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 지역문제의 발생 요인과 종속이론
목차
1. 서론
2. 본론
1) 지역문제 발생요인
2) 종속이론
(1) 내용
(2) 문제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목차
1. 서론
2. 본론
1) 지역문제 발생요인
2) 종속이론
(1) 내용
(2) 문제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국에서도 자본 주의체제는 유리하며 생존능력이 있는 체제라고 주장한다. 염홍철(1998), 『다시 읽는 종속이론』, 한울
②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이 있다.
첫째, 인식론적 문제로 종속이론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토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형이상학적 이나 기계론적과 같은 비변증법적 관념론에 빠져있다는 것이다.
둘째, 사회계급 분석에 관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종속이론에서는 기본적으로 대립은 계급 간이 아니라 민족 간이라고 할 수 있다. 종속이론은 중심부와 주변부 내의 계급관계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 하고 있다. 주변부 내의 계급에 대한 분석에서도 계급관계 그 자체보다 부문 간 관계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셋째, 정치적 노선에 문제로 종속이론과 마르크스의 이론 목표는 결국 사회주의의 실현이라는 면에서는 일치하지만, 종속이론의 전략은 그 의도와는 무관하게 사회주의를 실현하는 데 오히려 방해된다는 비판이 있다. 혁명 과정의 단계를 구분하는 데 있어 민족적 민주주의 혁명은 건너뛰고 바로 공산주의 혁명으로 갈 수 있다는 비현실적 이상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
넷째, 역사관의 문제가 있다는 것으로 종속이론이 역사발전에 있어서 합법칙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종속이론의 현상은 사회적 관계에서 생산을 찾지 않고 오직 외적인 부분인 국제 교환과정에서 찾는다. 이는 자본주의에서 공산주의로의 이행이 역사적인 필연이 아니라 인간의 의식적 투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말하며, 역사발전의 법칙을 부정한다. 염홍철, 위의 도서, 187~205쪽 참고
3.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지역사회 문제 요인과 종속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역사회의 문제 요인으로는 첫째, 제도적 요인이 있을 수 있고, 둘째, 이해집단 간의 갈등이 요인이 될 수 있었다. 셋째, 환경적 요인이 있었다.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된 이후로 각 지방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때론 갈등이나 협력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러한 지역 내의 문제는 반드시 원인과 조건이 있기 마련이며, 해결책 역시 있다.
종속이론이란 주로 개발도상국의 후진적 현실에 정치·경제적으로 ‘무엇이 저발전이고, 왜 지속하여 벗어나지 못하는가?’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답을 찾기 위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종속이론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종속이란 개념 그 자체에 대한 비판이 있다.
둘째,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이 있다. 이를 자세히 보자면, 먼저, 인식론적 문제가 있었다. 종속이론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토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형이상학적이나 기계론적과 같은 비변증법적 관념론에 빠져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사회계급 분석에 관한 문제가 있으며, 중심부와 주변부 내의 계급관계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치적 노선에 문제로 종속이론과 마르크스의 이론 목표는 결국 사회주의의 실현이라는 면에서는 같지만, 종속이론의 전략은 사회주의를 실현하는 데 오히려 방해된다는 비판이 있다. 마지막으로 역사관의 문제가 있다는 것으로 종속이론이 역사발전에 있어서 합법칙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도 종속이론은 이론의 시각이 선진국이 아니라 저발전 국가에 있으며, 저발전 사회를 눈높이에서 그들을 분석하려 했다는 노력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우리말샘사전 “지역문제”
고영복(2000), 『사회학사전』, 사회문화연구소
김영재. \"공공기피시설 입지의 지역주민 갈등요인과 갈등완화전략에 관한 연구\" VOL.- NO.- (2016), 배재대학교
김종기. \"한국에서의 종속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 VOL.- NO.- (1986), 전북대학교
염홍철(1998), 『다시 읽는 종속이론』, 한울
②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이 있다.
첫째, 인식론적 문제로 종속이론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토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형이상학적 이나 기계론적과 같은 비변증법적 관념론에 빠져있다는 것이다.
둘째, 사회계급 분석에 관한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종속이론에서는 기본적으로 대립은 계급 간이 아니라 민족 간이라고 할 수 있다. 종속이론은 중심부와 주변부 내의 계급관계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 하고 있다. 주변부 내의 계급에 대한 분석에서도 계급관계 그 자체보다 부문 간 관계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셋째, 정치적 노선에 문제로 종속이론과 마르크스의 이론 목표는 결국 사회주의의 실현이라는 면에서는 일치하지만, 종속이론의 전략은 그 의도와는 무관하게 사회주의를 실현하는 데 오히려 방해된다는 비판이 있다. 혁명 과정의 단계를 구분하는 데 있어 민족적 민주주의 혁명은 건너뛰고 바로 공산주의 혁명으로 갈 수 있다는 비현실적 이상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
넷째, 역사관의 문제가 있다는 것으로 종속이론이 역사발전에 있어서 합법칙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종속이론의 현상은 사회적 관계에서 생산을 찾지 않고 오직 외적인 부분인 국제 교환과정에서 찾는다. 이는 자본주의에서 공산주의로의 이행이 역사적인 필연이 아니라 인간의 의식적 투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말하며, 역사발전의 법칙을 부정한다. 염홍철, 위의 도서, 187~205쪽 참고
3.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지역사회 문제 요인과 종속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역사회의 문제 요인으로는 첫째, 제도적 요인이 있을 수 있고, 둘째, 이해집단 간의 갈등이 요인이 될 수 있었다. 셋째, 환경적 요인이 있었다.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된 이후로 각 지방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때론 갈등이나 협력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러한 지역 내의 문제는 반드시 원인과 조건이 있기 마련이며, 해결책 역시 있다.
종속이론이란 주로 개발도상국의 후진적 현실에 정치·경제적으로 ‘무엇이 저발전이고, 왜 지속하여 벗어나지 못하는가?’에 관한 문제에 대하여 답을 찾기 위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종속이론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종속이란 개념 그 자체에 대한 비판이 있다.
둘째,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비판이 있다. 이를 자세히 보자면, 먼저, 인식론적 문제가 있었다. 종속이론은 변증법적 유물론을 토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형이상학적이나 기계론적과 같은 비변증법적 관념론에 빠져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사회계급 분석에 관한 문제가 있으며, 중심부와 주변부 내의 계급관계에 대한 분석을 소홀히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정치적 노선에 문제로 종속이론과 마르크스의 이론 목표는 결국 사회주의의 실현이라는 면에서는 같지만, 종속이론의 전략은 사회주의를 실현하는 데 오히려 방해된다는 비판이 있다. 마지막으로 역사관의 문제가 있다는 것으로 종속이론이 역사발전에 있어서 합법칙성을 부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에도 종속이론은 이론의 시각이 선진국이 아니라 저발전 국가에 있으며, 저발전 사회를 눈높이에서 그들을 분석하려 했다는 노력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우리말샘사전 “지역문제”
고영복(2000), 『사회학사전』, 사회문화연구소
김영재. \"공공기피시설 입지의 지역주민 갈등요인과 갈등완화전략에 관한 연구\" VOL.- NO.- (2016), 배재대학교
김종기. \"한국에서의 종속이론에 대한 비판적 이해\" VOL.- NO.- (1986), 전북대학교
염홍철(1998), 『다시 읽는 종속이론』, 한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