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요약
2. 지원 사례
2. 지원 사례
본문내용
가 시간을 보내는 데에 있어 좋은 경험을 했다고 증언하였고, 특히 비장애인과 함께 교육을 받았을 경우 더 긍정적으로 느꼈다. 같은 책, p.14
또한 학습을 통해 얻는 성취감과 만족감 역시 높았는데, 이는 목공예, 한지공예 등 작품을 완성하는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과목일수록, 주변 사람들에게 교육의 성과를 나눌수록 그 성취감과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장애인 평생교육이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구별이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장애인들이 평생교육 과정에서 소통의 즐거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앞서 말한 양적인 문제에도 불구하고 이 평생교육시설이 이렇게 질적으로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우선, 비장애인이 평생교육에 의무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장애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또 적절한 홍보를 통해 장애인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하였다. 이렇게 홍보를 통해 모인 장애인들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장애인 간의 동질감을 통해 성취감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 이 평생교육시설은 장애인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친절한 직원들과 깨끗하고 편리한 시설, 그리고 저렴한 이용료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덕분에 장애인들의 평생 교육 만족도는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여느 시설이 그렇듯 이 시설도 완벽하지는 않았다. 이 평생교육시설에서 진행된 평생교육의 큰 문제 중 하나는 교육의 수준이 초급에 머물러 있었다는 것이다. 어떠한 교육이 제대로 된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초급-중급-고급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한데, 이 시설은 대부분의 교육 과목에서 상위 과정이 결여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교육을 받은 장애인들은 교육이 더 진행되지 못하는 것에 불만을 갖고 있었다. 같은 책, p.20
이에 연계되어 제기되는 문제점으로, 강사진의 질이 있었다. 다행히 이 시설은 강사비가 타 평생교육시설에 비해 높은 편이었기 때문에 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강사진에 대한 불만은 존재했다. 그리고 장애인을 위주로 한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을 배려하지 못한 수업 진행이 나타난 경우도 있어 이에 대한 개선 역시 필요한 상황이었다.
3. 참고자료
1. 이동석.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사업의 성과와 영향 요인-\"고양평생대학\" 이용자 대상 FGI를 중심으로.\" 장애인복지연구 9.2 (2018): 1-29.
또한 학습을 통해 얻는 성취감과 만족감 역시 높았는데, 이는 목공예, 한지공예 등 작품을 완성하는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과목일수록, 주변 사람들에게 교육의 성과를 나눌수록 그 성취감과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장애인 평생교육이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구별이 없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장애인들이 평생교육 과정에서 소통의 즐거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앞서 말한 양적인 문제에도 불구하고 이 평생교육시설이 이렇게 질적으로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우선, 비장애인이 평생교육에 의무적으로 참여하게 하여 장애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또 적절한 홍보를 통해 장애인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하였다. 이렇게 홍보를 통해 모인 장애인들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장애인 간의 동질감을 통해 성취감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또 이 평생교육시설은 장애인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친절한 직원들과 깨끗하고 편리한 시설, 그리고 저렴한 이용료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덕분에 장애인들의 평생 교육 만족도는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여느 시설이 그렇듯 이 시설도 완벽하지는 않았다. 이 평생교육시설에서 진행된 평생교육의 큰 문제 중 하나는 교육의 수준이 초급에 머물러 있었다는 것이다. 어떠한 교육이 제대로 된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초급-중급-고급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한데, 이 시설은 대부분의 교육 과목에서 상위 과정이 결여되어 있었다. 이로 인해 교육을 받은 장애인들은 교육이 더 진행되지 못하는 것에 불만을 갖고 있었다. 같은 책, p.20
이에 연계되어 제기되는 문제점으로, 강사진의 질이 있었다. 다행히 이 시설은 강사비가 타 평생교육시설에 비해 높은 편이었기 때문에 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편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강사진에 대한 불만은 존재했다. 그리고 장애인을 위주로 한 교육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을 배려하지 못한 수업 진행이 나타난 경우도 있어 이에 대한 개선 역시 필요한 상황이었다.
3. 참고자료
1. 이동석. \"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사업의 성과와 영향 요인-\"고양평생대학\" 이용자 대상 FGI를 중심으로.\" 장애인복지연구 9.2 (2018): 1-29.
추천자료
2020년 2학기 장애인상담과교육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내외 장애인 지원 사례)
2021년 2학기 장애인상담과교육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국내외 장애인 지원 사례)
[장애인상담과교육 2학년 공통] 멀티미디어 강의 1-6강 수강 후, ①주요 주제 세 가지에 대해...
장애인상담과교육
장애인상담과교육 ) 멀티미디어 강의 1-5강 수강 후, 주요 주제 세 가지에 대해 요약하고, 국...
장애인상담과교육 ) 멀티미디어 강의 1-5강 수강 후, 주요 주제 세 가지에 대해 요약하고 국...
장애인상담과교육 ) 주요 주제 세 가지에 대해 요약하고, 국내외 장애인 지원 사례를 찾아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