 때문에 다양한 평가의 용도로 쓰이고 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이광진. \"평가형식 및 척도화 방법이 다면평가에서 관대화 오류 및 후광효과에 미치는 영향\" VOL.- NO.- (2008), 호서대학교
추천자료
[지능발달] 아동기 지능발달 - 지능이론(지능의 구조), 지능검사의 종류, 아동의 지능발달에 ...
아동기 인지발달(아동기 구체적 조작능력의 발달, 지능발달, 기억발달)
2020년 1학기 교육평가 기말시험 과제물 C형
[ 교육평가 ) 개발을 못한다면 3세 유아의 ‘또래관계’를 어떻게 검사할 수 있는지의 대안방법...
[ 교육평가 ) 수행평가의 출현배경을 설명하고 유아교육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수행평가와 ...
[ 교육평가 ) 만 3세 유아의 ‘또래관계측정도구’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이 측정도구를 개발할 ...
[ 교육평가 ) 만 3세 유아의 ‘또래관계측정도구’를 개발하려고 하는데 이 측정도구를 개발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