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1 주민자치센터
2.1.1 도입과의의
2.1.2 기능과구성
3.1 주민자치센터 대기공간 및 휴게공간 현황분석
참고문헌
2.1.1 도입과의의
2.1.2 기능과구성
3.1 주민자치센터 대기공간 및 휴게공간 현황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민센터는 사회구심적 공간이 적고, 사회원심적 공간이 주를 이루며 실내 공간보다는 데크와 옥상정원을 중심으로 외부공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외기 노출 특성으로 내구성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사용자 편의성에 대한 고려는 부족했다. F 주민자치센터는 대기 공간 및 휴게 공간에 계획딘 가구의 수가 적고, 모두 사회원심적 공간으로 분석됐으며, 가구가 취미교실과 가깝게 위치하여 주민이 사용하기에 편리했다. 주민자치센터 대기 공긴 및 휴게 공간으로 조사된 공간 중 중앙 홀이 여덟 개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복도, 로비와 엘리베이터 순이었으며 휴게실이 한 개로 가장 적었다. 주민이 교류할 수 있는 공간 도출로 중앙 홀이 가장 많았으며, 주민자치센터 내 대기 공간 및 휴게 공간을 계획하는 방식은 일정 면적과 의자를 갖추고 쾌적성을 고려한 별도의 공간을 계획하거나, 별도 공간을 계획하지 않고 홀 혹은 복도에 의자를 배치하는 경우, 홀 또는 복도 공간에 일정 면적을 제공하되 의자는 배치하지 않는 경우, 면적과 의자 모두 계획하지 못한 경우도 존재했다.
참고문헌
최유나. \"주민 교류 관점에서 본 주민자치센터 공간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서울
참고문헌
최유나. \"주민 교류 관점에서 본 주민자치센터 공간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서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