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 이순신의 삶과 리더십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순신의 삶
1) 생애
2) 임진왜란
3) 업적
2. 이순신의 리더십
1)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의 리더십
2) 소통하고 전형적이지 않은 리더십
Ⅲ. 결론
Ⅳ. 출처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순신의 삶
1) 생애
2) 임진왜란
3) 업적
2. 이순신의 리더십
1)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사고의 리더십
2) 소통하고 전형적이지 않은 리더십
Ⅲ. 결론
Ⅳ. 출처
본문내용
략과 세부적인 문제해결에 대한 전술을 짜는 능력을 모두 갖춘 리더였다. 한산도대첩에서 사용한 학익진은 함선을 학의 날개 모양처럼 펼쳐 공격하는 기술로 물길이 좁은 지형에서 적군을 공격하는데 적합한 방법이었다. 이순신은 일본군을 적당한 위치로까지 유인해 학익진 전술로 공격을 퍼부어 승리할 수 있었다.
이처럼 거북선과 학인진으로 대표되는 이순신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리더십은 전투에서 가장 중요한 실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무턱대고 싸우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상대방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전투에서 이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전략과 전술을 중심으로 한 사고로 문제를 해결하고 전투를 승리로 이끌 수 있었다.
2) 소통하고 전형적이지 않은 리더십
명량해전 직전의 상황은 좋지 않았다. 부하들은 모두 도망치고 싶을 만큼 두려워했고 절망했다. 그러나 이순신은 솔선수범하여 앞으로 나가 병사들을 호통치고 용기를 심어주었다. 수적으로 절대적인 열세였던 상황에서 부하들에게 정신력을 심어주어야 했던 상황에서 진정한 리더가 할 수 있었던 것은 결사 구국을 위한 각오를 함께 다짐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순신은 비전과 전략을 부하들과 공유했다. 이순신은 두려워하던 부하와 백성을 안심시키고 독단적이지 않으며 상하관계에서의 소통과 공유를 중요하게 여겼다.
난중일기에는 그가 전투하던 당시의 군정만이 담겨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감정과 번민이 함께 기록되어 있다. 나라를 걱정하며 눈물을 흘리고 몰락한 수군의 모습을 보고 주저앉자 고민했다는 등의 내용은 그가 이성적이기만 한 리더가 아닌 감성을 갖춘 리더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Ⅲ. 결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순신은 어려운 환경에서 자라 불운을 겪었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 고난을 극복하고 놀라운 업적을 남겼다. 이순신은 리더로서도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자세와 독단적이기보다 부하들과 소통하는 자세를 갖추었다. 훌륭한 그의 리더십과 전략은 그가 지휘했던 해전을 모두 승리로 이끌며 육전에서 모두 패배하여 두 달 만에 끝날뻔했던 임진왜란의 상황을 역전시켰다. 이순신의 이와 같은 개인의 삶과 리더십은 비단 전쟁과 같은 어려움이 놓여있을 때만이 아니라 우리에게도 귀감이 된다 하겠다.
Ⅳ. 출처
땅의 역사 (박종인, 상상출판, 2018)
짧은 생애, 빛나는 삶 (장학근 왜 지음,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2)
이처럼 거북선과 학인진으로 대표되는 이순신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리더십은 전투에서 가장 중요한 실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무턱대고 싸우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상대방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전투에서 이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전략과 전술을 중심으로 한 사고로 문제를 해결하고 전투를 승리로 이끌 수 있었다.
2) 소통하고 전형적이지 않은 리더십
명량해전 직전의 상황은 좋지 않았다. 부하들은 모두 도망치고 싶을 만큼 두려워했고 절망했다. 그러나 이순신은 솔선수범하여 앞으로 나가 병사들을 호통치고 용기를 심어주었다. 수적으로 절대적인 열세였던 상황에서 부하들에게 정신력을 심어주어야 했던 상황에서 진정한 리더가 할 수 있었던 것은 결사 구국을 위한 각오를 함께 다짐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순신은 비전과 전략을 부하들과 공유했다. 이순신은 두려워하던 부하와 백성을 안심시키고 독단적이지 않으며 상하관계에서의 소통과 공유를 중요하게 여겼다.
난중일기에는 그가 전투하던 당시의 군정만이 담겨있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감정과 번민이 함께 기록되어 있다. 나라를 걱정하며 눈물을 흘리고 몰락한 수군의 모습을 보고 주저앉자 고민했다는 등의 내용은 그가 이성적이기만 한 리더가 아닌 감성을 갖춘 리더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Ⅲ. 결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순신은 어려운 환경에서 자라 불운을 겪었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그 고난을 극복하고 놀라운 업적을 남겼다. 이순신은 리더로서도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자세와 독단적이기보다 부하들과 소통하는 자세를 갖추었다. 훌륭한 그의 리더십과 전략은 그가 지휘했던 해전을 모두 승리로 이끌며 육전에서 모두 패배하여 두 달 만에 끝날뻔했던 임진왜란의 상황을 역전시켰다. 이순신의 이와 같은 개인의 삶과 리더십은 비단 전쟁과 같은 어려움이 놓여있을 때만이 아니라 우리에게도 귀감이 된다 하겠다.
Ⅳ. 출처
땅의 역사 (박종인, 상상출판, 2018)
짧은 생애, 빛나는 삶 (장학근 왜 지음,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