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허즈버그의 두 요인이론과 청소년 금연 유도
2. 대인매력 이론과 청소년과 친해지기
3. 성선설, 성악설, 백지설 그리고 인간
4. 참고자료
2. 대인매력 이론과 청소년과 친해지기
3. 성선설, 성악설, 백지설 그리고 인간
4. 참고자료
본문내용
련이 없다. 따라서 그 특성들 중에는 우리의 도덕으로 봤을 때 선한 것도, 악한 것도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태어날 때 선하나 성장 과정에서 악이 발생한다는 완전한 성선설도 김종재. 인간관계론. 서울: 博英社, 2003. p.11
, 그 역도 진화론이 알려주는 현실과는 배치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한 가지 방법이 있다. 인간 본성을 선과 악 양자로 구분하는 대신 선과 악 모두를 포함하되 어느 쪽에 더 가까운지에 대해 결정하는 것이다.
위의 방법에 따라 인간의 본성에 대해 선한 면이 많은가, 악한 면이 많은가에 대하여 고려해 보면, 나는 성선설이 실제 현실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맹자의 말처럼,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측은지심을 비롯한 여러 도덕적 기초를 가진다. 실제로 아주 어린 아이조차 위험에 빠진 사람을 보면 쉽게 지나치지 못한다. 물론 이러한 도덕적 기초와 동시에 우리는 때로는 도덕조차 뛰어넘는 욕망과 나 자신만을 생각하는 이기주의도 가지고 태어나긴 하지만, 그것을 우리의 도덕적 기초가 대부분의 경우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도덕을 추구하는 세상에서 살 수 있는 것이다. 즉, 우리는 우리 내부의 선악 대결에서 선이 우위에 선 채 태어난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 청소년을 교육할 때에는, 당연히 우리 내부의 선한 기초는 강화시키고 우리 내부의 악한 기초는 약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다시 말해 우리가 날 때부터 가진 다른 사람의 아픔에 공감하는 능력, 스스로를 아끼고 사랑할 줄 아는 능력, 타인의 사정을 생각하고 파악할 수 있는 능력 등은 키우고, 지나친 탐욕이나 이기주의는 지양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이루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실제로 선한 기초를 사용할 기회를 가지는 것이다. 선한 기초는 악한 기초와 역의 위치에 있으므로 선한 기초를 사용하여 강화하는 것만으로도 악한 기초는 쉽게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둘 모두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렇다면 선한 기초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실제 교육에서 타인의 아픔에 공감해 볼 수 있도록 사회적 약자를 돕는 활동이나, 스스로를 아끼는 마음을 기를 수 있도록 자기의 장점을 적어보는 활동 등을 의미한다. 즉, 지식으로만 배우는 도덕이 아니라 실제 생활에서 도덕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히 지식으로서의 도덕도 중요하지만, 글로 표현하지 않아도 깨달을 수 있는 도덕적 기초를 키우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행동이 가장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4. 참고자료
1. 박혜경,and 백현옥. \"청소년 상담관련기관 상담자의 직무동기에 관한 고찰 - 허즈버그 2요인이론을 중심으로 -.\" 청소년시설환경 14.1 (2016): 141-153.
2. 김종재. 인간관계론. 서울: 博英社, 2003.
3. 마은경,and 김명숙. \"공공기관 내 구성원간의 지식공유에 관한 연구: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Information systems review 7.1 (2005): 195-217.
, 그 역도 진화론이 알려주는 현실과는 배치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 한 가지 방법이 있다. 인간 본성을 선과 악 양자로 구분하는 대신 선과 악 모두를 포함하되 어느 쪽에 더 가까운지에 대해 결정하는 것이다.
위의 방법에 따라 인간의 본성에 대해 선한 면이 많은가, 악한 면이 많은가에 대하여 고려해 보면, 나는 성선설이 실제 현실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맹자의 말처럼,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측은지심을 비롯한 여러 도덕적 기초를 가진다. 실제로 아주 어린 아이조차 위험에 빠진 사람을 보면 쉽게 지나치지 못한다. 물론 이러한 도덕적 기초와 동시에 우리는 때로는 도덕조차 뛰어넘는 욕망과 나 자신만을 생각하는 이기주의도 가지고 태어나긴 하지만, 그것을 우리의 도덕적 기초가 대부분의 경우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도덕을 추구하는 세상에서 살 수 있는 것이다. 즉, 우리는 우리 내부의 선악 대결에서 선이 우위에 선 채 태어난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 청소년을 교육할 때에는, 당연히 우리 내부의 선한 기초는 강화시키고 우리 내부의 악한 기초는 약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다시 말해 우리가 날 때부터 가진 다른 사람의 아픔에 공감하는 능력, 스스로를 아끼고 사랑할 줄 아는 능력, 타인의 사정을 생각하고 파악할 수 있는 능력 등은 키우고, 지나친 탐욕이나 이기주의는 지양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이루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실제로 선한 기초를 사용할 기회를 가지는 것이다. 선한 기초는 악한 기초와 역의 위치에 있으므로 선한 기초를 사용하여 강화하는 것만으로도 악한 기초는 쉽게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둘 모두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렇다면 선한 기초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실제 교육에서 타인의 아픔에 공감해 볼 수 있도록 사회적 약자를 돕는 활동이나, 스스로를 아끼는 마음을 기를 수 있도록 자기의 장점을 적어보는 활동 등을 의미한다. 즉, 지식으로만 배우는 도덕이 아니라 실제 생활에서 도덕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연히 지식으로서의 도덕도 중요하지만, 글로 표현하지 않아도 깨달을 수 있는 도덕적 기초를 키우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행동이 가장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4. 참고자료
1. 박혜경,and 백현옥. \"청소년 상담관련기관 상담자의 직무동기에 관한 고찰 - 허즈버그 2요인이론을 중심으로 -.\" 청소년시설환경 14.1 (2016): 141-153.
2. 김종재. 인간관계론. 서울: 博英社, 2003.
3. 마은경,and 김명숙. \"공공기관 내 구성원간의 지식공유에 관한 연구: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Information systems review 7.1 (2005): 195-217.
추천자료
2020년 2학기 인간관계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허즈버그의 두 요인이론, 대인매력 등)
[2020 인간관계론4공통] 1. 허즈버그의 두 요인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이론을 토대로 흡...
인간관계론 ) 허즈버그의 두 요인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이론을 토대로 흡연하는 청소년...
인간관계론 ) 허즈버그의 두 요인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이론을 토대로 흡연하는 청소년...
인간관계론 ) 허즈버그의 두 요인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이론을 토대로 흡연하는 청소년...
인간관계론 ) 허즈버그의 두 요인이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이론을 토대로 흡연하는 청소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