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 객관적인 통계와 데이터 위주의 1963년 대선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 ) 객관적인 통계와 데이터 위주의 1963년 대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1963년 대선의 정치적 배경
2.선거의 전개 과정
3.선거의 결과 분석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다. 서양 언론사를 포함한 대부분의 언론이 그것이 공정하게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다만 선거운동 과정에서 부정이 있었기 때문에 해당 년도의 대선을 완전히 공정한 선거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는 사회적으로 이미 국민이 이승만 정권에 대한 기억을 생생하게 가지고 있었고, 그에 따라 부정선거에 대한 큰 반감을 가지고 있었던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공명선거에 대한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강조한 미국의 영향 또한 그것의 원인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선은 총유권자 12,985,015명 중 약 85%인 11,036,175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 유효 투표율은 약 91.3%이었으며, 당선된 박정희는 총 4,702,640표로 총 득표율 42.61%, 유효 득표율 46.65%를 기록하였으며 그 뒤를 윤보선이 4,546,614표로 총 득표율 42.19%, 유효 득표율 45,10%를 기록하여 예상 밖의 박빙의 승부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지역별 분포 또한 이북 지역인 서울, 경기, 강원 등의 지역은 윤보선의 지지율이 높았으며, 영남 및 호남 등의 이남지역에서는 박정희의 지지율이 높은 특성이 나타났다.
이남지역과 이북지역으로 결과가 갈리긴 하였으나, 이전 선거에서도 전통적으로 나타나는 여촌야도 현상 또한 보였다. 이는 도시에서는 야당, 즉 윤보선을 지지한 세력이 높은 반면 농촌 지역에서는 여당, 즉 박정희의 지지율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이병준, 「1963년 5대 대통령 선거 연구」,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2010,pp72-77
Ⅲ.결론
이승만 정권에 대한 군사 쿠데타 이후 민정 이양까지 정치적으로 혼란했던 상황이 배경을 이루는 1963년도의 대선은 이전의 선거와는 다른 점을 보이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가장 큰 점은 이전 선거와는 달리 비교적 투개표의 과정에서 부정한 점이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이는 여러 가지를 원인으로 할 수 있겠지만,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이 높아졌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주목해야 할 점은 이전에서 볼 수 없었던 남북선거의 현상이 발생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선거운동과정에서 이루어졌던 사상논쟁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는데, 좌익적인 전통을 비교적 많이 가지고 있던 영남 및 호남 지역에서 박정희의 지지율을 높인 것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병준, 「1963년 5대 대통령 선거 연구」,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2010,pp77-78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3년의 대선은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박정희는 대선이 진행되기 직전 자신의 군부정권에서 헌법을 개정하였고, 선거법을 공표하는 등 여러 가지 방면에서 자신이 대선에 진출하기 위한 준비를 사전에 해둔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사상논쟁에 따른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독재정권의 경험이 생생한 시점에서 국민들은 후보의 공약보다는 다른 점에 더 초점이 맞추어졌을 확률이 높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이병준. \"1963년 5대 대통령 선거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서울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8.03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5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